Saturday, December 19, 2015
<제3244호> www.newyorkilbo.com
THE KOREAN NEW YORK DAILY
제보·문의 대표전화 (718) 939-0900 2015년 12월 19일 토요일
총있는 곳에 사고난다… 규제 시급 총기 사망자, 교통사고 사망자만큼 많아
지난해 10만명당 10.3명꼴 미국에서 한해 총기 사고로 사망한 사람 수가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따라잡 았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17일 보도 했다.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지난해 총기 사고 사망자 수(살인·자 살·사고사)는 10만 명당 10.3명으로 교 통사고 사망자 수와 같았다. 총기와 교통사고로 사망한 사람 수 가 동률을 이룬 것은 거의 60년 만에 처 음이다.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해를 거 듭하면서 줄어든 반면 총기 사고는 계속 늘어난 결과다. 2005년 총기 사망자가 교통사고를 앞 지른 주는 50개 주 가운데 알래스카, 메 릴랜드 2곳이었지만 작년에는 21개로 급 증했다. 워싱턴DC가 있는 컬럼비아 특별구 는 2005년과 2014년 모두 총기 사고 사망 자 수가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넘어선
지난해 총기 사고 사망자 수는 10만 명당 10.3명으로 교통사고 사망자 수와 같았다. 총기 규제가 들쭉 날쭉하기 때문에 총기사고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예전에는 공격용 무기 판매 금지와 같은 규 제가 있었지만 사라진 지 오래다.
곳이었다. 미국에서 교통사고로 사망한 시민은 1950년 이후 눈에 띄게 줄었다. 1960년대
만 해도 10만 명당 25명꼴로 교통사고로 숨졌지만 지금은 수치가 절반 이상 감소 했다. 같은 기간 총기 사고 사망자수는
꾸준히 증가했는데 특히 최근에는 총기 자살자가 많이 늘어 살인에 따른 사망 감소폭을 상쇄했다. 현재 총기 사고 사 망의 3분의 2는 자살로 인한 것이다.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꾸준히 감소 한 것은 자동차 기술 발전과 규제 강화 가 지속적으로 이뤄졌기 때문이다. 반면 총기 규제의 경우 들쭉날쭉한 상태로 흘 러 왔다. 예전에는 공격용 무기 판매 금 지와 같은 규제가 있었지만 사라진 지 오래다. 미국에서는 최근 잇단 총격 사건으 로 총기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 가 높아지고 있지만 반대 진영의 세력이 만만찮아 넘어야 할 산도 많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도 2009년 취임한 이후 총기 규제를 끊임없이 강조 했지만 총기 규제 강화를 반대하는 공화 당과 전미총기협회(NRA) 등의 반대로 뜻을 쉽게 이루지 못하고 있다.
맑음
12월 20일(일) 최고 43도 최저 37도
맑음
12월 21일(월) 최고 54도 최저 49도
12월 19일 오후 2시 기준(한국시각)
1,184.00
1,204.72
1,163.28
1,195.60
1,172.40
1,198.20
1,171.66
브롱스 몬트피어병원‘한인폭행’사건 조사
블룸버그 전 뉴욕시장과 회동 해 최대 로비단체인 미국총기협회 (NRA)에 맞서는 움직임을 이끌고 있 다. 오바마 대통령의 이러한 행보는 여 론몰이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잇단 충격 적 총기난사 사건에도, 미 의회를 장악 한 공화당이 총기규제의 입법화에 반대 하는 입장을 굽히지 않자 행정명령의 우 회로를 택하기에 앞서 우호적 여론을 형 성하기 위해서라는 것. 오바마 대통령의 행정명령은 의회 승인없이 총기 구매자의 신원조사를 확 대하는 내용으로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 졌다. 특히‘총기 박람회’ (gun show)에 서의 개별 매매시 구매자의 신원조사를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한다. 미국에서는 대도시는 물론 중소도시 에서도 연간 수차례의 총기 박람회가 열
12월 19일(토) 최고 41도 최저 33도
뉴욕한인학부모협회가 18일 토니 아벨라 뉴욕주상원위원과 만나 브롱스의 몬트피어 병원 한인 인종 차별 폭행에 대한 수사 협조를 요청했다.
오바마, 총기규제 총력전 총기 규제 행정명령 발동을 추진 중 인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총력전을 펼 치고 있다. 최근 총기난사 사건으로 머리에 중 상을 입었다가 기적적으로 소생했던 민 주당의 브리엘 기퍼즈 전 하원의원을 만 난데 이어 지난 16일에는 여생을 총기규 제 활동에 전념하고 있는 마이클 블룸버 그 전 뉴욕시장과 회동했다. 백악관은 18일 보도자료에서“두 사 람이 회동에서 총기를 소유해서는 안 되 는 사람들이 총기를 손에 넣을 수 없도 록 하는 방안, 총기폭력을 해결하기 위 한 주 또는 연방정부 차원의 방안 등을 논의했다” 고 밝혔다. 블룸버그 전 시장은 지난해‘에브리 타운 포 건 세이프티’ (Everytown for Gun Safety)라는 총기규제 단체를 발족
맑음
학부모협, 아벨라 의원에 협조 요청
오바마 대통령은 16일 여생을 총기규제 활동에 전념하고 있는 마이클 블룸버그 전 뉴욕시장과 회동했 다. 백악관은“두 사람이 회동에서 총기를 소유해서는 안 되는 사람들이 총기를 손에 넣을 수 없도록 하는 방안, 총기폭력을 해결하기 위한 주 또는 연방정부 차원의 방안 등을 논의했다” 고 밝혔다.
린다. 대형매장의 가판대에 수만정의 총 을 깔아놓고 판매한다. 사냥용 장총에서 최신모델의 권총, 중고총 등 다양하며 중고 권총은 심지어 100∼200달러면 살 수 있다고 한다. 간단한 신원확인 절차 만 거치면 구입할 수 있다. 하지만, 개인 간 매매는 이러한 절차조차 필요 없기 때문에 총기 박람회는 불법 총기 거래의 온상으로 불린다.
오바마 대통령의 이러한 행보를 놓 고 공화당은 반발하고 있다. 행정명령을 통한 총기 규제는 위헌적이라고 지적하 면서다. 여론도 오바마 대통령에게 그다지 우호적이지는 않다. 최근 ABC-워싱턴 포스트 조사에서는 과반이 테러에 대처 하고자 군용무기를 구입할 수 있어야 한 다는 입장을 밝혔다.
뉴욕한인학부모협회(공동회장 최윤 희, 라정미)가 18일 토니 아벨라 뉴욕주 상원위원과 만나 브롱스의 몬트피어 병 원 한인 인종차별 폭행에 대한 수사 협 조를 요청했다. 이 자리에는 브롱스 인종차별 폭행 피해자인 김성수씨의 부인 김현주씨와 어머니 박정자씨, 친지 및 김씨의 동창 들인 건국대학동문회원들이 함께 했다. 학부모협회에 따르면 이날 미팅에서 피해자측은“피해자 김성수씨의 부인이 사건이 난 후 52 경찰서에 여러 차례 신 고를 시도했으나 경찰이 몬트피어 병원 보안 부장을 만나보라고 한 점, 또 병원 에서 폭행사건이 일어났음에도 불구하 고 경찰에 신고를 안 한 점 등을 보면, 이는 직무유기이고 사건을 은폐하려 한
것이 분명하다” 며, 당시의 상황을 토니 아벨라 의원에게 자세히 설명했다. 협 회는“이날 토니 아벨라 의원이 정황을 자세하게 파악한 후에 윌리암 브래튼 뉴욕 경찰국장과 스티브 사휘어 몬트피 어 병원장에 직접 사건의 전말에 대해 서 직접 추궁할 예정” 이라고 밝혔다. 뉴욕한인학부모협회는 이와 관련 지 난 3일 브롱스의 몬트피어 병원 앞에서 한인 인종차별 폭행에 대한 항의시위를 가진 바 있다. 이번 사건은 피해자 김성수씨가 지 난해 10월 브롱스 몬트피어 병원 기계실 에서 날카로운 둔기에 뒤통수를 맞고 쓰러진 채로 발견됐고, 병원측은 심한 부상임에도 불구하고 경찰에 신고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