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721호> www.newyorkilbo.com
Friday, July 14, 2017
THE KOREAN NEW YORK DAILY
제보·문의 대표전화 (718) 939-0900
2017년 7월 14일 금요일
트럼프, 한미FTA 잘못 인식 “끔찍한 거래, 한해 400억달러 잃어” “한국과 재협상 막 시작”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자유무 역협정(FTA)에 대해 “끔찍한 거래 (horrible deal)” 라고 지칭하며 한국과 “재협상(renegotiating)을 통해 이를 바 로 잡겠다” 는 의지를 강하게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12일 에마뉘엘 마크 롱 프랑스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위해 프 랑스로 향하는 전용기 안에서 기자들과 문답 과정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발언은 애초 비보도를 전제로 한‘오프더레코드(off the record)’ 로진 행됐지만, 이례적으로 백악관은 하루 뒤 인 13일 전문을 언론에 배포했다. 배포된 전문을 보면 트럼프 대통령은 대북 제재에 대한 중국의 역할 등에 관 해 얘기하던 도중“사람들이‘당신이 무 슨 카드를 가지고 있느냐’ 고 묻는데 간 단하다. 난‘무역’ 이라고 답한다” 고말 했다. ▶관련기사 A7(한국)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우리는 나쁜 무역 거래로 완전히 황폐해졌다 (absolutely devastated). 중국과 가장 나쁜 거래를 하고 있다” 고 강조했다. 이 는 경제와 무역을 고리로 해 중국의 대 북 제재 동참을 압박하겠다는 뜻으로도 풀이된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한국과 도 나쁜 거래(bad deal)를 하고 있다” 며 “우리는 한국과 협상을 막 시작하고 있 다” 고 말했다. 그는“우리는 한국을 보 호하고 있지만 무역에서 한해에 400억 달러를 잃고 있다” 며“거래가 막 시작됐 다” 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힐러리 클린턴 전
미국은 사실상 모든 종류의 철강제품에 7월 14일(금) 7월 15일(토) 7월 16일(일) 대해 관세를 물렸다. 맑음 맑음 비 최고 74도 최저 69도 최고 84도 최저 70도 최고 85도 최저 73도 트럼프 대통령은 또 대북 압박에 있 7월 14일 오후 1시 기준(한국시각) 어 중국의 역할에 기대를 나타냈다. 그 는“중국이 북한 문제에 있어 우리를 도 와준다면 멋진 일이 될 것” 이라며“중국 1,135.30 1,155.16 1,115.44 1,146.40 1,124.20 1,148.92 1,123.24 이 강한 (대북) 제재에 부담이 있다는 것 은 나도 이해한다. 중국은 8천년의 역사 를 갖고 있고 한국과 수 세기 동안 수많 그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고 나는 미국을 위해 일한다. 그는 5천만 은 전쟁을 벌이고 엄청난 갈등을 겪어왔 의 이름을 직접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명이 국경으로 쏟아져 나오는 것을 원하 다. 우리가 (중국에) 하라고 한다고 해서 “엄청난 친구” (tremendous guy)라 부르 지 않을 것” 이라며“일에는 여러 가지 그대로 하는, 그런 게 아니다” 라고 말했 며“그와 매우 좋은 관계를 맺고 있다” 다양한 측면이 있고, 나는 그 다른 측면 고 덧붙였다. 다. 고 말했다. 이어“그는 중국을 위해 일하 을 이해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해“끔찍한 거래” 라고 지칭하며 한국과“재협상 (renegotiating)을 통해 이를 바로 잡겠다” 는 의지를 강하게 드러냈다.
국무부 장관을 겨냥,“클린턴은 미국에 일자리를 제공하고 돈을 벌 수 있다고 했지만 우리는 일년에 400억 달러를 잃 고 있다” 고 강조하며“이건 끔찍한 거 래” 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그래서 우리는 어제(현지시간 11일)부로 한국 과 재협상(renegotiating)을 다시 시작 했다” 며“해야만 한다” 고 강조했다. 앞서 미 무역대표부(USTR)는 한국 정부에 FTA 공동위원회 개최를 요구하 는 서한에서‘개정 및 수정’ 을 위한‘후 속 협상’ (follow-up negotiations)이라 는 용어를 쓴 데 반해,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재협상’ (renegotiating)이라 언급 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한미 정상회담 에서도 한미 FTA ‘재협상’이라는 표 현을 쓴 바 있다. 이는 협정 일부가 아닌 전체를 모두 다시 뒤엎을 수 있다는 뉘 앙스를 주려는 것으로 해석됐다.
이와 관련해 한국 정부는 13일 세종 청사 브리핑에서“협정문상의 정확한 용어는 개정(amendment)과 수정 (modification)이며 재협상 (renegotiation)은 없는 단어” 라고 설명 한 바 있다. 이날 기내 간담회에서 트럼프 대통령 은 철강 무역과 관련한 질문에서도“수 입할당과 관세 조치, 둘 다 할 것” 이라고 밝혔다. 철강은 한미 FTA 개정 협상 시 미국의 강한 압박이 예상되는 분야 중 하나다. 그는“중국뿐 아니라 다른 나라의 철 강(덤핑 수출)은 큰 문제로, 수십 년간 이어지면서 우리 철강 산업을 파괴해왔 다” 며“나는 그걸 멈추게 하겠다” 고말 했다. 철강은 글로벌 공급과잉 속에서 트럼 프 행정부 출범 전부터 미국 정부의 타 깃이 돼 왔으며,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한미 FTA협상,‘재협상’ 이냐,‘개정’ 이냐? 美통상 전문지“USTR이 요청한 것은 재협상 아니다” 미국의 통상 전문지가 미국의 한미 미 통상 전문 매체‘인사이드 유에스 자유무역협정(FTA) 공동위원회 개최 트레이즈’ (Inside U.S. Trade’s)는 13 요구는 재협상이 아니라고 보도했다. 또 일‘미 무역대표부(USTR)는 한미FTA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재협상’ 이라 ‘재협상’(renegotiation)이 아니라, 공 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은 것은 한국에 동위원회 개최를 요구했다’는 기사를 미칠 악영향을 우려하는 미 의회와의 충 게재했다. 돌을 의식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 매체는“미 의회와 관련 업계는
트럼프 정부가 한국을 화나게 할 수 있 는 한미FTA의 완전한 재협상을 요구하 는 것을 우려했다” 며“로버트 라이트하 이저 USTR 대표가 한국에 공식으로 전 달한 서한의 표현이 이들을 진정시켰 다” 고 전했다. <2면에 계속>
간암 투병 中 인권운동가 류샤오보 사망
<기사 A9(국제)면>
간암 말기 판정을 받고 가석방돼 교도소 밖 병원에서 치료를 받던 중국의 인권운동가이자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류샤오보(劉曉波·61)가 13일 오후 9시께 사 망했다. 향년 61세. 류샤오보 조치를 관장하는 중국 랴오닝(遼寧)성 선양(瀋陽)시 사법국은 인터넷 홈페이지 공지문에서 병원에서 간암 치료를 받아온 류샤오 보가 지난 10일부터 중태에 빠지더니 13일 오후 다발성 장기기능 상실로 숨졌다고 밝혔다. 류샤오보는 2008년 12월 공산당 일당체제 종식을 요구한‘08헌 장’서명 운동을 주도하다가 이듬해 12월‘국가전복’혐의로 징역 11년을 선고받고 랴오닝성 진저우(錦州)교도소에 수감 중 지난 5월 말 정기 건강검진에서 간암 판정을 받고 수일 후 가석방됐다. 사진은 이날 홍콩주재 중국연락판공실 앞에서 류 지지자들이 류를 추모하며 시위하는 모습.
뉴욕일보 기사제보 광고문의 718-939-0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