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dnesday, May 11, 2016
<제3363호> www.newyorkilbo.com
THE KOREAN NEW YORK DAILY
제보·문의 대표전화 (718) 939-0900
2016년 5월 11일 수요일
한인들의 진한 동포애가 뉴욕한인회관을 지켜냈다. 왼쪽부터 뉴욕한인직능단체협의회, 뉴욕한인경제인협회, 뉴욕한인네일협회, 한국 거주 뉴요커 출신들도 성금을 모았다.
“친정집 잘못될까봐 가슴 졸였는데…” ‘회관지키기’서울거주 뉴욕출신들도 성금 각 단체도 앞장… 3주만에 체납세금 30만 달러 납부 한인들이 진한 동포애로 똘똘 뭉쳐 뉴욕한인회관을 지켜냈다. 뉴욕한인회(회장 김민선)는“10일까 지 30만 달러가 모아져 뉴욕시 재정국에 세금 체납액 전부를 완납한다” 고 밝혔 다. 뉴욕시 체납 납부 마감일은 11일이 다. 한인회는 11일 오전 10시30분 뉴욕시 재정국에 밀린 세금을 내고, 이어 11시 뉴욕한인회관 앞에서 동포들 힘으로 회 관을 지켜낸 것에 대한 자축의 의미를 담은‘뉴욕한인회관 살린 날 기념식’ 을 연다. 김민선 회장은“내가 한 일은 아니지 만 동포들에게 성금을 말하기가 염치없
었고, 과연 이 많은 돈이 모아질까 앞이 깜깜했는데, 불과 3주만에 한인들이 하 나가 되어 30만 달러가 걷혔다” 며,“이렇 게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도 십시일반 정성과 사랑을 모아준 한인동포들에 너 무나 감사하다” 고 말했다. 김 회장은 이어“이번 기회를 통해 한 인들이 얼마나 가슴 뜨거운 민족인지를 새삼 알게 됐다” 며,“한인사회는 희망이 있고, 정의가 있고 무엇보다 뉴욕한인회 를 얼마나 사랑하는지 깨닫게 됐다. 뉴 욕한인회의 정상화에 박차를 가해 한인 회와 한인회관이 동포사회의 큰 자랑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고 다짐했다. 한편 10일 뉴욕한인회관 살리기 기금
모금 운동에는 한인사회 직능단체를 비 롯해 한국에서도 성금을 전해 왔다. 이날 뉴욕한인경제인협회(회장 허순 범)는 맨해튼 협회사무실에서 뉴욕한인 회와 한인회관 살리기 위원회 관계자들 이 함께 한 가운데 뉴욕한인회관 살리기 기금 모금 운동에 7,250달러를 기부했다. 성금을 낸 회원은 △이형로-2,000달러 △조병태-2,000달러 △김홍식-2,000달 러 △허순범-1,000달러 △김미현-250달 러 이다. 이어 뉴욕한인네일협회(회장 이상 호)에서도 10일 협회원들의 귀중한 정성 인 3,370달러를 관계자들에 전달했다. 이 상호 회장은“회관 살리기 기금 모금 운
동에 열의를 다하는 김민선 회장의 노고 에 감사하다” 며, 한인회의 정상화 염원 을 담아 모아진 성금을 전했다. 뉴욕한인직능단체협의회(의장 엄수 흠)에서도 10일 열린 정기월례회에 앞서 한인회관 살리기 기금 모금 운동에 3,500 달러를 전달했다. 엄수흠 의장은“오늘 (10일) 이 금액은 각 단체별로 진행되는 성금 모금과는 별도로 단체장들의 마음 을 한데 모은 것” 이라며,“한인회가 부 디 이 어려운 상황을 잘 해결해 나가길 바란다” 고 말했다. 이번 한인회관 살리기 기금 모금 운 동에는 한인사회뿐만 아니라 바다 건너 모국에서의 참여도 이어져 그 의미가 더
한국인“즐겁지 않고 스트레스에 시달려” 9%만“즐거운 인생” … 미국·독일·중국은 40%대 한국인들은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고, 노년이 즐거울 것이라고 기대하는 이들 도 중국이나 미국 등 다른 나라보다 적 은 것으로 조사됐다. 글로벌 캐쥬얼화 브랜드 크록스는 주 요 시장인 한국·중국·일본·미국· 영국·독일 등 6개국 성인남녀 1만3천 173명을 대상으로 즐거움에 대한 온라인 설문을 벌였더니 이같이 나타났다고 10 일 밝혔다. 설문에 따르면 자국민이‘너무 많은 스트레스에 시달린다’ 고 생각하는 한국
응답자는 92%로 일본(81%)·중국 (80%)·미국(78%) 등 다른 국가보다 스 트레스를 받는다는 응답자의 비율이 높 았다. 반대로 자국민이 매우 즐거운 인생을 살고 있다고 대답한 비율은 미국(48%) 과 독일(41%)·중국(41%)이 높았으며 한국은 9%로 꼴찌였다. ‘매일 조금씩이라도 즐거움이 있다’ 고 응답한 비율 역시 한국인은 46%에 그 쳐 5개국 평균(62%)보다 크게 낮았다. 한국인들은 인생에서 가장 즐거운 시
기로 42%가 20∼30대를 꼽았고, 유년기 (20%)와 청소년기(21%)를 꼽은 이들도 많았다. 특히‘인생이 점점 즐거운가’ 라는 질 문에는 중국(77%)·미국(63%)은 물론 5개국 평균(61%)보다 크게 낮은 35%만 ‘그렇다’ 고 답했다. 이는 노년으로 갈수록 즐겁게 사는 게 어려운 한국의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 라고 크록스는 설명했다. 그런가 하면 한국인은‘즐거운 인생 을 사는 데 돈이 너무 많이 든다’ (61%)
한국인들은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고, 노년이 즐 거울 것이라고 기대하는 이들도 중국이나 미국 등 다른 나라보다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 인들은 더 긍정적인 자세를 가지고 일상생활에 서 작은 즐거움이나마 찾아나서는 자세가 필요 하다.
고 답했는데 이는 독일(18%)이나 영국 (29%) 응답자들의 생각과 격차가 컸다. 즐거움을 찾기 어려운 이유로 한국의
맑음
5월 11일(수) 최고 70도 최저 51도
맑음
5월 12일(목) 최고 70도 최저 56도
비
5월 13일(금) 최고 66도 최저 57도
5월 11일 오후 1시 기준(한국시각)
1,171.00
1,191.49
1,150.51
1,182.40
1,159.60
1,185.05
1,158.86
해지고 있다. 한국에 거주하는 뉴욕 출 신 정광일 전 언론인은 10일 플러싱 금 강산 식당에서 뉴욕 출신 한국 거주자들 을 대상으로 한인회관 살리기 모금 운동 을 전개해 모아진 기금 5,500달러를 관계 자들에 전달했다. 이날 뉴욕에 도착한 정광일씨는 한인 언론을 통해 접한“나도 1달러 너도 1달 러 50만이 50만 달러” 의 구호를 듣고 가 슴이 뭉클했다며, 뉴욕에 살았던 사람들
끼리 정성을 모아 이번 회관 살리는데 힘을 보태자고 결정해 성금을 모았다고 말했다. 한국에서 이번 기금에 동참한 뉴욕출 신 한인들은 △이세종 전 뉴욕한인회장 5,000달러를 비롯해 △손은아 △김대홍 △안동일 △정광일 △변용주 △장국환 △민경갑 △정진우 △이창열 △이승준 씨 등 10명이 각각 50달러를 기부했다.
엄마들은 집안일(52%)이나 육아(43%) 를 꼽았고, 아빠들은 회사 일(48%) 때문 이라는 응답이 더 많았다. 조사대상 6개국 가운데‘가장 즐거울 것 같은 나라’ 로 한국은 독일(37%)을, 나머지 5개국은 미국을 꼽았다. 이에 비해 한국은 한국 응답자 사이 에서 즐거운 나라 4위(4%)에 머물렀으 며 미국·독일·일본 응답자 가운데서 는 꼴찌, 중국·영국 응답자 가운데서는 5위를 기록했다. 이남수 크록 스 코리아 대표 는“한국인들은 즐겁지 않고 스 트레스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 다” 며“가정의 달 을 맞아 즐겁고
행복한 삶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볼 수 있었으면 한다” 고 전했다. 이번 설문은 리서치 회사인 오알씨 (ORC)인터내셔날이 6개국 성인남녀 1 만3천173명을 대상으로 3월 24일부터 4 월 6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했다. 한국은 20∼64세 성인남녀 2천171명 (남성 1천107명·여성 1천64명)을 대상 으로 진행됐으며 이 가운데는 19세 이하 자녀를 둔 엄마 500명과 아빠 304명이 포 함돼 있다.
<신영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