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863호> www.newyorkilbo.com
Tuesday, January 2, 2018
2018년 무술년(戊戌年) 신년시
개 같이
THE KOREAN NEW YORK DAILY
2018년 무술년(戊戌年) 새해가 밝았 다. 어둠 속에서 잠을 깬 우리는 새 태양 아래 새 아침, 새 희망을 맞았다. 온 누리 에 새 마음이 가득하다. 올해는 개(戌)의 해, 개는 의(義)·忠(충)·獻身(헌신)의 상징이다. 사람을 잘 따르는 충성, 목표 를 향해 꼬리를 높이세우고 내닫는 용 맹, 악과 어둠을 쫓는 우렁찬 짖음이 개 의 모습이다. 한국은‘탄핵정국’ 에 뒤이은 문재인 새정부의 출범과 적폐청산에 대한 반발 과 갈등- 실망과 분노와 기대와 격려, 북한 핵무기 위협에 대한 불안감, 어디 로 튈지 예측할 수 없는 미국 새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에 대한 불확실성과 두려 움 등으로 엉클어지고 어두운 우리들 가 슴에도 새 태양이 솟았다. 한국에서는 격동의 2017년을‘파사 현정(破邪顯正)’ 이란 사자성어(四字成 語)로 정리했다.‘촛불’ 로 상징되듯 사 악하고 그릇된 것을 깨고 바른 것을 드 러내자는 말이다. 그러나 새해 첫 태양 아래 바라보는 한국은‘파사(破邪)’ 는
개 같은 일이 많았습니다 개 같은, 이라고 욕하며 돌아서 침을 캑, 뱉어 주고 나면 또 개 같은 일들이 벌어졌습니다 새해에는 개 같은, 이라고 욕하지 않겠습니다 개같이만 살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사람 앞에 꾸밀 줄 모르고 사랑 앞에 계산할 줄 모르고 정의 앞에 타협할 줄 모르고 체온은 사람의 것보다 따스해 남의 밥그릇을 욕심내지 않고 도적 앞에서는 한 치의 틈도 허용하지 않는 견공처럼 깜깜한 벽 앞에서도 희망을 물고 놓지 않겠습니다
2018년 1월 2일 화요일
… 밝은 사회 만들어 나가자 ‘원칙’지키며‘적극 참여’ 2018년 신년사
김은자
제보·문의 대표전화 (718) 939-0900
어느 정도 이루었을런지 모르지만 아직 한에 대한 시각의 차이 등으로 이견(異 ‘현정(顯正)’ 과는 거리가 한참 멀다고 見)과 갈등을 넘어 싸움, 배척, 분열의 느껴진다. 촛불의 요구는 정도(正道), 정 길로 접어들고 있다. 이것은 분명히‘파 의의 실현, 소통, 평등의 사회였지만 이 사’ 해야 할 적폐이다. 제 겨우 첫 발걸음을 내딛였을 뿐 이렇 새해를 맞으며 우리는 2018년에야 말 다 할 성과의 실체는 보이지 않는다. 한 로 진정으로‘파사현정’ 을 실천?실행하 국의 최대의 숙제 중의 하나인 헌법개 여 기필코 밝은 사회와 정의롭고 균등하 정, 경제발전 열매의 공정(적정) 향유 등 게 경제발전의 열매를 나누는 복지국가, 만 해도 그렇다. 누구나가 헌법개정을 역지사지(易地思之)를 실천하여 서로 얘기하지만 당리당략에 얽매어 별 진전 이해하고 화합하는 한인사회를 만들어 도 없고, 경제의 민주화는 구호에 그치 나가야 한다. 고 만다. 세상 어디에서든, 누구라도‘어둠’ 과 한마디로 말해‘파사현정’ 은 그만큼 속박에 갇혀 살기를 원하는 사람은 없 어렵고 힘든 일이다.‘파사현정’ 은 2012 다. 누구나‘밝음’아래서 자기 개성대 년에도 선정된 말이었다. 그런데도 5년 로 자유롭게 살기를 원할 것이다. 새해 만인 2017년에도 다시 선정됐다는 것은 는 태양처럼‘밝음’속에서 살 수 있는 우리가 그동안‘파사현정’ 에 실패했다 사회를 만들어 나가자. 는 반증이다. 구호로만 파사현정을 외친 그런데, 문제는 우리가 어떻게 이 밝 것이다. 이래서는 안된다. 파사현정은 음을 만들어 나가느냐는 것이다. 얼마만 반드시 이루어내야만 하는 전 사회적, 큼의‘밝음’ 의 의지와 행동력을 갖추고 민족적 과제이다. 이번만큼은 반드시 성 이를 실천해 나가느냐가 문제 해결의 열 공해야만 할 일이다. 쇠이다. 우리 재미한인사회도‘파사현정’ 이 우리는 그 하나의 길로 무슨 일, 언제 절실한 것은 마찬가지다. 한국의 그늘 어디서든‘원칙’을 지키며 살고, 무슨 아래서 동포사회도 보수냐 진보냐, 친정 일이 벌어지면 서로서로 능동적으로 부 반정부, 한국 정당에 대한 지지도, 북 ‘참여’ 하는 것으로 그 문제를 합심 해결
해 나가자고 제언한다. 방관과 무관심은 공동체의 적이다. 공동체를 약화시키고 허물어뜨린다. 개인의 삶이든, 가정에서든 직장에서 든, 사회에서든 국가에서든, 세계에서든 거기엔 정해진‘원칙’ 이 있다. 양심(良 心), 가풍(家風), 도덕(道德), 규율과 규 정, 회칙과 정관, 법률, 헌법, 조약(條約) …등이 최소한의‘원칙’ 일 것이다. 어떤 개인이나 단체든, 재미한인사회 곳곳 단 체의 혼란도, 국가나 국제간에든, 누군 가가 이 원칙을 저버림으로써 갈등과 불 화가 온다. 이‘어둠’ 을‘밝음’ ‘공존’지향 원 칙 아래 모두가‘참여’ 하여 공동의 뜻을 세워나감으로써 해결해 나가자. 누가 무 슨 문제를 제기, 제안 하거나 무엇을 주 창하면, 그것의 절실성과 정당성을 따져 보고 옳고 타당하다면 적극 참여하여 힘 을 모아 그 문제를 해결해 나가자. 아무리 약한 하나의 불(밝음)이라도 어둠을 깰 수 있다. 불길이 약하면 내가 직접‘참여’ 하여 그 불길에 힘을 보태면 거대한 힘이 된다. 새해부터 우리 재미 한인사회에 열화같은‘참여’ 의 전통과 역사를 만들어 나가자.
“평창올림픽 대표단 파견용의… 남북 당국 만날수도”
썩은 냄새를 식별하고 낮은 소리에도 맑은 귀를 열어 개보다도 못한 인간, 이란 소리 듣지 않도록 충직하고 용감한 날들을 지키겠습니다
北김정은‘신년사’ 서 밝혀
<김은자 시인 프로필> 뉴저지 에머슨 거주. 월간 시문학으로 등단. 현 뉴욕 일보 시칼럼<시와인생> 연재, 재외동포 문학상 시 부문 대상, 윤동주 문학상(해외동포 부문), 제1회 해 외풀꽃시인상, 한국문학방송 신춘문예 당선, 영화진 흥위원회 시나리오 공모 당선, 2010년 환태평양기 독영화제 최우수 시나리오상 등을 수상. 세번째시집 <비대칭으로 말하기>가 2017년 세종우수도서에 선 정. 현 붉은작업실 문학교실 운영. 시집으로는 <외발노루의 춤> <붉은 작업실> <비대 칭으로 말하기> 등이 있고 시선집으로는 <청춘, 그 포스트 모더니즘> 산문집으로는 <슬픔은 발끝부터 물들어온다> 등이 있음.
기사제보 광고문의
718939-0900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은 1일 평 창 동계올림픽의 성과적 개최를 기대한 다면서“대표단 파견을 포함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용의가 있으며 이를 위해 북남당국이 시급히 만날 수도 있을 것” 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날 조선중앙TV를 통 해 방송된 2018년 신년사 육성 연설에서 “새해는 우리 인민이 공화국 창건 70돌 을 대경사로 기념하게 되고 남조선에서 는 겨울철 올림픽경기 대회가 열리는 것 으로 하여 북과 남에 다 같이 의의있는 해” 라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그것(평창 동계올림픽)은 민족 의 위상을 과시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 이며 우리는 대회가 성과적으로 개최되 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고 밝혔다. ▶ 관 련 기사 A6(한국-1), A7(한국-2)면 그는 또 남북관계와 관련,“우리는 민 족적 대사들을 성대히 치르고 민족의 존 엄과 기상을 내외에 떨치기 위해서라도
동결상태에 있는 북남관계를 개선하여 뜻깊은 올해를 민족사의 특기할 사변적 인 해로 빛내어야 한다” 고 말했다. 특히“무엇보다 북남 사이의 첨예한 군사적 긴장상태를 완화하고 조선반도 (한반도)의 평화적 환경부터 마련하여 야 한다” 면서“북과 남은 정세를 격화시 키는 일을 더 이상 하지 말아야 하며 군 사적 긴장을 완화하고 평화적 환경을 마 련하기 위하여 공동으로 노력하여야 한 다” 고 주장했다. 그는“우리는 진정으로 민족적 화해 와 단합을 원한다면 남조선의 집권여당 은 물론 야당들, 각계각층 단체들과 개 별적 인사들을 포함하여 그 누구에게도 대화와 접촉, 내왕의 길을 열어놓을 것” 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꽉 막혔던 남북관계가 새해에는 반전의 계기를 만 들지 주목된다. 이와 관련, 한국이 지난해 7월 제안했 지만 북한이 무응답으로 일관했던 군사
맑음
1월 2일(화) 최고 25도 최저 15도
구름많음
1월 3일(수) 최고 29도 최저 22도
눈
1월 4일(목) 최고 27도 최저 11도
1월 2일 오후 2시 기준(한국시각)
1,063.20
1,081.80
당국회담에 응할 가능성이 있으며, 북한이 제한했던 민간단체의 방북 도 가능해질 것이 라는 관측도 나온 다. <3면에 계속>
1,044.60
1,073.60
1,052.80
1,075.95
1,05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