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day, December 19, 2014
<제2941호> www.newyorkilbo.com
THE KOREAN NEW YORK DAILY
제보·문의 대표전화 (718) 939-0900 2014년 12월 19일 금요일
상위층·중산층 소득격차 6.6배 30년래 최대… 중산층 임금 상승률 정체탓 지난 5년반 동안의 경제회복에도 미 국의 빈부 격차가 대폭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월 스트리트 저널(WSJ)이 18일 보도했다. 민간연구단체인 퓨리서치센터의 보 고서에 따르면 중앙값을 기준으로 한 상 위 소득층 가구의 부는 지난해 63만9천 40 달러로 집계돼 중간 소득층 가구의 9 만6천 달러보다 6.6배에 달했다. 이는 2010년 조사 당시의 6.2배보다 늘어난 것이며 1983년 조사가 시작된 이
후로 최대폭이다. 한편, 상위 소득층 가 구의 부는 하위 소득층 가구와 비교하면 근 70배에 이른다. 퓨리서치 보고서는 3년마다 실시되 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소비자 금융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상위와 중간, 하위 소득층을 분류한 뒤 가족 구성원 수에 맞춰 소득액을 비교, 분석한 것이 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4인 가구가 지난해 4만4천 달러의 소득을 올렸다면
중간 소득층 가구에 해당하며 13만2천 달러 이상을 벌어들였다면 상위에 속한 다. WSJ는 중산층 가정의 임금 상승률 이 정체된 탓에 부의 불평등은 지난 수 십 년간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라면 서 경제회복 기간에 불평등 정도가 악화 된 것은 그다지 놀랍지 않다고 지적했 다. 신문은 에드워드 울프 뉴욕대 경제 학과 교수의 최근 보고서를 인용, 상위 소득층이 경제회복과 연준의 경기부양
정책 덕택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혜택을 받았다고 말했다. 2010∼2013년 미국인의 자산 증가는 그 상당 부분이 2009년 저점에서 200% 가까이 상승한 주식 시장 덕분이었으며, 상위 소득층이 더 많은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 그 격차가 확대됐다는 것이다. 신문은 미국 중산층 다수가 가계빚 을 갚느라 주택이나 401K(미국의 기업 연금)와 같은 자산들을 상실한 것도 소 득 격차를 악화시켰다고 덧붙였다.
맑음
12월 19일(금) 최고 41도 최저 30도
맑음
12월 20일(토) 최고 39도 최저 33도
맑음
12월 21일(일) 최고 43도 최저 37도
12월 19일 오후 2시 기준(한국시각)
1,101.80
1,121.08
1082.52
1,112.50
1091.10
1,115.02
1090.49
‘북한 인권 ICC 회부’결의안
유엔총회 본회의도 통과 찬성 116표, 반대 20표, 기권 53표
북한 인권 상황을 국제형사재판소 (ICC)에 회부하도록 하는 내용의 북한 인권 결의안이 유엔총회 본회의도 통과 했다. 유엔총회는 18일 뉴욕 유엔본부에서 본회의를 열고 유럽연합(EU)과 일본 등 60개국이 제출한‘북한 인권 결의안’ 을 표결에 부쳐 의 압도적인 차이로 가 결했다.
지난달 18일 3위원회를 통과할 당시 찬성 111표, 반대 19표, 기권 55표였던 것과 비교하면 찬성이 5표, 반대가 1표 각각 늘어났다. 북한 인권 결의안은 북한의 열악한 인권 상황을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가 ICC에 회부하도록 하는 한편, 인권 유린 책임자들을 제재하도록 하는 내용 이다.
안전보장이사회도 통과할까?
김정은 암살 영화‘인터뷰’테러 위협에 상영취소하자 곳곳서 발끈 뉴욕포스트,“김정은 이겼다” …‘김정은’ 을‘KIMJONGWON’표기 김정은 암살 영화‘인터뷰’ 가 테러 위협에 상영을 취소하자 미국 곳곳에서“미국 이 wutek, 김정원이 이겼다” 며 발끈하고 있다. 밋 롬니 전 매사추세츠 주지사 겸 공 화당 전 대통령 후보가 영화‘인터뷰’제작사인 미국 소니 픽처스에 이 영화를 인터 넷에 무료로 공개하라고 제안했다. 뉴트 깅리치 전 하원의장은 이 영화를 영화관에서 상영하지 않기로 한 결정은 미 국 측에 좋지 않은 징조라고 지적했다. 깅리치는 트위터를 통해“착각하지 말라, 소
니가 물러서면 미국은 첫 번째 사이버 전쟁에서 지는 것” 이라며“이건 아주 위험한 선례가 될 것” 이라고 주장했다. 뉴욕포스트는 18일자 신문 표지에‘김정은’ 을‘KIM JONG WON’표기하고 4, 5면 양면에 걸쳐“소니‘한국 전쟁’ 에서 항복” 이라는 제목 아래 긴 기사를 게재했다. ▶관련 기사 A3면·B6면 <사진제공= 독자 한태격씨(‘가교 판촉물’대표)>
북한 인권 상황을 국제형사재판소 (ICC)에 회부하도록 하는 내용의 결의 안이 18일 유엔총회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국제사회의 이목은 이제 안전보 장이사회(안보리)에 쏠리고 있다. 유엔 총회의 결의안이 구속력을 갖 지 못하는 것과 달리 안보리에서의 결 의는 구속력을 갖기 때문에 실제로 북 한 인권에 대한 국제사회의 조치가 이 뤄지려면 안보리에서 하나된 목소리가 나와야 한다. 애초 안보리의 12월 회의 일정에는 북한 인권이 의제로 잡혀 있 지 않았다. 하지만, 지난 5일 미국, 영국, 프랑스 등 3개 상임이사국과 한국, 호 주, 룩셈부르크, 르완다. 리투아니아, 요 르단, 칠레 등 7개 비상임이사국이 요청 한 데 따라 안보리는 22일 회의에서 북 한 인권을 논의하기로 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우선 북한 인권을 정식 안건으로 상정할지를 논의하고, 안건으로 상정되면 유엔의 이반 시모노
비치 인권 담당 사무차장과 제프리 펠 트만 정무 담당 사무차장이 브리핑한 다. 이어 이사국 대표들이 북한 인권과 관련한 견해를 밝힌다. 안보리 안건으로 상정되려면 9개국 이상만 찬성하면 된다. 10개국이 공동 명의로 북한 인권을 논의하자고 촉구한 것을 고려하면 안건으로 상정되는 것은 어렵지 않아 보인다. 안건 상정 여부와 관련해서는 상임이사국도 거부권을 행 사할 수 없다. 하지만, 북한 인권 관련해 안보리 이 사국들이 결의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거부권을 가진 중 국과 러시아가 개별 국가의 인권 문제 를 유엔에서 다루는 데 반대한다는 입 장을 명확히 밝혀 왔기 때문이다. 중국과 러시아는 유엔총회 3위원회 에서 북한 인권 결의안에 반대표를 던 진 데 이어 이날 유엔총회 본회의에서 도 반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