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urday, September 20, 2014
<제2866호> www.newyorkilbo.com
THE KOREAN NEW YORK DAILY
2014년 9월 20일 토요일
제보·문의 대표전화 (718) 939-0900
한국, 6·25참전용사 18만명에‘호국영웅장’수여
“재외참전용사에게도 수여해야 한다” 참전유공자회 뉴욕지부 윤영제 회장“막내가 여든살, 서둘러야 한다” 한국에서는 6·25 참전용사 생존자 18만명에게‘호국영웅장’메달을 수여 했다. ‘호국영웅장’ 은 2013년 7월24일 국무 총리령 제1029호에 의거 생존한 6·25참 전자 전원에게 호국영웅기장 수여가 결 정됨에 따라 7월27일 6·25전쟁 정전 60 주년 기념행사장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하여 축하를 받는 가운데 국가보훈 처장으로부터‘대한민국 6·25참전유공 자회’박희모 회장이 대표로 수여받음 으로써 시작 됐다. 국무총리령 제1029호에 따라 한국의 국가보훈처는 호국영웅기장 수여 행사 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주관하고 공 공단체와 시민, 학생들이 다수 참가한 가운데 6·25참전용사들에게 직접 수여 하여 참전자들의 공훈을 찬양하고 국민 에게 호국안보의식을 고취하는데 역점 을 두고 시행토록 했다. 이에 따라 11월1일 국가보훈처가 주 관하는 수여식을 시작으로 각 지방자치 단체별로 전국에서 수여식 거행되어, 12 월16일 경상북도가 회원 1,000명이 참가 하여 축제의 한마당으로 시행된 수여식 을 끝으로 행사가 종료되었다. 그러나 이‘호국영웅장’수여는 한국 내에서만 이루어질뿐 재미한인사회는 물론 해외에 거주하는 6·25 참전용사들 에게는 수여는 물론 총리령 발령 1년이 지나도록 아무런 연락도 조치도 없다. 이에 대해‘대한민국 6·25참전유공 자회 뉴욕지부’윤영제 회장은 19일“아 마 국가보훈처에서 할 일이 많아 해외에 있는 6·25 참전용사들에까지 배려가 가 지 않은 것 같다” 고 말하고“사정은 이 해하지만, 그래도‘호국영웅장’수여를 빠뜨린 것은 대단히 섭섭하다” 며 한국 국가보훈처가 한시 바삐 재외 참전용사 들에게‘호국영웅장’ 을 수여해야 할 것” 이라고 주장했다. 윤영제 회장은“호국영웅장은‘대한 민국 6·25참전유공자회’ 가 생명을 걸 고 나라를 지킨 구국용사들에게 국가적 으로 공적을 정당하게 평가하여 그 구국 정신을 일깨워 후세에 전하기 위해 6· 25 참전용사들에게 호국영웅장을 수여
맑음
9월 20일(토) 최고 76도 최저 68도
맑음
9월 21일(일) 최고 79도 최저 64도
맑음
9월 22일(월) 최고 73도 최저 55도
9월 20일 오후 1시 기준(한국시각)
1,044.50
1,062.77
1026.23
1,054.70
1034.30
1,057.03
1033.72
“가렛 의원, 공립학교 위해 뭘했나!” ‘공교육 위한 재정감축 찬성’등 문제점 지적
6·25참전용사‘호국영웅장’.
7월27일 6·25 정전 60주년 기념행사장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하여 축하를 받는 가운데‘대한민 국 6·25참전유공자회’박희모 회장이 대표로 국가보훈처장으로부터‘호국영웅장’을 받고 있다.
윤영제 회장.
하자고 수년간 건의하여 결실 맺은 것이 다”고 소개하고,“모든 국민은 나라를 위해 희생 봉사할 수 있는 호국정신이 충만하고 모든 젊은이가 국가와 겨레를 위해 하나같이 자발적으로 전쟁터로 뛰 어드는 국가가 되어야, 적이 도발을 포 기하게 된다. 국가를 위한 참전용사를 존경하는 법을 제정하고 제도화하며 사 회관습화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윤회 장은“그러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참전 용사들이 정당한 평가를 받아 존경받는 사회가 돼야 한다. 그런면에서 한국정부 가 뒤늦게나마‘호국영웅장’ 을 수여하 는 것은 참 잘하는 일이다”고 말했다. 윤영제 회장은“그런데 그 자랑스런 호국영웅장을 수여하면서 재외 참전용 사들을 고려하지 않은 것은 크게 섭섭하 다. 재외 참전용사들에게도 한시바삐 이 를 수여해야 한다” 고 강조하고“우리 6 ·25참전유공자회 뉴욕지부 회원들만
한국 국가보훈처는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전국에서‘호국영웅장’수여식을 거행했다. 사진은 경상남 도 수여식.
하더라도 제일 막내가 여든살이다. 대부 분 회원이 85~90세 이다. 시간이 없다. 해마다 생존회원들이 줄어든다. 현재도 입원해 계신 회원이 4명이나 된다. 국가
보훈처는 이런 실정을 감안하여 서둘러 서 해외 6·25참전 용사들에게 자랑스러 운‘호국영웅장’ 을 수여해야 할 것이다” 고 촉구했다. <송의용 기자>
백악관에 괴한 침입… 직원들 긴급 대피 19일 오후 늦게 한 남성이 백악관 담 을 넘어 대통령 관저를 향해 뛰어가다 가 체포됐다고 AP통신 등 외신들이 보 도했다. 이 때문에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참 모들의 집무실이 있는 웨스트윙(서관) 이 한때 소개되기도 했다. 침입자의 신
원과 동기 등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사건은 오바마 대통령이 전용별장인 캠프 데이비드에서 주말을 보내기 위해 백악관을 떠난 직후에 발생했다. 9·11테러 13주년인 지난 11일에도 한 남성이 백악관 북쪽 담을 넘었다가 비밀경호국에 체포된 바 있다.
뉴저지 연방하원의원 선거 제5선거 구에 민주당 공천으로 출마한 로이 조 (33·변호사) 후보가 스캇 가렛 현 공화 당 의원에게 공립학교에 대한 관심을 가져줄 것을 당부했다. 로이 조 후보는 19일“북부 뉴저지주 에서 열리는 여러 새학기 관련 행사들 에 스캇 가렛 의원이 참석하여 문제점 을 청취하고 공교육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 나서주기를 희망한다” 고 밝혔다. 조 후보는“학생들에게는 그들의 미 래와 요구를 의회에서 대변해 줄 수 있 는 의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스캇 가렛 의원은 지금껏 학생은 물론 교사 및 부 모들의 편에서 그들을 대변해주지 못했 으며, 대학 진학을 보장해 주는 데에도 실패했다” 고 지적했다. 또 조 후보는“연방정부의 공교육에 대한 투자를 반대하는 극단적 보수주의 스캇 가렛 공화당 의원의 이념이 헌법 에 위배된다” 고 주장했다. 가렛 의원은 뉴저지 학교들의 특수교육 프로그램 학 생들을 위한 지원금을 축소시키자는 법 안에 찬성한 바 있다. 조 후보는“지역 납세자들 모두 공교 육의 재정감축이 학생들에게 재정적인 압박을 줄 뿐만 아니라, 재산세를 증가 시키는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 이라는 점을 인식하게 될 것이라 고 말하고“가렛 의원의 가장 큰 문제점 은 그가 내세우는 주장이 지역사회에 어떠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지 인지하 지 못하고 있다는 것” 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조 후보는“가렛 의원은 공교육 지원 축소가 학교 세금을 감소 시키는 것에만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판단하지 만, 이는 결국 재산세의 증가로 이어지
로이 조 후보.
기 때문에 지역 사회에 큰 여파를 몰고 오게 될 것” 이라고 경고했다. 로이 조 후보 선거 캠프는“가렛 의 원은 20명의 연방의회 의원 중 공립학교 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의 전과기록 을 확인하자는 제정법에 제동을 건 유 일한 의원이다. 그는 또한 80명의 뉴저지 입법기관 멤버 중 공·사립 학교 및 보육원에서 의 유해물질 사용을 금지하자는 주 법 률에 반대한 세 명의 멤버들 중 한 명이 기도 하다” 고 그간의 가렛 의원 의정 활 동을 밝히기도 했다. 로이 조 후보는 “스캇 가렛은 계속적 으로 우리 자녀들을 보호할 수 있는 모 든 규정들에 대해 등을 돌리고 있다. 이 러한 그의 부적절한 태도는 지역 내 민 심이 떠나가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 다” 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