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0315a

Page 1

Friday, July 3, 2015

<제3104호> www.newyorkilbo.com

THE KOREAN NEW YORK DAILY

제보·문의 대표전화 (718) 939-0900

2015년 7월 3일 금요일

“美, 일본에 위안부 문제 해결 요구하고 있다”

국무부 관리, 한국에도 조속 해결 촉구

김복동 할머니“죽기 전에 꼭 해결되는 것 보고 싶다”

맑음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윤 대표는 또“미국 관리들이‘한국 미국 국무부 관리들은 2일 미 정부가 일본 정부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조속 정부에도 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하고 는 점을 언급했다” 고 덧붙였다. 히 해결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 있다’ 이날 오후 1시부터 약 1시간 동안 진 다. 미 국무부 관리들은 이날 워싱턴DC 행된 면담에는 국무부의 한국 담당 및 를 방문 중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 일본 담당 직원과 함께 세계여성문제 전 복동(89) 할머니와 면담한 자리에서 이 담대사실의 실무진 등이 참석했다. 김 할머니는 애초 캐서린 러셀 국무 같이 말했다고 면담에 배석한 윤미향 한 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상임대표가 부 세계여성문제 전담대사를 직접 면담 할 예정이었으나, 일정이 맞지 않아 면 전했다. 윤 대표는 이날“미국 관리들이 오늘 담이 성사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복동 할머니는 국무부 관리들에게 면담에서‘우리도 위안부 문제가 잘 해 결되길 바라고 있고, 이 문제에 있어서 14살의 나이에 위안부로 연행돼 중국 광 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입장도 명확하 둥과 홍콩,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와 자 다. 일본 정부에 위안부 문제를 해결할 바,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지로 끌려 것을 요구하고 있다’ 고 말했다” 고 설명 다니며 고초를 겪은 사실을 증언하면서 “내가 죽기 전에 일본 정부가 잘못을 인 했다.

2013년 8월8일 박한용 민족문제연구소 교육홍보실장이 서울 성북구 안암동 고려대학교에서 공개된 일본군위안소 조선인 종업원의 일기를 들어보이고 있다. 이 일기는 지난 1942년부터 1944년 말까지 버마(현 미얀마)와 싱가포르의 일본군 위안소에서 일하던 한 조선인이 작성한 것으로, 일본군위안소 의 경영 실태와 일본군위안부의 생활상 등이 담겨 있다. 또 일본군이 일본군위안부를 여러 차례 조직 적으로 동원한 사실 등도 남겨져 있다.

일본 공문서를 토대로 일본군 위안부 제도를 연구해온 나가이 가즈(永井和)

교토(京都)대 대학원 교수(일본근현대 사)는“일본군 위안소가 군이 설치한 후 방시설이라는 것을 군이나 경찰의 공문 서로 실증했다” 고 말했다.

7월 4일(토) 최고 77도 최저 68도

맑음

7월 5일(일) 최고 85도 최저 70도

7월 3일 오후 1시 기준(한국시각)

1,121.30

워싱턴DC를 방문 중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89·가운데 휠체어에 앉은 분)할머니가 2일 오 후 미 국무부를 찾아 관리들에게 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한 뒤 청사 내에서 기념촬영을 했다. 김 할머 니 바로 뒷편은 윤미향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상임대표.

정하고 법적 사죄와 함께 법적 배상을 하는 것을 보고 싶다. 죽기 전에 이 문제

가 꼭 해결되는 것을 보고 싶다” 고 말했 다.

중국 상하이에서 발견된 어메이(峨嵋)로 400번지 일본군 위안소의 모습. 전쟁 당시에는 3층 건물이었 으나 지금은 2층이 더 높아진 5층 서민 아파트로 변해 주민이 살고 있다.

“위안소는 일본군 설치시설, 공문서로 실증 공창시설과는 달라… 군의 책임 부정 못해” 日 나가이 교토대 교수

7월 3일(금) 최고 81도 최저 66도

나가이 교수는 2일 아사히(朝日)신문 과의 인터뷰에서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1993년 8월 고노(河野) 담화 발표 후 이뤄진 자신의 연구가‘위

안소는 전지(戰地)에서의 공창시설, 즉 민간의 매춘시설이며 군에 책임이 없 다’ 는 주장에 대한 비판이기도 하다면 서 이렇게 언급했다. 그는 1937∼1938년 위안소 설립이 추 진될 당시 중국 상하이(上海)의 일본군 특무기관, 헌병대, 일본총영사관이 업무 를 분담하기로 협정을 체결했고, 군의 의뢰를 받은 업자가 일본과 한반도에 파 견돼‘황군(皇軍) 위안소 작부(酌婦) 3 천 명 모집’ 이라고 알리며 여성을 모았

1,140.92

1,101.68

1,132.20

1,110.40

1,134.75

1,097.77

김 할머니는 특히 미·일 간 새 방위 협력지침 개정을 통한 일본의 재무장화 움직임을 겨냥,“미국 정부도 책임이 있 지 않느냐. 일본이 전쟁을 다시 할 수 있 도록 미국이 돕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 을 한다” 면서“ ‘미국만 손을 잡아주면 된다’ 는 생각을 아베가 하는 것 같은데 미 정부가 아베에게‘이 문제를 똑바로 해결하라’ 고 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김 할머니는 면담 후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서한을 국무부 관리들에게 전달했 다. 김 할머니는 면담에 앞서 오전 워싱

턴 정신대대책위원회 이정실 회장 등과 함께 버지니아 주 페어팩스 카운티 정부 청사 뒤쪽에 조성된 일본군위안부 기림 비를 찾았다. 또 앞서 지난달 27일 오하이오주 클 리블랜드에서 열린 미국 개신교 종파 연 합그리스도교회(UCC)의 총회 워크숍 에 참석해 위안부 참상을 증언한 데 이 어 지난 1일에는 워싱턴DC 북서쪽 주 미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첫 수요집회 에 참석해 아베 정권의 역사 왜곡을 규 탄하고 위안부 문제의 진정한 해결을 촉 구했다.

다고 설명했다. 나가이 교수는 당국과 군 사이에 이 뤄진 협조를 잘 모르는 일부 지방 경찰 이 위안부 모집 활동을 단속하려 했고 형법의‘국외이송목적 괴치’ (拐取, 유괴 와 약취) 혐의로 업자를 조사하는 일도 있었으나 결국 사정을 알고 업자를 석방 했다고 예를 들었다. 그는“육군대신이 중일전쟁 개시 후 인 1937년 9월에‘야전 주보(酒保, 군대 의 영내 매점)규정’ 이라는 규칙을 개정 한 기록을 2004년 방위청방위연구소의 소장자료에서 발견했다” 며 위안소가 군 시설인 근거를 제시했다. 1937년 9월 29 일 자로 육군대신이 공표한‘개정야전 주보규정’ 을 보면‘주보’ 에‘위안 시설 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는 항목이 있 다는 것이다. 나가이 교수는 1941년 육군경리학교 교관이 집필한 교재인‘초급작전급양백 제’ 에도‘위안소의 설치’ 가 업무의 하나 로 기재되는 등“위안소는 민간 업자가 불특정 다수 손님을 위해 영업하는 통상 의 공창시설과 다르다” 고 지적했다. 이

어“위안소는 군이 군사상의 필요에서 설치·관리한 장병전용의 시설이며 군 편성의 일부로 돼 있었다” 고 강조했다. 나가이 교수는 전쟁 전에도 인권을 이유로 공창제도를 폐지해야 한다는 비 판이 있었고 내무성이‘창기(娼妓)단속 규칙’ 을 정하기도 했으나 군의 위안소 에 관해서는 그런 정도의 규칙조차 발견 되지 않았다며 위안소 제도가‘인신매 매에 의한 노예제도’ 였다는 비판을 받 아도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또 위안부를 모집하는 과정에서 업자 가‘좋은 일이 있다’ 고 여성을 속여 데 려가는‘취업 사기’ 나‘유괴’ 가 이뤄졌 다는 증언이 많으며 이는 형법의‘국외 이송목적괴치죄’ 에 해당한다고 부연했 다. 나가이 교수는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등 점령지에서는 일부 부대에 의해 납 치, 유괴와 같은 강제연행이 벌어졌다는 것이 전범재판 기록 등에서 드러났고 군 이 강제 연행을 명령했는지와 상관없이 군의 책임을 부정할 수 없다고 결론지었 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