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1515c

Page 1

BUSINESS & LIFE

Friday, May 15, 2015

www.newyorkilbo.com

THE KOREAN NEW YORK DAILY

제보·문의 대표전화 (718) 939-0900

2015년 5월 15일 금요일

중국이‘김치햄버거’만들어 ‘엉클샘’ 상호로 맨해튼 상륙 중국식 햄버거가 맨해튼 한복판에 첫 매장을 연다. 뉴욕데일리뉴스는 14일 중국 햄 버거 체인인‘엉클샘’ 이 맨해튼 패션 거리인 5번가에서 오는 18일부터 영업을 시작한다 고 전했다. 그러면서“미 국인의 마스코트인 엉 클샘이라는 이름을 썼는데, 이는 미국의 대표 음식인 햄버거를 파는 공격적 행위에 비 하면 아무 것도 아니다” 라고 전했다. 지밍바이 엉클샘 대표는 광산업, 건설업, 부동산업 등으로 재산을 모은 뒤 요식업에 진출한 것이라는 내용도 덧붙였다. 엉클샘은 미국 시장 공략을 위해 유 명 푸드컨설턴트의 자문을 토대로 메 뉴를 선정했다. 햄버거 패티에도 미국 내 최고급 등급인‘USDA 프라임’쇠 고기를 쓸 것으로 알려졌다.

엉클샘 ‘베이징 치킨 샌드위치’ <출처= 비즈니스인사이더>

엉클샘 측은“가짜는 전혀 없다. 정 말로 좋은 쇠고기를 쓸 것” 이라며“아 시아의 색다른 맛과 질감을 전달하는 통로로 햄버거를 이용할 것” 이라고 말

했다. 대표 메뉴 중에는 김치버거도 있 다. 뉴욕서도 인기를 끌고 있는 한 국의 김치를 햄버거의 토핑으 로 얹은 것이다. 또 중국식 소스로 요리한 베이컨, 딤 섬의 새우, 돼지고기 속 재료를 넣은 햄버거 메뉴도 있다. 그러나 미국인들이 썩 환영하는 분위기는 아니다. 한 뉴욕 시민은 “내가 중국에 가서 훌륭 한 중국 요리사가 되겠다 고 말하는 것과 뭐가 다르 냐” 고 어리둥절해했다. ‘햄버거 아메리카’ 라는 책을 쓴 작 가인 조지 모츠는“미국인들은 햄버거 에 대해 깊은 자부심을 갖고 있다” 며 “중국이 인종의 용광로에 첫 가게를 연 것은 똑똑한 판단이었을지 모르지만, 뉴욕 시를 벗어나서도 잘 될지는 모르 겠다” 고 말했다.

ICT 시가총액 삼성전자 10위 턱걸이… 3년 연속 하락 스마트폰 판매 부진 등으로 위상 약화… 애플·MS·구글 ‘톱3’ 10위권 내 중국 기업 3개로 급부상… 일본 기업은 몰락 스마트폰 판매 부진 등으로 주가가 하락하면서 전세계 정보기술산업(ICT) 기업 중 삼성전자의 시가총액 순위가 10위에 그쳤다. 애플이 4년 연속 1위를 차지하고 마 이크로소프트(MS)와 구글이 2위 다툼 을 벌이는 가운데 중국 기업이 급부상 한 반면 일본 기업은 몰락한 것으로 나 타났다. 15일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보고 서에 따르면 시장조사기관 S&P 캐피 탈 IQ가 발표한 이달 1일 기준 글로벌 ICT 기업 시가총액 순위에서 애플이 7 천428억8천만달러로 독보적 1위를 차 지했다. 애플의 시가총액은 2위와 3위 에 오른 MS(3천947억4천만달러)와 구 글(3천715억4천만달러)의 2배에 육박 했다. 애플은 2012년부터 4년 연속 시 가총액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애플, MS, 구글에 이어 미국 기업으 로는 페이스북이 2천217억달러로 5위 에, 미국 최대 통신서비스업체인 버라 이즌과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DBMS) 분야 세계 1위인 오라클이 각 각 6위와 8위에 오르는 등 모두 6개 기

글로벌 ICT 기업 시가총액 순위 ※ 출처 S&P Capital IQ

업이‘톱 10’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2012년 말 시가총액 2천억달러를 돌파하며 6위에 올랐던 삼성전자는 2013년 말 기준 7위(1천892억달러), 2014년 말 9위(1천780억달러)에 이어

이달 1일에는 1천897억달러로 10위에 그쳤다. 삼성전자 시가총액은 주력 분야인 스마트폰 사업의 판매 부진 영향으로 주가가 약세로 돌아서며 2천억달러 밑

미국의 경기 회복에 힘입어 주택을 사려는 수요도 빠르게 늘고 있다. 174개 메트로지역 중 중간가격을 기준으로 할 때 작년보다 오른 곳 은 148개였다. 전국 평균 가격 상승률은 7.4%로 물가상승률을 크게 웃돌았다.

주택가격 급등… 공급이 수요 못 맞춰 174개 메트로지역 중 148개 지역이 평균 7.4% 상승 미국의 경기 회복에 힘입어 주택을 사려는 수요도 빠르게 늘고 있다. 하지 만, 금융위기 이후 주택건설업체 부도 등으로 말미암아 공급이 수요를 따라 오지 못해 일부 지역에서는 가격이 급 등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부동산중개 인협회의 자료를 인용해 174개 메트로 지역 중 51개 지역의 1분기 주택가격 이 1년 전과 비교하면 두자릿수의 상승 률을 기록했다고 12일 보도했다. 직전 분기인 작년 4분기에는 24개 지역이, 1년 전인 작년 1분기에는 37개 지역이 각각 두자릿수 상승률을 보였 다.

174개 지역 중 중간가격을 기준으 로 할 때 작년보다 오른 곳은 148개였 다. 전국 평균 가격 상승률은 7.4%로 물가상승률을 크게 웃돌았다. 텍사스주 북부의 셔먼-데니슨지역 은 1년 새 33.4%나 뛰어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플로리다주의 포트 세인트 루시 지 역도 22.9%나 올랐으며, 인디애나주의 사우스 벤드-미샤와카 지역은 19.1% 였다. 이처럼 주택가격이 크게 오른 이유 는 수요 증가를 공급량이 따라잡지 못 하기 때문으로 지적되고 있다. 작년에 새로 지은 단독주택은 총 64만8천 채

로 2011년의 43만1천 채보다 늘었지 만, 금융위기 이전인 2005년에 170만 채였던 것과 비교하면 3분의 1수준에 불과하다. 이같은 공급 부족은 금융위기를 겪 으면서 많은 주택건설업체가 도산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수요가 늘고 공급 이 줄면서 주택 매매 계약에 걸리는 기 간도 4.6개월로 작년(4.9개월)보다 줄 었다. 경제 전문가들은 6∼7개월을 적 정한 기간으로 보고 있다. 또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로 말미암 아 따뜻한 남부를 포함한 일부 지역에 서 은퇴자들의 수요가 늘어난 것도 이 유로 지적됐다.

으로 떨어졌다. 삼성전자 주가의 역대 최고가는 2013년 1월3일 장중 기록한 158만4천 원이다. 지난 14일 기준 종가는 134만 원으로 최고가 대비 15% 가량 하락했 다. 다만 삼성전자가 1분기 시장의 기 대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한데다 최근 출시한 갤럭시 S6와 S6엣지의 판매가 본격적으로 반영되는 2분기에는 8조 원대 영업이익이 기대되는 점은 주가 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미국 기업과 삼성전자를 제외하고 는 중국 최대 이동통신사인 차이나모 바일이 4위,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 가 7위, 게임업체 텐센트가 9위에 오르 는 등 중국 기업이 톱 10의 나머지 자 리를 차지했다. 지난해 9월 뉴욕증시에 상장한 알

리바바는 상장일에 주가가 공모가 대 비 38% 오르는 등 지난해 말 기준 시 가총액이 2천584억달러까지 불어났 다. 그러나 최근 모조제품 판매 논란, 매출 조작 등이 주가에 영향을 미치면 서 지난 1일에는 2천19억달러로 감소 했다. 텐센트는 지난해 말 집계에서는 톱 10에 들지 못했으나 지난달 13일 처음 으로 2천억달러를 돌파하며 삼성전자 를 앞섰다. 이달 1일 기준 시가총액은 1천930억달러로 집계됐다. 중국 기업의 부상과 달리 최근 3년 간 일본 ICT 기업은 단 한 곳도 글로벌 톱 10 반열에 오르지 못했다. 일본 휴대전화 업체는 자국 시장에 만 특화된 기능 개발에 주력하다가 해 외 진출 기회를 놓쳤다. 반도체 업계는 설계를 전문으로 하

는 팹리스 업체와 개발을 전문으로 하 는 파운드리 업체로 나뉘는 세계적인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하고 개발부터 생산까지 모두 고집하다 도태됐다는 분석이다. 디스플레이 역시 과거 성공과 기존 브라운관 기술 개선에 집착하다가 디 지털·평판 기술 전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면서 한국이나 중국 업 체에 비해 열세를 보이고 있다.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는“국내 기 업으로는 유일하게 삼성전자가 톱 10 에서 고군분투하고 있는데 신산업 분 야를 중심으로 글로벌 수준의 기업 육 성이 절실하다” 면서“위상이 강화되고 있는 중국, 전통적인 선도국 미국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투자 확대, 기술 개발, 브랜드 이미지 제고 등의 차별화 전략도 모색해야 한다” 고 밝혔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