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0114a

Page 1

<제2747호> www.newyorkilbo.com

Thursday, May 1, 2014

THE KOREAN NEW YORK DAILY

제보·문의 대표전화 (718) 939-0900

2014년 5월 1일 목요일

재외동포재단 제주도 이전“강력 반대” “재외한인들의 방문 편의성·효율성 살리려면 서울에 있어야” 지난 2005년 노무현 정부가 지역균형 발전을 추진한다며 발표한 수도권 소재 176개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 계획에 따 라 재외동포재단(이사장 조규형)이 제 주도로 이전하는 것과 관련,‘이전이 바 람직한 것이냐’ 는 논란이 2014년 현재까 지도 계속되고 있다. ◆ 2012년까지 8개 기관 이전을 명 시한‘제주 혁신도시’사업 = 노무현 정 부에 의해 입안된‘제주 혁신도시’사업 은 제주도를 교육, 문화, 주거 등 정주환 경과 국제교류, 관광, 연수폴리스 사업 에 특화된 복합도시로 개발하는 것을 목 표로 1백15만 1천평방미터 규모의 부지 에 국립기상연구소, 한국국제교류재단, 재외동포재단 등 8개 기관이 이전할 것 을 명시했다. 당초 2012년까지 모든 청사 이전을 완료한다는 방침이었지만 차질이 생겨 2012년 12월 이전을 완료한 국토교통인 재개발원과 2014년 3월 신청사 준공식을 가진 국립기상연구소를 제외하고는 2015년까지 이전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 다. 부지조성은 2013년 7월 모두 마무리 됐다.

6·4 지방선거에 제주도지사로 출마 한 새정치민주연합 강상주 전 서귀포시 장은 지난 3월 언론 인터뷰에서“2005년 국제자유도시를 선도하는 국제교류, 교 육연수도시를 목표로 출발한 제주도 혁 신도시 사업이 9년차가 되는 아직까지 이뤄지지 않았다” 며“몇몇 기관은 이전 계획조차 핑계를 대며 늦추고 있다” 고 제주 혁신도시 사업이 지연되는 것을 비 판했다. 그는 또 국제교류재단과 재외동 포재단 등의 이전이 예산관련부서와 협 조가 잘 이뤄지지 않아 미뤄지고 있다는 점에 대해“왜 이런 일들이 벌어지고 있 는지 관련 공무원들의 책임미루기가 아 닌지 우려스럽다” 면서“대통령 직속의 지역발전위원회, 국토부 소속의 공공기 관지방이전추진단, 기획재정부 예산부 서 등이 모여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고도 말했다. ◆ 재단 이전 시 접근성 저하 우려 목 소리 = 그러나 재외동포재단은 해외에 거주하는 한인들을 위한 기관인 만큼, 재단 이전 문제로 가장 큰 불편을 겪게 되는 대상은 모국 방문 시 이곳을 찾는 재외한인들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 우려

4월30일 뉴욕시의회에서 열린 공청회에서 한인학생 유종민씨(왼쪽)가 시정부 신분증 발급의 필요성 에 대해 증언하고 있다. <사진제공=민권센터>

“뉴욕시‘신분증’꼭 발급해야” 민권센터, 뉴욕시의회 공청회서 필요성 강조 서류미비자를 포함해 뉴욕시에 거주 하는 모든 사람에게 시정부 신분증 (Municipal ID)을 발급하는 법안에 대 한 공청회가 4월30일 뉴욕시의회에서

열렸다. 민권센터(회장 정승진)도 공청 회에 참가, 법안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민권센터의 그레이스 심 사무총장은 이날“뉴욕 지역 서류미비자들 가운데

서울시 서초구 외교센터 6층에 위치한 재외동포재단.

한국을 방문할 예정인데, 재단이 제주도 동체 위해 재검토하라”= 제29대 뉴욕한 로 옮겨가게 되면 바쁜 일정을 또 쪼개 인회장을 지낸 이경로 전 회장은“편리 제주도에서 하루를 더 보내야 한다” 며 한 행정을 구현해야 할 정부가 오히려 “항공료도 문제이지만, 서울의 기타 기 시대 흐름에 역행하고 있다” 면서“재단 관과 단체들과도 만나 유기적으로 협조 의 제주도 이전을 통해 재외한인들의 접 를 구해야 하는 점을 감안한다면 효율성 근성을 떨어뜨리는 것은 글로벌 한민족 에서 심각한 문제가 생길 것” 이라고 주 네트워크 확충을 통해‘한민족 공동체’ 시대를 열겠다는 정부 방침에 완전히 어 장한다. 재외동포재단이 제주도로 이전하면 긋나는 것” 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LA한인회 배무환 회장은 재단 이전 비행기편이 불편한 세계 각 지역에 사는 재외 한인들은 불편함이 더욱 커질 것이 에 대해“재외동포재단은 한국을 방문 다. 작년 서울에서 열린 세계한인언론인 하는 한인들에게 행정과 문화, 산업, 교 대회에 참석했던 남미 지역에 거주하는 통의 발전양상을 가장 잘 보여주는 서울 회원은“한국 직항 비행편이 없어 서울 에 위치해야 한다” 고 주장하면서“LA 까지 오는데 48시간이 걸렸다” 며“재외 한인사회를 대표할만한 모든 인사들은 동포재단이 제주도로 이전한다면 이틀 재단의 제주도 이전을 반대하고 있다” 반을 비행기에 몸을 실어야 한다” 고 불 고 전했다. 뉴저지대한체육회의 헨리 이 회장은 만을 토로했었다. 정금연 회장은“미주한인언론인연합 “재외동포재단의 제주도 이전은 도저히 회 뿐 아니라 세계한인언론인연합회에 납득할 수 없는 일로, 원점에서 재검토 고 말했으며, 보스턴에 거주 서도 한인들에게 불편함만 가중시키는 해야 한다” 재단 이전 문제를 규탄하는 결의문을 채 하는 장명술씨도“이전게획은 탁상행정 택하여 범동포 차원에서 이전 반대 운동 의 대표 사례” 라며“결국 한인들이 재단 을 방문하지 말라는 얘기” 라고 주장했 을 전개해 나갈 것” 이라고 밝혔다. ◆ 한인들,“이전 반대… 한민족 공 다. <심중표 기자>

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미주한인언론인연합회 정금연 회장 은 이에 대해“지역균형발전이라는 명 목 아래 진행되는 실효성 없는 무책임한 사업” 이라고 지적했다. 그는“40-50명에 불과한 재단 직원들의 사무실이 제주도 로 옮겨진다고 해서, 그것이 지역균형발

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다” 면서“(재단 이전으로)제주도를 방 문해야 하는 재외한인들이 비싼 숙소에 서 밤을 보내고 관광사업 발전에 돈을 쓰라는 얘기” 라고 꼬집었다. 이어“올 가을 개최할 뉴욕한인청과 협회 주최 추석대잔치 행사 협조를 위해

18만명으로 추산되는 아시안아메리칸 이 거주하고 있다” 며“우리들은 뉴욕시 가 더욱 포용적이고 모두가 접근할 수 있는 지역이 될 수 있도록 시정부 신분 증 발급을 희망한다” 고 밝혔다. 심 사무총장은“그러나 시정부 신분 증이 이민자 신분을 나타내선 안 된다” 며“이를 위해 시는 뉴욕에 거주하는 모 든 사람들에게 신분증을 발급해야 한 다” 고도 말했다. 그는“뉴욕시는 이민자 포용을 위해 더욱 창의적인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증언을 위해 참석한 브루클린에 거 주하는 한인학생 유종민씨는“미국에서 고등학교와 대학교를 졸업 했음에도 이 민자라는 신분 때문에 집에서 택배를 받 는 일조차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고신 분증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편 민권센터 등 뉴욕시 일원의 이 민자, 사회단체, 노조들은 1일 오후 5시 시청앞에서 집결해 월스트릿까지 이민 자 및 노동자 권리 보장을 요구하는 행 진을 벌일 예정이다.

“포토ID없어도 투표할 수 있게해야” 연방법원, 위스콘신주 유권자ID법 무효 판결 타주에 영향 주목 연방법원이 위스콘신주의 유권자 ID법을 무효화했다. 유권자 ID법은 투 표시 주정부가 발행한‘사진이 부착된 신분증’ (포토ID)을 제시하도록 규정한 법으로 주로 공화당이 주도권을 장악한 주에서 엄격히 적용하고 있다. 4월30일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미 연방법원 위스콘신 동부지원은 전날 유 권자 ID법이 저소득계층과 소수계 유권 자들에게 불균형적 부담을 안길 수 있을 뿐 아니라 투표권법과 미국 헌법에 위반 된다며 폐기 명령을 내렸다. 린 애들먼 판사는 판결문에서“위스 콘신주 소수계 인종 대부분이 저소득층

에 속해있고 이 경우 운전, 은행거래, 여 행 등에 필요한 포토ID’를 갖고 있지 않는 수가 많다” 며“이들에게 포토ID 소지를 강제할 수 없다” 고 밝혔다. 이어 그는“위스콘신 주내에 포토ID를 갖고 있지 않은 사람은 약 30만명으로 추산되 며 이 중 흑인이나 라틴계가 백인보다 훨씬 더 많다” 면서 유권자 ID법을 고수

한때 비

5월 1일(목) 최고 73도 최저 54도

맑음

하는 것이 이들의 선거 참여율에 큰 영 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공화당 지지자들은 위장투표 방지를 위해 유권자 ID법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다. 그러나 민주당 측은 미국이 50여년 에 걸쳐 확보한 소수계 투표권이 침해받 을 수 있다며 반대한다. <2면에 계속>

5월 2일(금) 최고 68도 최저 52도

맑음

5월 3일(토) 최고 65도 최저 52도

5월 1일 오후 2시 기준(한국시각)

1,032.00

1,050.06

1,013.94

1,042.10

1,021.90

1,044.38

1,021.33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