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rsday, April 23, 2015
<제3044호> www.newyorkilbo.com
THE KOREAN NEW YORK DAILY
제보·문의 대표전화 (718) 939-0900
2015년 4월 23일 목요일
강도 세지는‘과거사 사과’압박… 아베‘버티기’ ‘사과’빠진 반둥 연설에 아베 美의회연설 회의론 커져 … 한인단체 23일부터 규탄활동 보수매체‘연설 연기론’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29일 상·하원 합동연설에서 꺼낼‘과 을 놓고 미국 워싱턴 내에서 거사 언급’ 회의론이 커지고 있다. 일종의 예고편으로 인식돼온 22일 (인도네시아 현지시간) 반둥 연설이 아 시아 피해국들의 기대에 턱없이 못미 친 탓이다. 아베 총리는 과거 전쟁행위 한다고 하면서도 가장 중요한 를‘반성’ 를 하지 않았고, 역대 담화를 관 ‘사과’ 와‘침략’ 통하는 핵심어인‘식민지배’ 이라는 단어조차 언급하지 않았다. < 관련기사 A10면 참조> 워싱턴의 한 외교소식통은 22일“예 며“결국 미 상은 했지만 실망스럽다” 의회연설에서도 한국을 포함한 주변국 들의 기대를 충족할 가능성이 별로 없 고 전망했다. 어 보인다” 이런 분위기는 21일 사사에 겐이치 로(佐佐江賢一郞) 주미 일본 대사의 전 략국제문제연구소(CSIS) 강연에서 이 미 감지됐다. 26일 아베 총리의 방미를 앞두고 사실상의 사전브리핑 형태로 진행된 이번 강연에서 사사에 대사는 이라 “과거사 문제가 적절히 다뤄질 것” 면서도, 아베 총리는 미국과 대화하러 오는 것이지, 반드시 다른 나라에 초점 고말 을 맞출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21일 시민참여센터와 워싱턴 정신대대책위원회 관계자들의 안내로 미 하원 본회의장을 찾은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오른쪽)가 마이크 혼다 의원과 대화하고 있다. 왼쪽 은 김동석 시민참여센터 상임 이사. 뒷편은 워싱턴 정신대대책위원회 이정실 회장.
했다. 과거 태평양 전쟁의 당사자였던 미국에는 사과하더라도 한국을 포함한 주변국에는 고개를 숙일 뜻이 없음을 에둘러 표현했다는 평가다. 이는 지난해 7월 호주 캔버라에서 행한 의회 연설대로 가겠다는 뜻으로
해석되고 있다. 캔버라 연설은 호주를 상대로 저지른 전쟁행위를 사과하고 새로운 미래를 향해 나아가자는 게 핵 심이었고, 주변국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었다. 그러나 아베 총리의 이 같은‘과거
방미 아베“美 속이려는 얄팍한 잔꾀” 미군포로 출신 만찬 초대… 역사인식 우려 없애기 제스처
‘일본군 성노예 피해’는 인정도 사죄도 없어 대조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태 평양 전쟁 중 일본군에게 포로로 붙잡 혔던 퇴역 미군을 이달 말 미국 방문 때 예정된 만찬에 초대했다고 아사히(朝 日)신문이 23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태평양 전쟁 때 필리 핀 루손섬 바탄 반도를 공격한 일본군 에게 붙잡혔다가 살아남은 미군 포로 로 구성된 단체의 대표인 레스터 테니
(95) 아리조나 주립대 명예교수는 아베 총리가 이달 29일 워싱턴에서 열 예정 인 만찬에 초대받았다. 그는“총리의 초청을 받아 매우 영 며 참석하겠다는 뜻을 아사히 광이다” 신문에 표명했다. 테니 명예교수는 전쟁 당시 일본군 이 바탄 반도에서 붙잡은 미군과 필리 핀군 포로 등 수만 명을 폭염 속에서 약
100㎞가량 걷도록 강요해 많은 사망자 을겪 를 낸 이른바‘바탄 죽음의 행진’ 었고 이를 바탕으로 책을 낸 인물이다. 그는 포로생활 중 강제 노역을 배상 하라고 일본 기업을 상대로 소송을 내 기도 했고 일본 민주당 정권 시절인 2010년 일본 정부의 초청으로 도쿄를 방문해 오카다 가쓰야(岡田克也, 현 민 주당 대표) 당시 외무상으로부터 사과
비
4월 23일(목) 최고 53도 최저 37도
구름많음
4월 24일(금) 최고 54도 최저 39도
약간흐림
4월 25일(토) 최고 61도 최저 44도
사 외면’행보를 바라보는 워싱턴의 시 4월 23일 오후 1시 기준(한국시각) 각이 심상치 않게 돌아가는 분위기다. 의회와 언론을 중심으로 아베 총리가 과거사에 대해 깨끗이 인정하고 진솔 1,072.59 1,096.80 1,073.20 1,094.40 1064.84 1,102.76 1,083.80 하게 사과하라는 목소리가 갈수록 커 미치는 포브스도 아베 총리를 통렬히 고 있다. 대표적 지일파 학자인 미국 아 지고 있기 때문이다. 태안보센터 소속 제프리 호넝 교수는 의회에서는 친한파 의원들이 적극 비판하는 글을 올렸다. 보수매체인 위클리스탠더드와 극보 CSIS에 글을 올려“아베 총리에게 부족 적이다. 2007년 하원 위안부 결의안 통 과의 주역인 마이크 혼다(민주·캘리 수단체인 티파티의 웹사이트인‘레드 한 것은 분명하고 명백한 방법으로 역 는 아베 총리의 연설날짜를 사적 책임을 인정하고 받아들이지 않 포니아)·찰스 랭글(민주·뉴욕)·스 스테이트’ 며“이번 연설에 과거사 문 티브 이스라엘(민주·뉴욕)·빌 파스 연기하라는 주장을 내놨다. 위클리 스 는 데 있다” 크렐(민주· 뉴저지) 하원의원이 21일 탠더드의 부편집인인 에던 엡스타인은 제를 포함해야 하며, 중심적 내용은 아 저녁 미국 하원 본회의장에 모여 특별 “미국의 가장 핵심적인 동맹인 일본의 니더라도 간결하고 명백하게 언급해야 고 강조했다. 연설을 했고, 그레이스 멩(민주·뉴 총리가 상·하원 합동연설을 하는 것 한다” 데니스 핼핀 미국 존스홉킨스대 국 며“그러나 날짜를 잘못 골랐 욕)·세일라 잭슨 리(민주·텍사스) 하 은 좋다” 고 지적했다. 이 부편집인은“그날 제관계대학원(SAIS) 연구원도 아베 총 원의원은 공식 의사록에 글을 올렸다. 다” 아베 총리가 위안부 문제를 포함한 과 은 히로히토 천황의 생일을 기리는 쇼 리가 위안부 문제에 명백하게 사죄해 거사를 인정하고 사과하라는 게 공통 와(昭和)의 날이기 때문에 한국인들은 야 한다고 촉구했다. 를운 미국 정보지인‘넬슨 리포트’ 의 주문이었다. [뉴욕일보 4월22일자 물론이고 미국의 참전용사들도 분노하 영하는 크리스 넬슨은 21일 특파원들 고 밝혔다. ‘미 하원의원들, 아베 연설할 연 고 있다” A1면레드 스테이트도“아베 총리가 연설 과 만나“아베 총리는 이번 연설에서 단서 기습 연설’제하 기사 참조]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신문인 할 29일은 히로히토 천황의 생일로서, 무라야마 담화처럼 역사적 책임을 받 고 강조했 뉴욕타임스(NYT)가 지난 20일 아베 총 이날 연설을 하겠다는 것은 참전용사 아들이는 게 가장 중요하다” 리의 역사인식을 정면 비판하는 사설 들과 아시아 동맹국들을 무시하는 것” 다. 2007년 하원 위안부 결의안 통과를 을 게재한데 이어 워싱턴포스트(WP)는 이라며“연설일을 다른 날짜로 연기해 추동해냈던 한인단체들도 8년 만에 다 고 주장했다. 곧 방미 중인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 야 한다” 싱크탱크에서도 아베 총리의 진정 시 움직이기 시작했다. 머니와의 인터뷰 기사를 실을 예정이 <A3면에 계속> 다. 미국 여론주도층의 인식에 영향을 한 사과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대두되
는 관점에서‘동원된 위안부의 야 한다’ 를 받았다. , 아베 총리가 테니 명예교수를 식사 규모에 관한 숫자가 정확하지 않다’ 에 초대하는 것은 전쟁 중 일본군이 미 ‘당시에 군이나 관헌에 의한 강제 연행 는 국에 저지른 잔학행위에 관해 유감 또 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문서가 없다’ 는 사과의 뜻을 우회적으로 표시하려 등의 주장을 전파하는 데 힘을 쏟고 있 다. 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앞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 일본이 미국을 상대로 벌인 전쟁에 서 고통받은 상징적 인물과 화기애애 한 여러 시도가 있었으나 현재는 일본 한 분위기를 연출함으로써 야스쿠니 정부 차원의 노력이 정체·퇴보하고 (靖國)신사 참배 등에서 드러난 자신의 있다는 평가마저 나온다. 미야자와 기이치(宮澤喜一) 내각에 역사 인식이나 8월에 발표할 전후 70년 담화를 두고 나오는 미국 사회의 우려 서는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당시 관방 를 잠재우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이는 장관이 1993년 8월4일 이른바‘고노담 최근 일본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 를 대하는 태도와는 극명하게 대비된 다. 아베 정권은 피해자의 고통과 상처 에 보듬기보다는‘잘못된 사실이 알려 져 일본의 명예가 훼손되는 것을 막아
를 발표해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화’ 인정하고 사죄했으며 무라야마 도미이 치(村山富市) 총리가 재임한 1995년에 는 아시아여성기금이 설립돼 금전 지 급, 총리 사죄문 전달을 비롯한 피해자 지원 활동이 시작됐다. 아시아여성기금의 설립·운영·사 업에는 일본 정부 예산과 일본 국민을 상대로 모금한 돈이 투입됐으며 한국 에서는‘피해자에 대한 일본 정부의 배 라는 비 상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시도’ 판으로 큰 호응을 얻지 못한 채 종결됐 다. <관련기사 A3면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