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2015c

Page 1

BUSINESS & LIFE

Friday, February 20, 2015

www.newyorkilbo.com

THE KOREAN NEW YORK DAILY

제보·문의 대표전화 (718) 939-0900

2015년 2월 20일 금요일

美경제 낙관론 36%→48%로↑ 오바마 경제정책은 54%가 반대 CNN-ORC 여론조사… 오바마 지지 47%·반대 51% 미국인들이 미자국 경제 여건에 대 해 전보다 더 낙관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CNN방송과 여론조사기관 ORC가 실시해 19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지금의 경제 상황이 좋다고 답한 사람이 48%, 나쁘다는 사람이 52%였 다. 지난해 2월 같은 기관들이 시행한 조사에서 좋다는 의견과 나쁘다는 의 견이 각각 36%와 64%였던 것과 비교 했을 때 낙관론이 커진 셈이다. 앞으로 1년 뒤에 경제 여건이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자도 전체의 56%를 기록해 지난 해 10월 조사 때의 52%보다 늘어났다. 그러나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경제 정책에 대한 미국인의 시각은 여전히 비관론 쪽으로 기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오바마 대통령의 경제 정책을 지지한다는 응답은 45%로 지 난해 6월 조사 때의 40%보다 높아졌 지만, 54%의 반대 의견을 넘지는 못했 다. 오바마 대통령이 올들어‘중산층 살 리기’같은 민생 경제 문제를 강조하면

15일 열린 ‘AMCONYC’에 작품 선보인 한인 디자이너 남기연씨.

한인 디자이너 남기연 뉴욕패션계 당찬 도전 브랜드 ‘N/A/M’ 론칭 후 업계 주목

미국인들이 미국 경제 여건에 대해 전보다 더 낙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의 경제 상 황이 좋다고 답한 사람이 48%, 나쁘다는 사람이 52%였다. 지난해 2월 같은 기관들이 시 행한 조사에서 좋다는 의견과 나쁘다는 의견이 각각 36%와 64%였던 것과 비교했을 때 낙관론이 커졌다.

서 일자리 증가 같은 성과를 내세우고 는 있지만, 아직은 미국인들이 자국 경 제가 호전된 것을 체감하지는 못하기 때문으로 해석됐다.

오바마 대통령의 전체적인 직무 수 행을 지지한다는 응답과 반대한다는 응답은 각각 47%와 51%로 지난해 12 월 같은 기관들의 조사 때와 같았다.

연준, 금리 조기인상론 불식…“인내심 필요” 전문가들 “6·9월이나 내년초 단행” 예측 제각각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 준·Fed)의 정책 입안자들은 조기 기 준금리 인상이 경제 전반과 금융 시장 에 미칠 악영향을 우려하면서 인내심 이 필요하다고 여기는 나타났다. 연준이 서둘러 금리를 올리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하는 것으로 조기 인상론이 다소 수그러들 것으로 보인 다. 이런 사실은 연준이 18일 공개한 지 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 의록에서 밝혀졌다. 회의록은“많은 FOMC 위원은 예상보다 이른 (premature) 금리 인상이 명백하게 견

고한 경제 활동 및 고용 상황의 회복을 더디게 할 수 있으며 연준의 목표(완전 고용 및 물가안정)를 향한 진전을 약화 시킬 수 있다는 의견을 보였다” 고 소개 했다. 섣불리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경우 미국 경제 회복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인내심’ (patient)이라는 단어를 삭제하면 금융 시장의 과민 반응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컸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연준은 지난달 27∼28일 열린 FOMC 정례회의에서 현행 제로 (0) 수준의 초저금리 기조를 유지하는 것은 물론 금리 인상을 결정하기 전 인

내심을 발휘하기로 위원 10명 만장일 치 의견으로 결정했다. 연준은 2008년 12월부터 6년 이상 기준금리를 0∼ 0.25%로 책정하고 있다. 회의록은 또 위원들이 달러화 강세 나 지나치게 낮은 물가상승률이 경제 와 연준의 정책 결정에 미칠 영향과 중 국의 성장 둔화, 중동 지역과 우크라이 나의 긴장 고조 등이 미국 경제 전망에 주는 하방 위험 등에 대해서도 토론을 벌였다고 설명했다. 실업률 하락에도 임금 상승이 미약 하다거나 인플레이션이 연준 목표치 (2%)보다 너무 낮다는 지적도 나왔다.

유행을 선도하는 뉴욕 패션계에 도전장을 낸 당찬 한인 디자이너가 업계 주목을 받고 있다. ‘뉴욕 패션위크’ 를 브로드웨이쇼에 비유하자면, 오프 브 로드웨이격이라 설명할 수 있는‘AMCONYC’ 에 한인 남기 연 디자이너가 이름을 올렸다. 15일 갠저부트파크 (Gansevoort Park) 호텔 루프탑에서 열린 런어웨이에 남기연 디자이너의 2015년 가을, 겨울룩 10여 점이 소개됐다. 미디어와 바이어가 대거 초청된 이번 쇼는 자신의 브랜 드를 알리고자 하는 디자이너들의 꿈의 각축장으로, 이들 참석자들의 눈길을 끌 경우 제대로 된 큰 홍보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픽업될 경우 디자이너로 이름을 알리는 것은 시 간문제라는 것이 업계 사람들의 말이다. 남기연 디자이너의 작품들은 일상에서 부담 없이 입을 수 있는 실용성을 갖췄지만‘뉴욕스러움’ 의 독특한 멋을 잃 지 않은 군더더기 없는 간결한 디자인이 특징이다. FIT 출신으로 지난 12년간 도나카란과 엘리 타하리 등 유명 패션회사에서 니트웨어 디자이너로 경험과 실력을 쌓 은 남기연 디자이너는 1년 전 자신의 브랜드인‘N/A/M’ 을 론칭, 뉴욕과 LA 등지에서 적극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다. △남기연 디자이너 웹사이트: www.kiyeonnam.com

한인 디자이너 남기연씨의 작품.

1월 주택 착공건수 107만건… 2% 감소 부동산 경기를 보여주는 지표 가운 데 하나인 주택착공 건수가 지난달 2% 감소했다. 상무부는 올 1월 주택착공이 107만 건으로, 전달의 109만 건보다 2만 건 줄었다고 18일 밝혔다. 특히 주택 시장 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단독주택 착공 건수가 67만8천건으로 전달보다 6.7%

나 줄어 전체적인 감소폭을 확대시켰 다. 그러나 전체로는 주택착공 건수가 5개월 연속 100만 건을 웃돌면서 지난 해 1월에 비해서는 18.7%나 증가한 것 으로 분석됐다. 향후 주택시장 동향을 엿볼 수 있는 건설허가 건수도 지난달 105만 건으로 전달과 비교해 0.7% 줄

었다. 시장 전문가들은 지난해 전반적인 경기 회복세에도 더딘 임금인상 등으 로 인해 주택 시장이 기대치에는 못 미 쳤지만, 올해는 높은 일자리 창출이 예 상되는데다가‘밀레니엄 세대’ (베이비 붐 세대의 자녀)의 주택 수요가 늘어 상 황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
022015c by nyilbo - Issu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