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 나라와 교회생활
함께 읽으면 좋은 책
이 책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이 세상에 뚫고 들어온 하나님 나라가 새 창조를 개시했고, 이 새 창조의 실재가 목회 리더십을 형성하고 교회생활과 사역에 반
신약성경신학
영되어야 한다는 점을 보여 준다.
그레고리 빌 지음 | 김귀탁 옮김 | 992쪽 | 50,000원
이 책은 성경 줄거리에 대한 정경적 시야 와 초점을 제공한다. 빌은 구약 성경의 종 말론적 줄거리에 초점을 맞춘 후, 새 창조 주제를 가지고 능숙하게 신구약 성경을 통합하고, 그런 다음 신약 성경의 ‘이미와 아직 아니’의 마지막 때의 부활과 새롭게
“ 성경신학, 특히 개시되고 완성된 종말론에 관한 가르침이 매일의 삶과 사역과는 무관하다고 생각하
창조된 하나님 나라 이야기로 옮겨 가며 거대한 구속사적 이
는 사람들에게, 글래드와 하몬은 종말론이 기도에서부터 설교와 선교에 이르기까지 사역의 모든 측
야기를 전개한다. 독자들은 새 창조와 하나님 나라에 대한 강
면에 스며들어 있다는 점을 보여 준다. 이 책은 실제적 제안으로 가득 차 있지만, 이 책을 독특하고
조점을 발견할 것이며, 구약 성경과 신약 성경 간의 균형 잡힌
강력하게 만드는 것은 그 실제적 함의가 성경이 가르치는 종말론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이다. 독자
시각을 얻게 될 것이다.
들은 가르침을 받고, 유익을 얻고, 격려를 받을 것이다.”
성전으로 읽는 성경 이야기 그레고리 빌, 미첼 킴 지음 | 채정태 옮김 | 248쪽 | 12,000원
토머스 슈라이너, 서던 뱁티스트 신학교
“ 그리스도인들이 ‘이미’와 ‘아직 아니’ 사이에서 살아간다는 말은 오랫동안 반복되어 왔다. 우리는 죽 어 가는 옛 시대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우리 가운데 이미 시작된 새 창조 사이에 서 있다. 두 시
지금까지 “성전”은 풍성한 연구와 신학적 성
대 사이에서 살아간다는 인식은 교회와 목회와 사역에 대한 우리의 개념을 어떻게 형성하는가? 이
찰의 자료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 성전
책에서 두 젊은 학자는 그레고리 빌의 도움을 받아, 종말 시대의 백성이 된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이라는 주제는 세상 속에서 교회의 지속적인
를 보여 준다. 두 학자는 탁월한 신학적 숙고와 실제적 조언을 제공함으로써, 하나님이 만유의 주님
선교 사역을 위해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이 책에서 두 저자는
이 되실 그날을 위해 사람들이 인내하며 기다리도록 이끄는 법을 알려 준다.”
성전신학을 책장에서 빼내어 강단에 갖다 놓았다. 교회는 바로
하나님 나라의 “이미와 아직 아니”의 목회적 적용
하나님 나라와
교회생활
지은이
벤저민 글래드(Benjamin L. Gladd) 휘튼 칼리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는 미 시시피주 잭슨에 있는 리폼드 신학교에서 신약 학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공저인 『성경신학적 신약개론』 (부흥과개혁사), 『하나님의 비밀』 (새물결 플러스),
『창조에서 새 창조까지』 (From
New Creation)
Creation to
등이 있다.
벤저민 글래드·매튜 하몬 지음 | 신윤수 옮김
매튜 하몬 (Matthew S. Harmon) 휘튼 칼리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는 인 디애나주 위노나 레이크에 있는 그레이스 대학 및 신학교에서 신약학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제대로 질문하기』 (Asking 립보서 주석』 (Philippians:
the Right Questions),
『빌
A Mentor Commentary)
등
이 있다.
마이클 버드,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리들리 대학
이 강단에서 교회의 선교적 사명에 대해 가르침과 권면을 받 는다. 이 책은 목회자들이 설교하는 일에 상당한 도움을 주고, 될 것이다.
“ 여기서 교회론과 종말론이 만난다. 종말에 관한 가르침이 하나님의 말씀 곳곳에 스며들어 있지만, 목회자들은 이 가르침이 교회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거의 생각하지 않는다. 성경을 주의 깊게 살펴 보면, 교회가 완전히 종말론적인 공동체임을 알 수 있다. 글래드와 하몬은 종말에 대한 성경적 이해 가 오늘날 교회의 사역과 정체성에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능숙한 솜씨로 알려 준다. 그들은 성경
앤서니 후크마 지음 | 이용중 옮김 | 454쪽 | 22,000원
전체의 증언을 사용하여, 교회에 대한 하나님의 종말론적 계획이 미래의 소망이면서 동시에 현재의 실재임을 보여 준다.”
대니얼 거트너, 베델 신학교
이 책은 성경의 종말론을 개혁주의의 관점에 서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제시한다. 종말론
신윤수 옮김
개혁주의 종말론
옮긴이
벤저민 글래드·매튜 하몬 지음
오늘날 많은 이들을 괴롭히는 고독감에 대한 훌륭한 해독제가
신윤수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장로회 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M. 성서학(Th.
M., Th. D.)을
Div.)
및
전공했으며, 장로회신학
대학교와 서울장신대학교 등 여러 신학교와 비 블리카 아카데미아에서 가르쳤다. 역서로는 『PNTC 골로새서·빌레몬서』, 『마가신학』, 『레
은 현재와 미래를 동시에 포함하는 실재에 대
위기 성경신학』 (부흥과개혁사), 『게제니우스 히브
한 것이다. 시작된 종말론에서는 하나님 나라의 현재적 성취와
Making All Things New
구속된 동동체가 이미 누리는 복을 다루고, 미래 종말론에서는 죽음과 부활 사이의 신자의 상태, 시대의 표적, 그리스도의 재 림, 천년왕국, 몸의 부활, 마지막 심판, 새 땅 등과 같은 주제 를 다룬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개혁주의 종말론의 진수를
ISBN 978-89-6092-532-8
맛볼 것이다.
www.rnrbook.com 값 17,000원
리어 문법』 (비블리카 아카데미아), 『칼빈주석 사도행 전』 (크리스천다이제스트)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