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KS
조나단에드워즈구속사
존윌슨편집(프린스턴대학교종교학교수)
뉴헤이번& 런던 예일대출판부, 1989
편집위원회
발간사
편집자서문
1. 구속설교시리즈
구속설교시리즈의배경
구속설교시리즈의작성
“역사”프로젝트
구속설교시리즈와『신학묵상집』
설교원본들의운명
구속설교시리즈의출판
구속사의판본들
2. 하나님의가장중대한활동인구속
뉴잉글랜드청교도전통속에서신학적최대관심사였던구속
구속설교시리즈와그설교형식의변형
개신교및청교도의모형론과구속설교시리즈의모형론
구속설교시리즈의문학적구조
구속설교시리즈의계획된개작
구속설교시리즈의논리적구조
3. 구속사에대한반응, 영향그리고해석
서언
구속사에대한비판적반응
『구속사』와19세기미국의종교
『구속사』에대한현대의평가
구속설교시리즈의본문과예일대판의표현
감사의말
하나, 조나단에드워즈를한국교회에전문적, 체계적, 종합적으로소 개하는것은저의꿈가운데하나입니다. 조나단에드워즈는교회사가
배출한인물가운데성경지식과성령체험, 신학이론과생활실천, 냉철 한지성과뜨거운감정이가장탁월하게균형잡힌인물이라믿기때문입 니다. 또한조나단에드워즈의글들이오늘우리시대의솜털처럼가벼 운신앙과왜곡된체험을치유해줄수있는가장좋은치료약이며, 건강
하고성숙한내일의한국교회를위한가장안심하고먹을수있는우리
영혼의먹거리요영적건강식품이라생각하기때문입니다.
둘, 조나단에드워즈에대한여러사람의평가를들어보면이러한제
말이결코과장이아님을알수있을것입니다. 새뮤얼데이비스는“에드
워즈는미국이배출한가장심오한사상가이며위대한신학자”라고말하
며, 페리밀러는“청교도주의는프로테스탄티즘의진수요, 조나단에드
워즈는청교도주의의정수”라고말합니다. 심지어로이드존스는“청교
도들을알프스산에비유하고, 루터와칼빈을히말라야산에비유한다면, 조나단에드워즈는에베레스트산에비유하고싶은사람”이라고극찬합 니다. 참으로신학자, 목회자, 부흥사, 설교자, 선교사, 철학자, 윤리학자,
심리학자, 사회학자, 역사학자등의천의얼굴을가진조나단에드워즈는 이여러분야에서모두뛰어난업적과통찰력을남김으로써8,000미터이 상의고봉을14개나가지고있는히말라야산맥과같은인물입니다. 셋,“좋은목회자, 좋은성도가되기위해서는어떻게하면좋을까요?” 라고묻는분들이있다면언젠가20세기최고의복음주의설교자인로이 드존스와한신학생이나눈대화를소개해주고싶습니다.“앞으로목회 자가되기위해서준비해야할것이무엇입니까?”“조나단에드워즈를
읽으십시오.”“다음에는무엇을할까요?”“조나단에드워즈를읽으십시 오.”“그러면그다음에는무엇을해야합니까?”“조나단에드워즈를읽 으십시오.”
넷, 전체27권의분량으로기획된예일대학교출판부의조나단에드워 즈결정판전집은1957년부터시작되어2007년현재까지25권이출간되 었습니다.
이결정판전집은조나단에드워즈연구의획기적인전환점과 비옥한토양이되어앞으로에드워즈연구의풍성한열매를예고해주고 있습니다.
그동안조나단에드워즈탄생300주년인2003년을조나단에 드워즈를한국교회에알리는원년으로삼고에드워즈를다방면으로소
개하고있는저희부흥과개혁사는이제예일대결정판『조나단에드워즈 전집』발간의발걸음을한걸음씩내딛고있습니다. 그러나에드워즈전
집발간의완간까지는아직갈길이너무멀고험합니다. 독자들의지속 적인기도와성원을부탁드립니다.
2007년가을
에드워즈연구의새아침이한국교회에밝아오기를바라며 백금산드림
구속사이해를위한길잡이글 1
조나단에드워즈의『구속사』는에드워즈의다른주요작품들과는차이 가있는독특한특징을가진책이다.
에드워즈가하나님의세상구속에
대한주제에새로운신학적기초를제공하는자신의생각을한권의책에 정리할의도를갖고있었다는것을우리는알고있다.
드워즈가죽고10년반이지난후에야에든버러에서출판되었는데, 1730 년대후반에시리즈로전했던설교들의중요한필사본이편집되어출판 된것으로추정된다.『신앙감정론』,『의지의자유론』그리고『원죄론』을
포함한중요한논문가운데,『구속사』는에드워즈가출판사에넘기지않 은유일한작품이었다. 다른중요한체계적인작품, 곧『두논문』으로알
려진소논문들은에드워즈가죽기전거의완결된상태에있었다. 이두 편의논문은프로테제(피보호자)들의감수를거쳐사후10년이되기전대 체로원본그대로출판되었다.
따라서『구속사』의독특성은시간과공간 적으로저자와어느정도간격이있는애호가가편집하여출판했다는데 서시작된다.
에드워즈가『구속사』를전개하는방법역시주목할가치가있다. 이 제목아래행한설교시리즈는하나의성경본문에기초해서방대한분 편집자서문│ 13
량의설교를작성했다는점에서에드워즈로서는상당히특별한모험이 었다. 구속사설교형식은전통적인청교도의일반적설교방식에서파 생된것이었고, 설교는거의6개월에걸쳐진행되었다. 확실히에드워즈
의설교속에는전달을위해다수의본문을요구하는설교의실례들이 없지않다. 또한시리즈설교가하나의성경본문에기초해서전해진경 우도있다. 에드워즈는『구속사』를작성하기직전에이런형식의설교를 작성한적이있었다. 이시리즈설교는“사랑과열매”로알려져있는데, 사도바울의사랑에대한찬송(고전13장)을포괄적으로분석하는내용을 담고있다. 그러나구속설교시리즈(Redemption Discourse)1) 처럼, 단일
한설교의구조가30편으로분리되어있는설교안에그대로유지되거나 또는오히려그설교들을바꾸어놓는시리즈설교가현재로서는없다.
비록에드워즈의첫번째중요한논문인,『신앙감정론』은의심할여지
없이이런시리즈로시작된것이지만, 우리는『신앙감정론』설교들의원
본을갖고있지않고, 자료들도출판을위해철저히개작되었다. 따라서
『구속사』는에드워즈작품가운데본문의상태에있어서도독특한작품
이다. 완결되지아니한다른주요논문가운데에는이런초안이남아있 는것들이없다.
『구속사』는또다른면에서도독특하다. 비록에드워즈가자신의가장
성숙한사상속에서나온핵심교리로서체계적으로다루고있기는해도, 이설교들은우리가구속사설교시리즈전체나그중의한부분을다시
설교했다고말할수없는12권의원고책자속에나누어져있다. 에드워 즈가원고에대해중대한수정을가하기시작했음을보여주는유일한증
거는생애말엽에작성한노트들속에서발견되는데, 노트에작업의진행 을표시해둔것으로보인다. 따라서『구속사』라는제목으로출판된책과
1)“Redemption Discourse”라는말은설교시리즈전체를가리키는말이다. A History of the Work of Redemption이라는말은약칭인 Work of Redemption이라는말과함께출판된책의제명으로사 용되고있다.
14 │조나단에드워즈의구속사
구속사라는책의기초를이루는원래의설교강론은아마에드워즈가최
종적으로완결된형식으로구상하고있었던것과는어느정도거리가있 을것이다.
하나님의구속사역계획에대해충분히그리고세밀하게제
시하려는프로젝트는에드워즈가뉴저지대학의수탁자들에게보낸편 지에나타나있다. 그편지에서에드워즈는대학학장으로오라는초청 을마지못해받아들이게된사실을언급하면서, 그논문의윤곽에대해 설명했다.
『구속사』의새로운판을내놓으면서, 편집자는아주조심스럽고, 극히
신중하게그과정을진행시켰다. 나의서론은세부분으로구성되어있 다. 첫째부분은원고자체에대한내용이다. 원고의기원, 특징, 전달그
리고마지막으로출판에대한내용을담았다.
둘째부분은에드워즈가
마음속에두고열심히탐구해온신학적관념들, 특히하나님과그의피 조물사이의관계의근본인구속사역의관념을다룬다. 그렇게할때, 나
는구속사라는책제목에들어있는역사(history)라는말을전통적인의 미로사용하지않고,
대신역사활동이주로신학적이라는사실과에드워
즈가역사라는말을구속사라는책의문맥속에서사용할때가지는의미 를강조했다.
셋째부분은『구속사』가어떻게출판에이르게되었는지, 영향은어느정도였는지그리고20세기학자들이에드워즈를미국의핵 심사상가로재발견했을때, 구속사가어떻게재해석되었는지를다룬다.
그리고본문에서교리로그리고마지막적용으로이르는과정을에드워
즈의설교들의특징이자에드워즈의완숙한논문들의기초를이루는구 조로제시한다.
구속설교시리즈
구속설교시리즈의배경
1739년봄이되자조나단에드워즈는매사추세츠주, 베이콜로니에있
는노샘프턴교회의목사이자외조부인솔로몬스토다드의후임으로목 회사역을시작했다. 노샘프턴은코네티컷강계곡상류에있던아주중 요한이민정착지였고, 노샘프턴교회는주민들에게막대한영향력을미 치고있었다. 손자로서에드워즈는1734년대각성에서주도적인역할을 담당함으로써스토다드의후계자로손색없는역량을보여주었다. 그 때일어난역사를에드워즈는『놀라운부흥과회심이야기』 2)에연대순으 로기록해놓았다. 스토다드의사역이사후에도손자의사역을통해계 속된것은이부흥기간에수많은영혼이감동을받고회심한역사로충 분히입증되었다.
반대자들과반대자들의반대로말미암아참기어려운 감정이있었음에도불구하고, 에드워즈는사역을계속했고, 부흥의역사 로말미암아지탱할힘을얻었다.3)
2)『놀라운부흥과회심이야기』는고언이편집한조나단에드워즈전집4권『부흥론』(New Haven, Yale Univ Press, 1972)에포함되어있다. 이판은이제부터‘전집’이라는말로통칭한다.
노샘프턴마을에서일어난몇가지사건때문에에드워즈는구속설교
시리즈를특별히설교해야겠다는마음을갖게되었다. 옛예배당을새
예배당으로바꾸고제3기의역사가시작된1730년대에는그럴마음이더 욱충만해진것이분명했다.4)
당시의기록을보면, 1730년대중반에새
예배당을세우는문제로교인들간에격렬한논란이있었다.5)
새예배당
이건축중일때옛예배당의특별석이무너져내렸다. 그러나아무도해
를입지않고사상자가전혀발생하지않았다. 이것이특별한표징이되 어마을주민들은새예배당을건축하는데힘을모아매진하게되었다.
에드워즈에게는, 특히1734년부흥이후로신앙에대한관심이약화되어 있던때에, 크고넓은이새예배당이설교를전하는데(또는선포하는데) 큰 무대가되어주었다. 새예배당으로이전한직후에에드워즈가사도바 울의사랑예찬인고전13장을시리즈로설교한것은주목할만한가치가 있다.6) 에드워즈가“구속사”로부른구속설교시리즈는“사랑과열매” 를설교한그다음해, 곧1739년2월에창세기3장11절에대한4편의설 교를전하고난후선포되었다.
이야심찬시리즈설교가완전히새로운
구조에따라전해진것은결코우연이아니었을것이다.
새예배당의건축으로교회공동체의기능에다양한변화가일어났다.
새예배당이건축되자곧이어그곳에새로운카운티주거지가형성되었 는데,7)
3) 구속설교시리즈를조나단에드워즈의사역의전체구조속에서보기를원하는독자는올라윈 즐로의 Jonathan Edwords, 1703~1758 (New York, Macmillan, 1940), 특히8장“Souls Gathered in”과 패트리샤트레이시의 Jonathan Edwords, Pastor (New York, Hill and Wang, 1979)를참조하라.
4) 윈즐로의 Jonathan Edwords, pp. 169~173을보라.
5) 매사추세츠, 노샘프턴, 포브스도서관에있는“마을역사”에있다. 마이크로필름, 포브스56호, pp. 248~249, 252~253, 257~259, 261~262를보라. 또Judd Manuscripts, 마이크로필름포브스1호, 마 이크로필름p. 27에보존된에베네저헌트의설명을보라.
6)“사랑과열매”라는제목의이시리즈설교는19세기중반에JE의저작자의유언집행자인타이 런에드워즈가편집하고, 1852년에Robert Carter and Brothers출판사가처음으로 출판했다.“사 랑과열매”는폴램지가편집한전집8권,『윤리론』(New Haven, Yale Univ. Press, 1989)에서볼수 있다.
이로말미암아노샘프턴에서처음으로교회기능과정부기능이 1. 구속설교시리즈│ 17
물리적으로분리되게되었다. 이분리로말미암아마을은군청소재지로
발전하는기회를갖게되었고, 정부의영향력은크게증가했다. 정부가
종교로부터분리됨으로써교회의전통적인영향력이위협을받고새로
운상황이촉발되었기때문에에드워즈는신앙의중요성을강조해야할 필요성을강하게느꼈다.
구속설교시리즈는에드워즈설교의특징인 이중요한주제를잘반영하고있다.
1739년경에드워즈는스토다드의후계자로자리를잡아노샘프턴사 람들의생활속에새로운교회의장을여는데주도적인역할을담당했을 뿐만아니라강연을통해서도특별한주목의대상이되었다. 첫강연은
노샘프턴교회의목사직을맡고난직후1731년7월8일에보스턴에서
행한“공개강좌”였다. 강좌를듣기위해모여든목사들과다른참석자들 의열망속에선포된“구속사역을통해영광받으시는하나님”이라는제
목의말씀은에드워즈의성숙한신학적사유속에구속이중심적위치를
차지하고있음을입증했다.8) 3년후(1734), 에드워즈는“하나님의영으로
말미암아영혼속에직접주어진신적이며영적인빛” 9)이라는제목으로
설교를했다. 그이후에나온“놀라운부흥과회심이야기”(1736)는최소 한대중의관심도에서다른설교들을압도했다.『놀라운부흥과회심이
야기』는10년이안되어10판을찍을정도로유명한작품이되었다.10) 당 시에드워즈는1738년에공개하려고5가지주제에대한일련의강화(이것
7) Forbes no. 56, pp. 260~261, 263, 265.
8) Boston, S. Kneeland and T. Green, 1731.
9) Boston, S. Kneeland and T. Green. 1734.
10)『놀라운부흥과회심이야기』의출판에대한비판적설명에대해서는전집4권, pp. 32~46을 보라. 미국에서발행된최초의판인벤저민콜먼의축약판은윌리엄윌리엄스의 The Duty and Interest of a People (Boston, S. Kneeland & T. Green, 1756)이라는책에19면의부록으로붙어있 었다.
이작품의완전판은존오스왈드가런던에서처음으로출판했고, 같은해에든버러에서재판 이나왔다.
제3판(그리고미국에서나온최초의완결판)은보스턴에서출판되었다(S. Kneeland and T. Green, 1738). 그후속판들에대해서는토머스존슨의 The Printed Writings of Jonathan Edwards, 1703~1758: A Bibliography (Princeton: Princeton Univ. Press, 1940) 항목4~33, pp. 4~15 를보라.
은원래설교였다)를준비했다.11) 또한구속설교시리즈의작성에관심을두 고있던시기에에드워즈는뉴잉글랜드지역의교회에서저술가와지도 자로서점점인정을받고있었다.
이처럼높아진위상에대한증거는에드워즈가하나님의구속사역에 대한시리즈설교를준비하게된배경으로서무척중요하다. 비록구속 설교시리즈가처음에는- 아마한번- 강단에서발표된것이기는해도,
에드워즈가논문의형식에맞추어개작을준비한것은분명해보인다. 1738년고린도전서13장에대한시리즈설교는무척상세하고길다. 전
문적으로이설교는순서대로한구절씩해설하는형식으로되어있고, 에드워즈는오랜시간에걸쳐성경을 (또는성경의책들을연속적으로) 개관하는
전통적인그리고대다수에게익숙한설교방법을효과적으로사용했다 (강해설교는청교도전통속에완전히자리잡고있었다). 그런데이때에드워즈는완
전히새롭고다른방식의설교로서, 성경의단한구절을본문으로삼는
구속설교시리즈를구상하고있었다.
구속설교시리즈의작성
『구속사』는에드워즈가1739년3월과8월사이에노샘프턴교회에서
행한30편의강의- 설교(lecture-sermons)에서비롯된것이다. 예일대학 교의희귀본및사본도서관에맡겨진에드워즈의원고집속에는구속설 교시리즈가수록되어있는12권의책자들이포함되어있었다. 다른설 교소책자들과마찬가지로, 12권의책자들은손바닥정도의크기에불과 했다. 각변의길이는대략10.2cm와9.4cm다.
일반적으로우리는구속설교시리즈의구성과전달에대해내적증거 든외적증거든거의아는바가없다. 30편의설교들은다섯편마다날짜
가기입되어있는데, 짐작하기로는설교가행해진때를말하는것으로보
11) DiscoursesonVariousImportantSubjects (Boston, S. Kneeland and T. Green, 1738).
1. 구속설교시리즈│ 19
인다. 설교1에는“1739년3월” , 설교10에는“1739년4월”이라고적혀
있는데반해, 설교16에는단순히“17번째6월”이라고적혀있다. 그리
고설교28과설교29에는똑같이“1739년8월”이라고적혀있었다. 이
외에도내적증거로볼때, 최소한설교14와설교15, 설교18과설교19
그리고설교20과설교21은하나의쌍으로구성되고, 아마그렇게설교 되었을것이다. 각각의경우에, 그쌍가운데첫번째설교는같은날오
전에행해지고(이것은아마쌍으로되어있지않은다른설교들도마찬가지일것이다), 두
번째설교는오후에행해졌다(그날은말할것도없이주일이었다). 그것말고는
원고의책자들속에설교가행해진날이나시기가적혀있지않다. 에드워즈학문의역사속에서, 이설교시리즈에대해서는더세부적인 주장들이제시되었다. 조나단에드워즈의증손자로서총편집자겸전기 작가인세레노드와이트는6개월에걸쳐행해진이설교의기간배분에 대해아주정확한정보를제공했다:“처음8편은[3]월한달동안에행해
졌고, 다음8편은다음두달동안에행해졌으며, 전체30편의설교는8월 마지막날이되기전에완료되었다.”12) 드와이트의진술은구속설교시
리즈의내적증거와일치되고, 드와이트가제시한분류는원문으로부터 뽑아낸추론에기초되어있다. 물론드와이트는구속설교시리즈에대 해현재에는별로의미가없는부차적정보를제공했다고생각할수도있 다. 드와이트는또한분류방식의기초를확보하기위해다른설교들에 서나온정보를참작했을지도모른다. 이특별한6개월기간(3~8월)에, 에 드워즈의설교작성은구속설교시리즈에대한설교를빼면, 다른때보 다현저하게양이줄었다. 에드워즈가1739년에작성하고전한설교들을
12) 세레노드와이트의 The Life of President Edwards (New York, G. & C. & H. Carvill, 1830), p. 143. 이책은 The Works of President Edwards: With a Memoir of His Life (10vols., New york S. Converse, 1828~1830) 중의1권으로처음출판되었다. 그리고재판이1830년에나왔다(New York, G. & C. & H. Carvill). 또한 The Life of President Edwards는1830년에카빌이따로분리하여출판했 다. 페이지의번호매김은세권모두동일하다. 기술적정보에대해서는존슨의 Printed Writings of Jonathan Edwards, 항목343, 344 그리고224를보라.
20
표로만들어보면, 1월과2월에8편, 9월에서12월까지13편이있음을발
견한다. 그런데3월에서8월까지는구속설교시리즈에대한30편의설 교를빼면10편의설교만있다.13)
이증거가이기간의설교배분에대한
드와이트의주장을반드시지지하는것은아니지만, 그렇다고모순되는 것도아니다.
드와이트는이기간의에드워즈활동과여행등에대해자세히알고있
었기때문에, 구속설교시리즈가전해진시기에대한그의추측은충분 히신뢰할만하다. 에베네저파크먼은일기에서에드워즈의특징적활동 에대해몇가지정보를제공한다.14) 파크먼은1739년5월하순에비교적 가까이서에드워즈를관찰했기때문에, 그의일기내용은에드워즈가구
속설교시리즈를작성하고선포할때정상적인생활을조금도방해받지 않았다고상정할만한근거를보여준다.
파크먼은5월24일목요일에,
에드워즈가보스턴에서공개강좌(딤전2:5를본문으로한)를가졌다고기록하 고있다. 다음날, 파크먼은조수아기목사가시무하는보스턴의교회에 서에드워즈와함께저녁식사를했는데, 그후에드워즈는엘더라이먼
스교회에서설교했다.
에드워즈가토요일에노샘프턴으로돌아왔는지 는확실하지않으나아마돌아오지않은것같다. 주일오후에파크먼은 웨스트보로의자기교회에서설교했다. (웨스트보로는보스턴으로부터노샘프턴까 지의거리의3분의1정도밖에안된다.) 월요일(5월28일) 오후에파크먼은케임브 리지를향해떠났다. 파크먼은돌아오자에드워즈가그날저녁웨스트
보로자신의집에머무르고있음을알았다. 아마에드워즈는노샘프턴으 로돌아가던도중에그곳에들렀을것이다. 또는27일에노샘프턴에서
설교를한다음보스턴으로다시가던중이었을수도있었다. 이사실로
13) 이판단은윌슨킴나흐가만든JE의설교일람표에의거한것이다. 나는윌슨킴나흐의도움으 로그정보를얻었다.
14) The Diary of Ebenezer Parkman, 1703~1782, First Part,……1719~1755, Francis G. Walett 편집, (Worcester, Mass., American Antiquarian Society, 1974), pp. 63~64.
1. 구속설교시리즈│ 21
부터우리는그기간에에드워즈가뉴잉글랜드의목사로서왕성한활동
을하고있었음을어렴풋이나마확인할수있다. 그리고에드워즈가아 무튼참으로바빴다는것을알게된다.
여기서더중요한요점은에드워
즈가스케줄이꽉차있음에도불구하고, 구속설교시리즈를준비하고 설교했다는것이다.
에드워즈는통상적인주일설교를통해이중대하고 포괄적인주제에대한시리즈설교를전했던것이다.
드와이트의또다른주장역시내적증거에서비롯된것이다. 드와이트 는에드워즈가“그의성도들에게구속설교시리즈를다시전한적이없 다.”고말했다.15) 이주장은드와이트만이입수한특수한정보에의존한 것일수있지만, 드와이트가에드워즈의설교작업습관을잘알고있는 데서기인한다고보는것이훨씬더개연적이다. 에드워즈는같은설교 를다시할때에는보통설교한날짜를기재했고, 그때마다설교를철저 히개작했다.16)
더충분한내적증거가없을때우리는자연스럽게외적증거를찾기 마련인데, 이설교시리즈에대한당시의소문들을확인해보는것이한 예가될것이다. 가정(假定)에입각한실례이기는하지만, 이후에교회지
도자로크게성공한조셉벨러미가이동안에드워즈가문에학생으로기 숙하면서구속설교시리즈를들은것으로알려져있었다. 그러나우리
가찾는외적증거는오직하나의회상에집중하게되는데, 에드워즈의
손자인티모시드와이트의회상이그것이다. 그는『뉴잉글랜드와뉴욕에
서의여행』이라는책에그회상을적어놓았다. 드와이트는“연방미국”
은“인간의지식영역을확대하고다양화하고또는윤색하는데아무것
도한일이없었다.”고주장한「에든버러리뷰」지의한논설을논박하기 위해, 자신의네번째책의네번째편지를보냈다. 이편지에서드와이트
15) Dwight, Life, p. 143.
16) 윌슨킴나흐의귀중한논문“The Literary of Jonathan Edwards”(Ph. D. diss., Univ of Pennsylvania, 1971) 가운데특히pp.205~240을보라.
는“고(故) 에드워즈학장은영국이나스코틀랜드가자랑하는어떤신학 자보다신학이라는학문을크게발전시켰다.”고주장했다.17) 나아가드
와이트는휫필드를제외하고에드워즈의설교는능변에있어서적수가 없었다고주장했다. 이와관련하여드와이트는구속설교시리즈에대한 회상을다음과같이소개했다.
노샘프턴토착민으로예일대학에서수학과자연철학교수를역임한
고(故) 느헤미야스트롱교수는젊은날에에드워즈목사로부터구속사
에대한설교를들은것을확인해주었다. 스트롱은언급하기를, 에드워 즈의주제에자기는처음부터깊이매료되었다고했다. 설교를들을수록
스트롱의감정은더욱고조되었다. 스트롱은에드워즈목사가최후의심 판에대해설교할때, 그날그곳에서펼쳐질두려운 장면에도불구하고, 아무두려움없이자신이기대한정점에이르렀다고말했다. 그리하여
스트롱은나팔소리와천사장의부르는소리를듣기위해, 무덤이열리
고죽은자가일어나고심판자가거룩한천사들과함께아버지의영광을
갖고오시는것을보기위해가장심오하고엄숙한갈망을갖고기다렸 다. 그런데그날이가고세상이여전히평상시처럼조용한상태로있자 크게실망했다.18)
스트롱의증언은이중요한강의설교시리즈를많은사람이기억하고 있었다는것을암시하지만, 단지개인적인회상에불과하다. 드와이트가 단지이사례만공개한것은구속설교시리즈에대한기록이당시에는 전혀없었음을의미할것이다.
처음부터에드워즈는구속설교시리즈를분명히이전과는전혀다른 1. 구속설교시리즈│ 23
17) Timothy Dwight, TravelsinNewEnglandandNewYork, Barbara Miller Solomon 편집(vol. 4, Cambridge, Harvard Univ. Press, 1969), pp. 4, 227~231. 인용된문장은p. 228에있다. 18) Ibid., pp. 230~231.
시도의작업으로간주했다. 첫째로, 전체30편의설교는“옷같이좀이그
들을먹을것이며양털같이좀벌레가그들을먹을것이나나의공의는영 원히있겠고나의구원은세세에미치리라.”라는이사야51장8절, 단지 하나의본문에입각해서구성되었다. 그설교의내용은이사야51장8절
본문과그본문에서뽑아낸“구속사역은하나님께서인간이타락한후 부터세상끝날까지수행하시는활동이다.”라는교리에의하여규제되 고있다.
다른청교도설교와마찬가지로, 에드워즈의설교역시청중의
유익을위해전체적으로‘응용’이나‘적용’부분이들어있다. 에드워즈
는구속설교시리즈를전체에대한적용과함께끝맺는다. 그러나다양
한공식적요소들과그요소들이구속설교시리즈에미친제약들에도불 구하고, 장르에있어서중대한변화가일어났다. 내러티브와신학적요소
가골고루섞여있는30편의교훈적강론이드디어출판되었을때, 편집
자는본문과교리의반복그리고논증의되풀이와같은설교적특징들을
쉽게따로분리시킬수있었다. 그렇게하자, 그안에논문의형식이유지 되고있음을발견했고, 내용을합리적으로배열하고연대순으로세분하 여재구성함으로써, 우리가『구속사』로알고있는책을만들었다.19) 이것
은분명히처음부터에드워즈가출판을위해구속설교시리즈를사실상
논문으로발전시키려는의도가있었다고(뉴저지대학의수탁자들에게보낸잘알
려진편지에서는그와반대로언급하고있음에도불구하고. pp. 128~131을보라.) 생각하게
만드는한가지이유다.
에드워즈의구속설교시리즈를담고있는원본책자들에대한탁월한 연구자인윌슨킴나흐는최소한어떤면에서는, 구속설교시리즈를“설
교단위들”즉개별적설교로분류하는것은독단적이고, 에드워즈는30 번이상그것을“논문”으로전하려고준비한것이라고주장했다.20) 어떤 24 │조나단에드워즈의구속사
19) A History of the Work of Redemption. Containing, The Outlines of a Body of Divinity, In a Methodentirelynew (Edinburgh, W. Gray; London. J. Buckland and G. Keith, 1774). 20) Kimnach,“Literary Techniques,”pp. 148~149.
면에서,
구속설교시리즈의원고는분명히구성상설교로분류되나그
중설교들이특정한시기에설교로전해야할목적때문에그렇게된것 이다.21)
그러나논란의여지가없는킴나흐의더중요한주장은그설교 시리즈는사실그자체로완비된하나의프로젝트였다는것이다. 이관 점에따르면, 이설교시리즈의전개상에드워즈는처음부터장기적인계 획을세우고준비했다.
상황은구속설교시리즈를설교로전달하기좋 은단위로나눌것을요구했다.
구속사역이라는주제가에드워즈의성 숙한사상의핵심이었다고볼수있는또다른증거는대학에다닐때부터
묵상한내용을글로적어놓은『신학묵상집』에서나타난다.『신학묵상 집』에에드워즈는처음부터일관되게구속에대한주제및관련사항들 을기입해두었다.22) 구속설교시리즈는에드워즈가구속을기독교의가 장근본적인교리로믿고, 포괄적으로묵상했던내용을1739년봄과여름 에정리한것이다.
에드워즈가그설교시리즈를개작하는데(또는앞에서언급한것처럼, 재설교하 는데) 관심을갖고있었다는증거는없다. 예를들면, 전체적으로다시개 작한부분은없다.23) 왜그런증거가없는지에대해서는시대상황을감 안해야한다. 그설교시리즈를끝내고1년정도지난다음인1740년10 월중순에조지휫필드가처음으로뉴잉글랜드를방문하여노샘프턴에 도착했다. 그때휫필드의설교와순회설교를통해폭발적인역사가임 했고, 그로인해노샘프턴에사회적및문화적변혁이일어났다. 이때의
역사는훗날대각성(the Great Awakening)이란이름으로불렸는데, 그중 심에에드워즈가있었다. 대각성의영향으로에드워즈는지성적으로인
21) 예를들어책자1을보라. 설교2는명백한요약및불연속적인구성을암시하는반복(1.13r)과 함께시작된다. 반면에설교3은설교2와는현저하게다르다(1.24v). 따라서개별적으로설교할때 설교본문을준비하는JE의습관은일관성이없었다.
22) 이주제에대한간략한논의는몇장뒤에나오는“구속설교시리즈와‘신학묵상집’”항목을 보라.
23) 윌슨킴나흐는JE가설교자료들을어떻게다시고쳐썼는지의문제를다루었다.“Literary Techniques,”pp. 205~240을특별히보라.
간속에서활동하시는성령의역사를더명확히분별하는데큰관심을 갖게되었다. 이관심은에드워즈가뉴헤이번대학졸업예배에서설교할
때일어난현상을분석적으로연구한『성령의역사분별방법』(1741)을
낳는특별한기반이되었고, 이어서『균형잡힌부흥론』(1742)을낳았으
며, 결국은걸작논문인『신앙감정론』(1746)으로정점에이르렀다.24)『신
앙감정론』은분명히처음에는설교의형식으로완성된작품이었다.
1740년대초에출판된이책들속에는구속설교시리즈에대한내용이 기껏해야부차적으로담겨져있었고, 그러기에비록담겨있다고해도, 그것을논하는것은거의무익하다. 당시에드워즈는각성(the Awakening)에크게사로잡혀있었기때문에, 원했다고해도, 하나님의구속사
역에대한설교시리즈를수정하거나개작할기회가거의없었다. 그렇
지만구속설교시리즈의내용은각성과직접적인관련이있었다. 왜냐
하면신앙생활의재충전은우리가구속의주관적측면으로부르는것, 즉
구속에참여하는인간들에의해나타나는효력및적용과관련되어있기 때문이다.
그러나우리의목적에입각할때, 이시기에발표된에드워즈
의설교들은크게진보된모습을보여주고, 본질상설교자료들을논문 형식으로바꾸는데있어서표현기술이발전했음을입증한다. 따라서
에드워즈가구속설교시리즈에적용시키려고한최종적형식은무엇보 다감정속에서나오는신앙적행위와믿음에대해정밀한분석을수행하 려는데목적이있었다.
“역사”프로젝트
스코틀랜드출신의목사존어스킨이, 1755년3월24일에조셉벨러미 에게쓴한편지를통해, 우리는구속설교시리즈에대한에드워즈의의 도를어느정도엿볼수있다. 그편지에서어스킨은다음과같이쓴다.
24) 처음두작품은전집4권에포함되어있고, 마지막작품은존스미스가편집한전집2권(1959) 에담겨있다.
26 │조나단에드워즈의구속사
“나는아르미니우스주의의다양한지류에대한에드워즈목사의논박을 보기를원하지만, 인간의구속역사에대한견해를더간절히알고싶습 니다.
에드워즈의펜으로부터이주제에대해얼마나가치있는글이나 올지기대가됩니다.
은혜의섭리가소중한에드워즈의생명을위험으로 부터보존해주시기를기원합니다.”25)
에드워즈는1747년에어스킨과편 지교환을시작했다. 이판단에비추어볼때, 우리는에드워즈가어스킨
에게자신의계획을어느정도알려주었을것이라고당연히추측할수 있다. 그러나에드워즈가어스킨에게쓴편지가운데에는, 최소한드와이
트가『학장에드워즈의생애』라는전기속에담고있는내용중에는, 어 스킨이구속설교시리즈를실제로알고있었는지세부적으로알려주는 것은하나도없다.26) 비록에드워즈가어스킨과폭넓게서신왕래를한 증거가남아있다고해도, 그편지를찾아내거나확인하지는못했다. 그
러나분명한것은어스킨은구속설교시리즈에대한특별한관심- 결국
그것을편집하고출판을위해정리할정도의관심- 을에드워즈가죽기 전부터갖고있었다는것이다.
스톡브리지기간(1750~1757), 에드워즈는구속설교시리즈에관심을 돌리기시작했다.
이시기에에드워즈가쓴세권의노트가있는데, 크든
작든구속설교시리즈를수정하고개작할생각을암시하는내용이담겨 있다.27) 그는스톡브리지에서사역하던마지막시기, 특히1755~1757년 사이에이프로젝트를가장활력적으로추진한것으로보인다. 다른곳
25) 조셉벨러미의서한들속에이편지가포함되어있고, 벨러미는1754년9월6일에어스킨에게 답장을썼다. 벨러미와어스킨간의서신왕래는1753년1월26일에어스킨이벨러미에게편지를쓰 는것에서시작되었다. 이서한들의사본은필라델피아에있는장로교역사협회에서구할수있다. 그사본1권, p. 117을보라.
26) 드와이트의 The Life of President Edwards를보라. 드와이트는어스킨에게보낸편지를자주 인용한다.
27) 이문제에대한논의는킴나흐의“Literary Technique”특히pp. 241(n. 20), 245~247, 374~378 을보라. 이노트들은예일대의베이네크희귀본및사본도서관에소장되어있는JE의원고집, 37번 폴더안에있다.
1. 구속설교시리즈
에서나는세권의노트가구속사역프로젝트에대해진지하게작업하
고있는에드워즈의계획을어떻게담고있는지내용을분석해보고, 스
톡브리지시기후반에에드워즈가그프로젝트에체계적으로접근하기
시작했음을보여주는강력한증거를찾아냈다.28) 에드워즈는기독교
역사에대한지식을보강할필요를느끼고, 초기의서양교회의역사에
대해광범하게공부를시작한것으로보인다. 이때에드워즈는특히로
마교회교황들에대해관심을집중했다. 동시에다른저술가들이보여 주는구속프로젝트와관련된중요한요점들을메모해두었다. 마지막으
로, 세권의노트의두드러진특징들을보면, 에드워즈는다양한제목과 다양한조직양식을포함하여, 구속사역에관련된형식, 내용그리고주
장등에대한생각을적어두었다. 이노트들의특징은뒤에소개할것이 다.29) 우선은그노트들이에드워즈가뉴저지대학의수탁자들에게보낸 편지에서구속프로젝트에대해언급한진술을확증한다고말하는것으 로족할것이다.
에드워즈의사위이자뉴저지대학- 근래에프린스턴에자리를잡은-
이힘이없을때그대학학장이었던아론버가죽자, 구속프로젝트는다 시위협을받게되었다.30) 에드워즈는스톡브리지초기시절부터뉴저지 대학과연관이있었다. 사실에드워즈는코네티컷계곡의교회들및베
이지역의각성자들과유대감이줄고, 중부식민지의“뉴사이드”장로교
인들과점점친분이두터워진것으로보인다. 따라서뉴저지대학의수
탁자들이에드워즈를학장후보로내세운것은놀라운일이아니다. 에
드워즈는학장직을제대로수행할인물이될수있을지자신의능력과결
28) 내가쓴 Reformation, Conformity and Dissent, R. Buick Knox 편집(London, Epworth, 1977), pp. 239~254에있는“Jonathan Edwards’Notebooks for‘A History of the Work of Redemption’”를 보라. 이논문은이책부록B에실려있다.
29) pp. 92~102를보라.
30) Thomas J. Wertenbaker, Princeton, 1746~1896 (Princeton, Princeton Univ. Press, 1946), pp. 42~43을보라.
28 │조나단에드워즈의구속사
점을냉정하게분석하면서동시에그직책을받아들이게되면염두에두 고있던프로젝트를미루거나포기해야될경우를자세히검토해보았 다. 이런배경속에서,
에드워즈는구속사프로젝트의전개와완결에대 한계획에대해가장분명한진술을제시한것이고, 그때가장먼저떠오 른생각을표현한것이다.“나는 (출판을목적으로한것은아니지만, 오래전에시작 한) 한중요한작품에대해마음을굳게먹었습니다. 그것은 구속사라고
부르는것인데, 완전히새로운신학의체계로서역사의형식속에담겨질 것입니다.”31) 따라서에드워즈는1758년1월에스톡브리지에서프린스 턴으로이사할때, 1739년의구속설교시리즈의발전을고려했던“역사” 프로젝트로부터다시결정적으로빗나가게되고말았다. 그후두달만 에(1758년3월22일) 세상을떠남으로써구속설교시리즈를다시손볼기회
가영원히사라지고말았다.
구속설교시리즈와『신학묵상집』
에드워즈의지성사에서구속설교시리즈가차지하는위치에대한한
가지중요한관점을『신학묵상집』을통해얻어낼수있다.32) 신학묵상글 들은, 비록토머스섀퍼의결정적작업을통해최소한그내용이개별적 으로노트에필사한시기가언제인지충분히드러났지만, 구속설교시리
즈의설교를판단하는데사용되지는못했다.『신학묵상집』이전체적으 로구속설교시리즈에대한흔적이나전조를포함하고있는것은놀라운 일이아니다.
그러나신학묵상글들이얼마나구속설교시리즈에도움을 주었는지충분히확인하려면예일대학의결정판이나올때까지기다려
31) Dwight, Life, p. 569.
32) 토머스섀퍼가편집한전집,『신학묵상집』을보라. 그원본노트들은에드워즈의주요원고들 과함께베이네크도서관에보관되어있다. 섀퍼가필사한필사본이이어지는논란의기초다.『신학 묵상집』에서선별된자료(조나단에드워즈주니어의필사를통해)가존어스킨의후원아래 Miscellaneous Observations (Edinburgh, M. Gray, 1793)과 Remarks on Important Theological Controversies (Edinburgh, J. Galbraith, 1796)으로출판되었다.
구속설교시리즈│ 29
야한다(최근2004년까지총3권으로발간되어있다 - 편집자주). 그러므로이어지는
주장은임시적이고, 당연히심증에치우친것이다.
『신학묵상집』은우리의탐구에대해적어도세가지면에서관련이있 다. 첫째, 초기의신학묵상글과이후로1천번이상계속된신학묵상글들
을보면, 구속을하나님의가장중대한활동으로보는주제가반복적으로 나타난다. 둘째, 이미구속설교시리즈를작성하기2, 3년전에시작된것
으로보이는두개의긴신학묵상글은참으로괄목할만하게에드워즈가
그프로젝트의전체적윤곽을암시하는주제들을철저히반영하고있음 을입증한다. 마지막으로, 1739년설교시리즈를작성할때또는그직후 에적어둔6개정도의신학묵상글은명백하게구속설교시리즈에대해 언급하고있다.
『신학묵상집』은그대부분의내용이분명히구속과관련되어있다. 예 를들어보자. No. 38(1723년여름에적어둔것으로추측되는)은“구속사역에있
어서하나님의속성들의조화”에대한간략한논의를담고있다. No. 60 은“하데스”(Hades)라는제목으로, 구속설교시리즈가설교된때부터오
래되지않은1739년초가을에기록한것으로보이는데, 개인및집단과 관련된구속의과정을다루고있다. No. 156은에드워즈가예일대강사
였을때쓴것으로, 사탄의패배와구속설교시리즈에있어서아주적절 한주제들을소개하는내용이다. 다른많은신학묵상글가운데,“새하 늘”,“천국”,“그리스도의나라”,“지옥”또는“지옥의고통”,“부활”,“언
약”그리고“주의날”과같은다양한제목아래다루어진내용들은직접 구속프로젝트와관련되어있다.
다음과같은신학묵상글들은훨씬더
명시적으로구속설교시리즈와관련되어있다.“피조물의종말”,“천년 왕국” , “우주적구속” , “성육신”그리고무엇보다“구속사역.”
이러한주제들은1731년7월8일에보스턴공개강좌, 곧“구속사역을
통해영광받으시는하나님”이라는제목으로출판된강좌가있기전에, 에드워즈가충분히탐구했다. 그리고이탐구는『신학묵상집』전체의주
30 │조나단에드워즈의구속사
제로서에드워즈가인생을마감할때까지계속된다. 어떤신학묵상글들
은에드워즈가구속설교시리즈에대한3권의노트속에옮겨적은기간 의특정시기에더의미가컸다.“구속사역에있어서하나님의지혜”는 1730년대초에중요하게되었다(그실례는No. 508, 510, 521, 524, 526, 554, 569, 604, 614, 616, 633, 653, 664 그리고681이다). 비록횟수는많지않아도, 에드워즈
는노샘프턴시절에도이런신학묵상글을계속활용했다. No. 802에서, 에드워즈는포괄적지칭으로서“구속의과정(Progress of Redemption)”이 라는말을사용하기시작했다(다른실례들은No. 814, 833, 834, 835, 907 그리고932
이다). 에드워즈는이것을1740년대초에“구속사역의과정(Progress of the Work of Redemption)”이라는말로바꾸었다(No. 935, 946, 949, 952 그리고 991을보라). 그러나이런식으로개별적으로확인하는것은신학묵상글들 간의상호연관성을불투명하게만들수있다. 에드워즈는주제들을구속
모티브속에융합시키고있고, 따라서『신학묵상집』은, 전체적으로볼
때, 구속이에드워즈의신학적사유의, 비록그(the) 중심점은아닐지라 도, 한(a) 중심점이라는것을극명하게확증하고있다.
이외에도, 적어도1739년에구속설교시리즈를실제로작성하기2, 3 년전에에드워즈가체계적으로그설교시리즈의기본주제들을적어 둔두개의신학묵상글속에분명한증거가있다. No. 702(1736년이나1737 년으로추정되는)는“창조, 섭리, 구속의사역”이라는제목이붙어있다. 이 신학묵상글은많은분량(필사본이21면이나된다)으로, 창조와섭리의사역이
구속사역에예속되어있음을주장한다. 이런식으로에드워즈는구속 설교시리즈와관련된논제와주제들을많이찾아냈다. 특히에드워즈
는아담을그리스도의모형으로분석하고, 그리스도로말미암은창조와 재창조, 곧그리스도안에있는새로운피조물사이의관계를분석했다.
그리고이논증의중심은성육신인데, 그이유는성육신으로말미암아 세상끝날에완전한구속이이루어지기때문이다. 여러가지면에서 No. 702는구속설교시리즈의논증의요지를담고있다.
1. 구속설교시리즈│ 31
구속설교시리즈의논증의요지는No. 710에도분명히나타나있다.
이것역시긴신학묵상글으로서, No. 702의부록과같은위치에있다. 이
신학묵상글은삼위일체의내적상호관계를구속과창조의배후의원동
력으로바라보는내용을담고있다.“그리스도가신부를얻을수있도록
세상은지음받았다.”따라서에드워즈는삼위일체의내적상호관계속
에서천사와인간들이맡은부차적인역할에대해설명한다. 또한에드
워즈는그신학묵상글에서마귀와그의적그리스도를하나님과그의그 리스도와대비시키는구조에따라구속설교시리즈대부분을차지하고 있는주제를전개한다. 이부분에서에드워즈의모형론적분석이아주 중요하게나타난다. 종합하면, 이두신학묵상글은구속설교시리즈에
대한에드워즈의의도를보여주는가장초기의증거로서, 그시리즈설
교가실제로작성되어전해지기전에, 얼마나철저하게구속프로젝트라
는웅대한계획에집중하고있었는지를잘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다수의신학묵상글들이구속설교시리즈를전하고난직 후에, 에드워즈가어떤면에서그설교시리즈를확대하고더구체화해야
겠다고생각하게되었는지직접적증거를제공한다. 구속설교시리즈의 원고를보면, 에드워즈는각각다른세곳에서특정신학묵상글을거론했 다. 이세신학묵상글은No. 802, 803 그리고810으로, 대체로1739년중 반, 곧대략구속설교시리즈를설교하던말기에적어둔것이었다.33)
No. 802는“구속의과정”으로불리고, 다음과같은지시사항과함께시
작된다.“이것을이사야51장8절을본문으로한강화의설교18의4. 일 반적주의사항아래의두번째항목마지막부분에덧붙이라.”이신학묵 상글에서, 에드워즈는그리스도가영적으로“심판하러오시는것”을심 판의날에“외형적으로”벌어질일을예견하는것으로간주한다.
33) 다음을참조하라. No. 802는 7.9v에있는설교18에있다; No. 803은 12.4v에있는설교28에 있다; No. 810은 4.13v에있는설교13에있다. 또한 8.2r에있는설교20의No. 108,“Images of Divine Things”를참조하라.
32 │조나단에드워즈의구속사
No. 803은“구속의과정, 그리스도가심판하러오심”이라는제목으로
되어있다. 이신학묵상글의지시사항은다음과같다.“이것을이사야51 장8절을본문으로한시리즈설교28의마지막날에그리스도의심판을 요청하는일들에대한부분, 곧세번째항목의마지막대배교에대한내
용부분에연결시키라.”여기서중요한주제는마지막대배교는세상의 악인들의죄를더밝히드러내기때문에심판하실때그배교는하나님의 눈에더욱악하게보일것이라는것이다. 그러므로그파멸은참으로끔 찍할것이다.
마지막으로, No. 810은성경을구속과관련시키는내용을다룬No. 359의부록이다. No. 810은특히욥기를묵상하고, 이책이왜정경에포 함되었는지를다루었다. 이신학묵상글은No. 802와803보다구속설교
시리즈와직접적인연관성이없는것처럼보이지만, 1730년대말에에드
워즈의마음이이주제로가득차있었음을감안하면충분한증거를제공 한다.
이상의신학묵상글들과인접해있는간략한다른두신학묵상글, No.
806과807은구속설교시리즈와직접관련이있다. No. 807은“하나님의 가장중대한활동으로서의구속사역”이라는제목이붙어있다. 이신학 묵상글은옛창조의지속기간(6일에안식일이포함된기간)과새창조의지속 기간(약6천년에천년왕국까지수천년이더포함된기간)을비교하면서언급한다. 이간략한신학묵상글에서, 에드워즈는명백히“이사야51장8절을본문
으로한설교가운데설교29의마지막부분의추론”을언급한다. No. 806은“새하늘과새땅”이라는제목이붙어있고, 비록구속설교시리즈
의전체적주제를직접다루고있기는하지만, 그것을명시적으로언급하 지는않는다.
『신학묵상집』에대한이간단한고찰을통해확인한분명한결과는구 속설교시리즈가어떻게만들어졌는지에대한장래의해석은어떤것이 든그일련의노트속에서관련신학묵상글들을충분히연구하는것이필
1. 구속설교시리즈│ 33
수적이라는것이다. 한평생수집한방대한다른신학묵상글들도삼위일
체하나님의내적상호관계곧성부, 성자, 성령의상호관계의결과로서
주어진세상의구속이라는주제를다룬신학을전개하는데에드워즈가
얼마나오랫동안그리고깊이연루되어있는지를보여준다.34) 마찬가지
로구속설교시리즈도때와장소를가리지않고에드워즈의신학묵상글
들의저장소에서다양한제목아래나타나있는거대한주제를참으로체
계적으로갈고닦은작품으로우뚝서있다.
설교원본들의운명
가족과헤어져프린스턴으로이사했을때(사라에드워즈는이사하는동안자녀
들과함께스톡브리지에남아있었다), 조나단에드워즈는분명히주요원고들을
대부분측근인새뮤얼홉킨스에게맡겼는데, 당시홉킨스는인근의매사 추세츠주, 그레이트배링턴에살고있었다. 1758년1월19일에코네티
컷주, 베들렘에살고있던또다른측근이자동료인조셉벨러미에게쓴 편지에서, 홉킨스는그전날에에드워즈가스톡브리지에서프린스턴으
로이사했다고적었다.35) 참으로중요하게도, 홉킨스는에드워즈의“긴
논문들”과설교원고들을소장하고있다고밝히고, 보관하고있는동안
그자료들을연구하고이용하는것을허락하겠다고말했다. 에드워즈가 스톡브리지에서생활할때, 홉킨스와벨러미는자주자기들의글을교환 하곤했다.
따라서에드워즈의많은원고가홉킨스에게당연히잘알려 져있었고, 적당한때뉴저지로이사를갈때까지수탁자겸충실한보관 자로서책임을다했던것이다.
예를들어홉킨스가에드워즈와함께프
34) 이주제는에드워즈의프로테제들이에드워즈사후에출판한『두논문』가운데하나인『하나 님의천지창조목적』에서다루고있다. 폴램지가편집한에드워즈전집가운데『윤리론』(예일판, 8 권, 1984) 2장2부와7장에서특별히이주제를다루고있다. 많은신학묵상글들도역시이주제를다 룬다.
35) 이편지는벨러미의글들속에포함되어있다. 장로교역사협회에소장된필사본, 제1권, p. 139를보라.
린스턴으로여행했을때에는구속설교시리즈의원고가다른원고들과
따로분리되어있었다고추측할만한이유가없다. 그때두사람이사라
와함께있지않았다는것은물론추측이지만일리가없지는않다. 아마
그때에드워즈가가장큰관심을두었던작품이홉킨스에게맡겨졌을 것이다.
에드워즈는1758년3월22일에세상을떠났다. 당연히사라는남편의
유고작품에대한유언집행자였고, 그녀가죽었을때는이권리가장자 인티모시에게이전되었다. 그러나그원고들의소유(와책임)는다른손
들, 주로새뮤얼홉킨스의손에주어졌다.36) 더자세한논의는섀퍼가편 집한『신학묵상집』서론에포함될것이다. 홉킨스의관리인으로서의역 할은거의10년동안계속되었다. 1805년에출판된자서전적회고록에 서, 홉킨스는에드워즈가죽은직후부터몇년동안원고와논문들을정 리한기억이있다고밝혔다.“에드워즈목사가죽자에드워즈부인은생 전에에드워즈목사가구두로한지시에따라모든원고와문헌을내손 에넘겨보관하도록했다.
에드워즈의원고는나와다른두명의목사에 게맡겨졌다.”37)
조셉벨러미는이때다른두명의문헌집행자가운데 하나가확실했다. 또다른연하의동료기드온홀리가바로세번째집행 자였을것이다. 그이후로이책임을함께짊어진홉킨스와벨러미사이 에는중요한서신왕래가있었다.38) 이편지들에서이끌어낸추론과홉킨 스자신의주장으로볼때, 세사람가운데홉킨스가가장완전하게원고 를보관한사람이었음이분명하다.
36) 에드워즈원고의운명에대한간단한논의에대해서는토머스섀퍼의“Manuscript Problem in the Yale Edition of Jonathan Edwards,”Early American Literature Newsletter, 3 (Winter 1968~1969), 159~171을보라.
37) Sketches of the Life of the Late Rev Samuel Hopkins, D. D., Stephen West 편집(Hartford, Hudson and Goodwin, 1805), p.57.
38) 벨러미의저작들속에보존되어있다. 장로교역사협회에피사본이소장되어있다.
1. 구속설교시리즈│ 35
이원고들은여러해동안내손에있었기때문에, 나는다읽을때까
지특별한관심을기울였다. 그것들은방대한분량으로, 설교외에도
분량이많았고, 그래서설교조차다읽지못했다. 그것들을읽을때나
는큰기쁨과유익을얻었다. 큰기쁨가운데새벽4시에일어나하루
대부분의시간을연구에몰두했다.39)
이들외에스코틀랜드출신의존어스킨을포함한다른사람들도에드 워즈의‘남아있는자료들’에관심을갖고있었다. 어스킨은1759년6월
8일에8절판으로된“실천적사역”에대한두권의책을스코틀랜드에서 출판할수있게해달라는생각을담은편지를벨러미에게썼다.40) 또한
추가자료들을선정하고, 출판을위하여원고들에대한설명이나목록을 알려달라고부탁했다. 영국입스위치의비국교도목사인고든(Gordon) 역시영국시장에서『신앙감정론』요약판을출판하는데관심을표명했 다. 1년후에쓴편지로볼때, 고든은분명히런던의책판매상인필드를 통해판로를개척할의도를갖고, 에드워즈의출판된작품들의재출판을 원했다.41) 이처럼에드워즈가죽은후처음몇년동안은에드워즈의원 고들에대한법적권리가가족에게있었지만, 실제업무는출판계획을
배제하지않은상태에서다른사람들의손에크게좌우되었다. 단지조
나단에드워즈주니어가뉴저지대학을졸업하고, 잠시홉킨스와벨러미
두사람의집에거주하면서신학연구를하는것이좋겠다고결정했을
때, 자기아버지의자료들에대한책임을맡게되었다.42) 이러한과정을
39) West, Sketches, p. 58을보라.
40) 벨러미의저작, transcription, I, 163에있다.
41) 벨러미의저작transcription, I, 165에있는하자드에게서온1759년10월31일자편지를보라.
42) 조나단에드워즈주니어는자기아버지의원고들에대한책임을맡기전7년이나8년정도사 이에, 뉴저지대학부속문법학교에서공부하고있었고, 이후1761년에그대학에들어갔다. 에드워 즈주니어는학문에매우능한자로간주되었고, 1765년대학을졸업하기전회심을체험했다. 졸업 직후1765년겨울에는그레이트베링턴에서새뮤얼홉킨스와함께연구했고, 1766년봄에는코네티 컷주베들렘에서조셉벨러미와함께연구했다. 그다음가을에는어학과논리학강사로프린스턴 대학으로돌아왔다. 에드워즈주니어는1768년12월에코네티컷주, 뉴헤이번에있는화이트헤이번
거치면서에드워즈의전체원고들에대한소유권과통제권이가족에게 이양되었고, 그러한상태는한세기이상계속되었다.43)
홉킨스가원고들을연구하는데엄청난힘을쏟은것은분명하다. 앞 에서지적한것처럼홉킨스자신의설명에따르면, 그는그원고들을통 해큰기쁨과유익을얻었다. 홉킨스는사라에드워즈로부터남편의전 기를써달라는부탁을받았기때문에, 그원고들을무척조심스럽게다 루었다.
에드워즈부인은내게에드워즈목사의전기를써서, 원고에서뽑아 낸설교와함께출판해달라고간청했다.
나는에드워즈의전기를쓸만 한자격이없다고생각했다. 그러나그의원고들을소유하고있었던사 람으로서, 다른사람들보다더유리한위치에있었기때문에최선을다 해그일에종사했다.
그리고그일이우호적이고현명한사역자들에게 인정을받는다면, 내이름을그책에사용하지않는것을조건으로출판 하는데동조할작정이었다.
그리하여에드워즈의전기는다수의유작
설교들과함께출판되었고, 대부분의내용은그원고들에서내가직접 옮겨적었다.44)
비록사라는남편이세상을떠난후6개월만에죽었지만, 홉킨스는그 녀의간청을존중하고, 최초로에드워즈에대한중요한전기를썼다. 홉
킨스의작품은그후로에드워즈의전기연구의교과서가되었다. 그러 나『다양한주요주제들에대한설교들』45)이포함된『고조나단에드워즈
교회의목사로초빙을받았다. 로버트펌의 Jonathan Edwards: the Younger, 1745~1801 (Grand Rapids, William Eerdmans, 1976), pp. 19~24를보라. 또간략한설명을위해서는 Princetonians, 1748~1768: A Biographical Dictionary, James McLachlan 편집(Princeton, Princeton Univ. Press, 1976), p. 494를보라.
43) Schafer,“Manuscript Problems”를보라.
44) West, Sketches, pp. 57~58.
45) Boston, S. Kneeland, 1765. 이것은비록각부분마다각각속표지가붙어있지만, 한권의책
1. 구속설교시리즈│ 37
목사의생애와인격』이1765년에출판되기전, 홉킨스는이전의공동저
자들때문에상당히좌절감을느끼고있었다. 홉킨스는조셉벨러미에게 1764년1월4일에퉁명스러운어조로편지를썼다.“if나and(ifs or ands)
를제거하고설교들을옮겨적어준것에대해당신에게감사를드립니 다.
나와내형제는10편을옮겨적었는데, 그것들을곧보스턴으로[발행 인인닐랜드에게] 보내고자합니다. 그러나설(Searl) 목사가옮겨적은
생애와6편의설교를포함시켜도책을만들기에는충분치못합니다.”46)
분명히홉킨스와벨러미는같은해『두논문』47)을출판할때공동작업 을했었다. 홉킨스는같은편지에서벨러미에게『두논문』을출판하러보 스턴으로갈계획이었기때문에“첫번째논문인덕에대한논문을보내 달라.”고간청한다.48) 홉킨스의편지는또한“하나님의천지창조목적” 에대한필사사실을언급한다.49) 이것을통해우리는홉킨스가벨러미에 게요구한일이“참된미덕의본질”을필사해보내주는것이었음을추론 할수있다. 이런노력들을통해홉킨스는조심스럽게편집자로서최선 을다해원고의본문을존중하는모습을보여주었고, 그것은이후의편
집자들이자주벌였던과도한간섭을사전에차단하고원고를보존하려 는의도였다.
구속설교시리즈의출판
1765년겨울과1766년봄으로추정되는기간에, 조나단에드워즈주니
어는원고들을자기수중으로옮겨놓았다. 그때부터또한아버지의논 문들에대한저작자유언집행자로서의역할을감당하기시작했다. 확실
히1767년3월경프린스턴대학의강사가되었을때, 에드워즈주니어는
38 │조나단에드워즈의구속사 으로번호가매겨져있다.
46) 벨러미저작, transcription, I, 223.
47) Boston, S. Kneeland, 1765.
48) 벨러미의저작, transcription, ibid.
49) Ibid.
홉킨스(와벨러미그리고홀리) 대신책임을지는당사자가되었다. 이시점에
벨러미와홉킨스도완전히손을뗐다.
에드워즈주니어가책임자가된 첫시기에, 에드워즈자료들의위치와지위에영향을미치는미완성자료 들속에서, 구속설교시리즈를필사하고출판하는문제에대해진지하고
지속적인관심이주어졌다고암시하는증거는발견되지않았다. 에드워 즈의작품들의출판제안에대한반응은최소한애틀랜틱시티서부에서 만큼은무척실망적이었다. 식민지인들(독립이전의북미동부13주의영국식민 지)의관심부족으로말미암아, 에드워즈주니어는아버지의유고자료들
에대해상대적으로관심이컸던스코틀랜드에서특별히그리고어느정 도는영국에서출판할기회를갖고자했던것으로보인다. 우리는존어
스킨이에드워즈(에드워즈는특히육체적으로멀리떨어져있었으나어스킨이유명한책들
을보내주었던스톡브리지시기를아주높이평가했다) 및벨러미와서신왕래를했었 던것을알고있다. 비록직접적증거는없어도, 어스킨이그때저작자
유언집행인이된아들을찾아가구속설교시리즈가출판되는것을보고 싶다는관심을표명했을것이라고보는것이가장개연적인추측이다.
‘1773년2월25일뉴헤이번’이라고적혀있는구속설교시리즈의에든 버러초판서문에서50)
조나단에드워즈주니어는직접“이미숙한나라에 서아직은중요한작품을출판하기가어려운현실”때문에일어난장애 들을제거해주었다고어스킨에게공을돌렸다. 에드워즈주니어에따르 면, 어스킨은“책을판매할판매상을고용하고, 계속출판될이설교들이
특별히널리읽혀지기를바라는간절한마음을갖고있었다.”
1774년에든버러에서존어스킨이출판한원고들을『구속사』란제목 으로필사한사람이누구인가하는문제가이제아주중요한문제가되 었다.
만일조나단에드워즈주니어가필사했다면, 초판의발행인이자 공인된편집자인어스킨이원본을눈으로본사람이라고가정할이유가
50) Edinburgh, W. Gray, 1774. 이어지는인용은p. iii에서부터다. 서문은두면이상계속된다.
1. 구속설교시리즈│ 39
전혀없게된다.
이후로출판된후속판들은모두원본자체가아니라필
사자가편집한초판에근거해서출판되었을것이고, 그점에서그작품
들은뉘앙스와진정성이조금은훼손되었을것이라고상상할수있다.
먼저우리는어스킨이필사자로서어느정도역할을맡았다는점을고 려해야한다. 만일어스킨이구속사역에대한설교시리즈의출판을격 려하고돕는책임을맡고있었다면, 필사하는일에도관여하지않았겠는
가? 어스킨이스스로그설교들을논문형식으로편집했다고주장하는사 실로볼때, 그가구속설교시리즈를필사하는데참여했다고추론하는 것이가능하다. 어스킨의광고는이점을시사한다.“나의보호에맡겨진 원고를, 나는원래의취지나구성을추호도변경시킬마음이없었다. 그
러나원래지루한설교의형식으로되어있는것들을논문형식으로바꿀 자유가있었다. 그래서나는항목들이쉽게구별되도록그특징에따라
다양하고세밀하게그것들을변경시키고분류했다.”51) 조나단에드워즈
주니어의서문보다14개월정도후인1774년4월29일날짜로된이광고 는구속설교시리즈의필사(와편집)가스코틀랜드에서이루어졌음을암
시하고있다. 그러나상황적증거는이러한해석을의심하게만든다.
첫째로, 조나단에드워즈주니어자신이, 원고를다시맡고십년이다
되어갈때쯤자기아버지의설교들을하나로묶어출판했다. 1780년하
트포드에서출판된『다음주제들에대한설교』서문에서에드워즈주니 어는다음과같은말을했다.“이설교는이곳에서출판하려고필사된 것이아니었다. 1773년에나는스코틀랜드의한신사로부터아버지의설 교가운데가장간단하고실천적이고경험적인주제를다룬것들을출판 을위해필사해달라고요청받았다.”52) (이것은1779년12월21에쓴것이다.) 종
류, 배경그리고시기가매우밀접하게연관되어있는이두작품( 『구속사』
51) 이광고는에든버러편집초판p. v에실렸다.
52) 조나단에드워즈주니어가서문을쓴 Sermons on the Following Subject (Hartford, Hudson and Goodwin, 1780)를보라.
40 │조나단에드워즈의구속사
와『다음주제들에대한설교』 )의필사와편집그리고출판에대해다른이해와 접근을하는것은거의개연성이없어보인다.
둘째로, 에드워즈주니어가특별히이설교들을선택한이유는어스킨 이잠재적독자들에게『구속사』를추천하는이유를밀접하게반영하고 있다.“날카로운철학과심오한신학이그안에들어있지만, 이책은전
반적으로주제의난해한성격이나진리의반대자들의교묘한반론때문
에추상적이고형이상학인추론의길로나아간에드워즈학장의다른작 품들보다평범한그리스도인들을가르치고훈계하는데더낫다고생각 한다.”53)
이처럼에드워즈주니어가1780년에출판한『다음주제들에대 한설교』와어스킨이1774년에출판한『구속사』에나타난평행적특징 들은두책이동일한방법으로마련한프로젝트에연결되어있음을암시 한다.
분명히어스킨이1789년에에든버러에서에드워즈의『다양한주제에
입각한20편의설교』를출판하고, 1793년에또한에든버러에서『다양한 의견들』이라는선집을출판한것도비교해볼가치가있다.54) 이작품들
의서문의글은두작품이동일한방법에따른것임을암시한다. 어스킨 은조나단에드워즈주니어의간청에따라원고들을출판할권리를갖고 있었으나원고들을필사하고, 그필사본을어스킨에게넘겨준사람은에 드워즈주니어였다.
따라서이방법은또한『구속사』로출판된원고에도사용된것으로짐 작된다.
여기서우리는어스킨이분명히구속에대한설교자료들을논 문형식으로편집하는데있어서상당한권한을행사했지만, 조나단에드
53) 이광고는1774 에든버러편집본p. v에실렸다.
54) Twenty Sermons, On Various Subjects (Edinburgh, M. Gray, 1789); Miscellaneous Observations (Edinburgh, M. Gray, 1793). Twenty Sermons는 Sermons on the Following Subjects (1780) 가운데15편을재발행한것이며이전에명백히출판된다른설교5편도포함하고있다. 이것 역시에드워즈주니어가서문을쓴1780년모음집에포함되어있다.
워즈주니어가원본책자들을필사해서, 그필사본을어스킨에게제공하 1. 구속설교시리즈│ 41
여출판할수있도록했음이틀림없다고추측할수있다.
이러한해석은몇년후조나단에드워즈주니어가목사로섬겼던교회 에서해임되었을때쏟아진비난으로확증된다.55) 코네티컷주의재판관
으로대륙의회의의원이자독립선언서및헌법의서명자인로저셔먼은
뉴헤이번에자주오지못하고오랫동안그곳을떠나있었기때문에일상
생활에있어서는그곳사람들과친숙하지못했음에도불구하고, 에드워
즈주니어가시무하던화이트헤이번교회에서유력한(그리고독보적인) 인 물이었다. 1790년, 에드워즈주니어의사임에대한문제들이교회에서
일어나고있었을때, 셔먼은다른사람에게논란의원인에대해물었다. 그때유명한데이비드오스틴이에드워즈주니어가업무시간을자신의 개인연구에부당하게사용했다는의견을제시했다.“그가대부분의시
간을부적절한일에사용하지않았다면, 아버지의설교들을필사하고, 그
필사본을하트포드에서출판하는데시간을쓰지않았다면,『구속사』를 필사하고, 스코틀랜드에서출판할사본을준비하는데시간을쓰지않았 다면, 왜이런일이일어났겠습니까?”이에대한셔먼의반응은조나단
에드워즈주니어의활동의정당성을옹호하는태도로나타났다. 그러나 그태도는오스틴의설명이본질적으로정확성이없다는의미도아니었 고, 구속설교시리즈의원본책자들을필사한에드워즈주니어에대한
평가가정확하지않다고의심하는의미도아니었다.56) 이것은아버지의
원고들의필사자로서에드워즈주니어의작업이그당시지인들에게잘 알려져있었다는것을의미한다.
구속설교시리즈가출판을위해어떻게필사되고준비되었는지에대 한이러한재구성은최근조나단에드워즈주니어의수중에서증거가발
55) 펌은 Jonathan Edwards, the Younger, ch. 9 (pp. 134~147)에서그의해임과관련서신들이재 발행된것을다루고있다.
56) 펌은이부분을밝힌오스틴의편지에서이구절을다시옮겨적었다(p. 141). 그는셔먼의편 지원고도출판했다(pp. 142~144). 오스틴의편지원고와상세원고(1790년3월1일자)는예일대도 서관에소장되어있다.
42 │조나단에드워즈의구속사
견됨으로말미암아확증되었다. 1792년4월28일날짜로된한편지에 서, 우스터에서(1792) 어스킨판『구속사』를재출판한이사야토머스는 에드워즈주니어에게아들이출판에대한법적권리를갖고있는것이 무척놀랍다는뜻을표명했다. 이러한편지에크게분노한아들은답장 을쓸때, 다음과같은말로자신의입장을옹호했다.“나는우리나라의 법이저자나원고의소유자에게아무런보장을해주지못할때그책을 힘써필사하고출판했습니다.”토머스는이러한에드워즈주니어의주 장을일축했다.
이것으로보아뉴헤이번에서1770년대초에아들이구속
설교시리즈를필사하는작업을한것은분명하다. 게다가원본책자들 이애틀랜틱을넘어가지못하고, 편집자와출판자인존어스킨이단지
아들의필사본을갖고출판했다는판단에도충분한이유가있다.57)
일반적으로홉킨스가그랬던것처럼아들도아버지의원고상태를보 존하기위해조심했다.
때때로에드워즈주니어는에드워즈의일부산문 에대해개작을시도했다. 이러한개입은특히“다양한의견들”을필사할 때이루어졌다. 극히드물지만, 그의개입은또한구속설교시리즈책자
들속에서도확인될수있다.58) 에드워즈주니어는, 비록홉킨스에게- 그 리고다른사람들에게- 원본의사용을허락하는것이가능했음에도불 구하고, 이설교시리즈를필사하는일을공동으로하지않았다. 에드워 즈의글씨의난해함, 추가로출판된작품들의판로부족, 그리고원고들 의짧은길이등이이런공동작업을불필요하게만들었다.
우리는존어스킨이1774년4월29일에든버러에서쓴『구속사』판의 광고에서, 에드워즈주니어가자기에게편집을위해원고들을맡겼다고 적고있음을이미지적했다.
우리는이제어스킨이『구속사』라는제목으
57) 토머스의편지는예일대학바이네크도서관원고보관실17구역4번장에보관되어있다. 나
는이자료들을통하여내주장을밝히는데케네스민케마에게많은도움을받았다.
58) 한가지분명한실례는다섯번째책자다. 그책자의장들은순서가잘못되어있다. 에드워즈 주니어는 5.26v의문제점을지적하고, 5.14v와 5.16v으로순서를수정한다는지시사항을십입시켰 다. 에드워즈주니어가공헌한실제적삽입은“and result”를첨가한 8.4v이다.
로출판한필사본을어떻게다루었는지다시살펴볼것이다. 어스킨은
분명히편집자로서의권한을행사하여그설교들을논문으로바꾸었다.
이때그는에드워즈가구속사역전체에적용시켰던논리적구조, 즉구
속사역을세큰시기로나누고, 또이각시기를적절한하부적시기나
논리적원리들에따라구분한것을그대로유지시켰다. (어스킨은특히두번
째시기에대해분석적방법을사용하여, 예수님의생애를구속의취득으로규정하고, 에드워드
당시의시대를뛰어넘어마지막시대를완결시킬사건들을투영하는것으로구성했다.) 어스킨
은설교적표현들, 예컨대, 에드워즈가종종사용한본문과교리의반복,
또는앞설교의요지를되풀이하는것등을제거했다. 그렇게함으로써
어스킨은독자들을제대로배려하지못했다. 왜냐하면이러한형식의서
론은종종에드워즈가자신의주장을더깊이전개시키기위한장치로서 서두에놓였고, 문학적표현이나전제와관련되어있기때문이다. 반면에
어스킨은첫시기의마지막부분(설교13)의응용과두번째시기의마지막
부분(설교17)의적용과같이본질상설교에서나온부분들을삭제하지않 았다. 그리고전체에대한적용부분(설교29에서시작해서설교30 전체에걸쳐있
는)도마찬가지다.
일반적이지는않지만짐작컨대, 에드워즈가자신의주장을다적어두
지않고미완성상태로남겨둔부분들에대해내용을채워넣는권한을 행사한사람은아들조나단에드워즈주니어였을것이다. 에드워즈주니
어는어떤입장을성경적으로보증하거나특정구절에대한해석을전개
할때, 종종이런일을했다. 만일우리가원본들(에드워즈의설교책자들)이뉴 헤이번에서아들의손에남겨져있었다고추정한다면, 어스킨은구속설
교시리즈의어느부분이실제로미완성으로남겨져있었는지모르고있 었을수도있다.『구속사.
완전히새로운방법으로신학체계를개관함』 이라는책이1774년그레이(W. Gray)를위해에든버러에서출판되었다.
이후의어떤후속판이원본이나추가로연구된조나단에드워즈주니어 의필사본에기초해서출판되었다고가정할근거들은없다.
44 │조나단에드워즈의구속사
구속사의판본들
존어스킨의1774년판『구속사』는영국에서빈번하게재출판되었 다.59) 1782년에, 에든버러에서재발행되었고, 또한보스턴에서도재출판 되었다. 1786년에는뉴욕에서처음으로출판되었다. 1800년이전까지, 이동일한판본은에든버러에서세번이나더출판되었고(1788, 1793, 1799), 매사추세츠주, 우스터에서도출판되었다(1792). 게다가편집자인
조지피처의이름을따‘피처판’으로알려진확장판이1788년런던에서 출간되었다.
이피처판은“저자의생애와경험”이라는부분과함께역사 적, 비판적그리고신학적주(註)를추가로포함시켰다. 피처판은어스킨
판을약간변형시킨것이지만, 원본에대한새로운필사본에의존했다거 나새로운필사본이나조나단에드워즈주니어의필사본을참조했다고 가정할이유는없다. 모든면에서피처판은어스킨판에서나온것으로, 어스킨판을더발전시키려고했던것으로보인다. 따라서원판인어스킨
판과독립된내용이들어있을가능성은없다. 1793년뉴욕에서스워드 (Swords)가출판한책도피처판과동일하다. 이후기의판(피처판에서나온스
워드판)은어스킨의광고를삭제하고, 어스킨의내용분류표보다훨씬더 상세한표를제시하고, 광범한주(註)를첨부하고, 참조색인표를제공한
다. 그러나이정성스러운장치들은에드워즈로부터유래하거나그의원 고들(설교책자들이나노트들)
에기초를두고있는것이결코아니다.
일반적으로피처판이어스킨판에서이탈한것은가끔등장하는반복된
문장형식을제거한데있다.
이판들사이의차이를자세히분석해보면, 어스킨의본문이피처의본문보다항상원본에더충실하고가깝다는것 이확인된다. 피처판이에드워즈주니어(또는어스킨)가조나단에드워즈의
설교책자들속에미완성된형식으로남아있는부분들을완결키시거나 1. 구속설교시리즈│ 45
59) Johnson, Printed Writings『구속사』의편집본들은pp. 85~94에있는243~269 목록에있다. 이책에는수집된작품들의다양한편집본에대해서도밝히고있다. (Johnson, pp. 112~127을보 라).
아니면완성시킨본문의부분들을보면, 피처판이완전히어스킨판에의
존하고있음을보여준다. 기껏해야피처는어스킨이편집한필사본을 참조했다고주장할수있을뿐이고, 피처판은철저히어스킨판에서나왔
다고가정하는것이더합리적이다.
어스킨판과피처판사이의본문의차이문제를거론하면서, 우스터판
『구속사』의편집자는어스킨의수정된1793년본문(에든버러제4판)을사용
하기로결정했다.
이것[1793년본문]은어스킨박사가변형한원고형식에따르고있고, 아마어스킨박사의검토아래, 매우정확하게인쇄된것으로보인다. 이
어스킨판이피처가1788년에출판한런던판보다더낫다. 이판[피처]의
편집자는에드워즈목사의취지를보존하려고성실하게작업한것으로
보이지만, 문체를크게바꾸어놓았기때문에원저자의구성을유지하고 있다는믿음이가지않는다.60)
이두판가운데상대적으로어느것이더좋은지에대한이편집자의 판단은의심할여지없이정확하지만, 피처판의특징이어스킨판과독립 적이라고본것은잘못이다. 왜냐하면그렇게되면피처가원본을입수 해서참조했음을암시하는것처럼오해할수있기때문이다.
19세기에어스킨의초판은수없이재출판되었는데, 특히에든버러와
매사추세츠의우스터에서출판된판이그랬다. 영국전도협회(런던)와미 국전도협회(뉴욕)도그것을출판했다. 피처판은런던에서두번재출판되 었다. 물론이외에도,『구속사』는1806~1811년에리즈에서간행(전8권)되
기시작한에드워즈작품들의다양한선집들에서도표준서로포함되었 다. 가장중요한선집은1808년우스터에서간행된것이었고, 이후로다
60) The Works of President Edwards, Samuel Austin 편집(8 vols., Worcester, Mass., Isaiah Thomas, Jr., 1808), 2, iii을보라.
46 │조나단에드워즈의구속사
른선집들이무수히출간되었다.
마지막으로, 살펴볼것은『구속사』가번역된것이다.『구속사』는위트 레흐트에서네덜란드어로거의직후에번역되었다(1776년).
19세기에는
웨일스어로두번출판되었다(1829년발라에서그리고이후에연대는불분명하지만, 미국전도협회에의해뉴욕에서).
프랑스어번역판이1854년툴루즈에서출판되 었고, 1868년에는베이루트에서아랍어판이출판되었다. 말할것도없이
『구속사』는조나단에드워즈의작품가운데가장널리보급된책가운데 하나로판명되었다. 의심할여지없이『구속사』는『신앙감정론』이나『의
지의자유론』과같이엄밀히철학적이거나신학적인논문들보다복음주 의의식에대한‘역사적’구성을더잘펼쳐낸책으로서대중문화속에 가장큰영향을미쳤다.
이런의미에서볼때,『구속사』는19세기의세상 에대한복음주의적이해를보여주었고, 더정돈된섭리에대한이론들
이나올수있도록뼈대로서도움을주었다.
하나님의가장중대한활동인구속
뉴잉글랜드청교도전통속에서신학적최대관심사였던구속
구속은처음부터뉴잉글랜드청교도사상의근본주제였다. 토머스후
커는초기설교들을통해이관심사를예증한다.1) 이존경할만한목사는
1630년대에옛영국에서이민을왔고, 매사추세츠주, 베이의공유지에서
코네티컷강의계곡으로작은집단들이계속이동할때함께이주한지도 자였다.
현대의비판적학자들은후커를“가시적인성도의자격(visible sainthood)”과“구원을위한준비(preparation for salvation)”와같은문제들
을강조함으로써구속의중심성을천명한인물로바라보았다. 최초로출
판된조나단에드워즈의작품은주제를구속으로채택했다.『구속사역 을통해영광받으시는하나님』이그것인데, 1731년보스턴에서공개강 좌로전한내용을담고있다.2)『신학묵상집』을간단히살펴보면, 에드워
1) 후커의초기저작들에대해서는 Thomas Hooker: Writings in England and Holland, 1626~1633, George H. Williams 외편집, Harvard Theological Studies, 28 (Cambridge, Harvard Univ. Press, 1975).
2) Boston, S. Kneeland and T. Green, 1731.
즈가한평생,
특히자신의사상을성숙시킨노샘프턴시절에, 계속해서
구속이라는주제에천착했음을알수있다.“구속사”로알려진에드워즈 의30편의설교들의구성은완전히자기가서있던전통에적합했고, 또
한자신의활동속에서이미중심적이었던주제를전개한것이었다.
구속설교시리즈에대한두드러진특징은주제에있는것이아니라 에드워즈가구속을전개하기위해선택한접근법에있었다. 초기의청교
도전통은주로그리스도인의영혼속에서의“구속의적용”- 후커가사 용한말- 을세밀하게분석하는데중심이있었다.3) 그리스도로서예수
안에서인간이되신하나님의성육신과신실한자들의구원을이루기위 해인간의죄에대해구주가이루신속량과같은중대한신학적교리들 을이당시의문헌들은당연하게여겼다. 관심의중심은영적경륜으로
서주어진구속이라는목적이어떻게그주체인성도개개인의삶속에 서실현될수있도록하느냐에있었다. 따라서구속의적용이회심이라
는말의의미에대한관심으로바뀌고, 가시적인성도의자격이관심사 가되었다.4) 그관심사는특히성도들개인의삶속에서의구원의과정
에대한면밀한분석을포함하지만, 구원의집단적표현에대한분석도 배제하지않았다.5)
이러한관심사는본질상17세기와18세기에대륙진영에서전개된경 건주의의신봉자들의관심사와중복되었다.6) 경건주의자들은영국청교 도들의구속의적용에대한관심사에깊이영향을받았다. 그리고이런
3) 토머스후커의 The Application of Redemption (London, 1656)과그의초기저작들이모두이 주제를다룬다.
4) 이주제를다룬중요한연구서는다음과같다. Edmund S. Morgan, Visible Saints: The History of a Puritan Idea (New York, New York Univ. Press, 1963); Norman Pettit, The Heart Prepared: Grace andConversioninPuritanSpiritualLife (New Haven, Yale Univ. Press, 1966).
5) 고프리너털의 Visible Saints: The Congregational Way, 1640~1660 (Oxford, Basil Blackwell, 1957)에서는청교도혁명때영국의청교도사이에있었던진척사항을다룬다. 너털의 The Holy SpiritinPuritanFaithandExperience (Oxford, Basil Blackwell, 1946)도참조하라.
6) 어니스트스토플러가연구요약한 The Rise of Evangelical Pietism (Leiden, E. J. Brill, 1965)에서 는영국청교도가대륙경건주의에영향을주었음을시사한다.
2. 하나님의가장중대한활동인구속│
상호관심은17세기와18세기에독일어권경건주의자들과영어권청교
도들에게서계속되었다. 이전통은에드워즈생애동안신세계의중부 식민지인들에게깊이스며들었고, 그지역의대각성의배경으로작용된
것이틀림없다.7) 이동일한전통들은각각다른강조점과초점을갖고있 다는점에서구분되었다.
청교도전통은처음으로개별적그리스도인과
전체그리스도인그리고순결한교회의통상적삶을새롭게하는개혁주
의사상의실천을발전시키고촉진시켰다. 경건주의전통은구속받은개
인들에게특히관심을두고사회적및정치적환경에대해서는비교적무
관심한태도를보여준루터교인들에게주로영향을미쳤다.
구속의적용과가시적인성도의자격에관련된청교도전통의측면은 에드워즈안에서강하게보존되었다. 부흥설교를통해에드워즈는누구
보다숙달된‘구원박사(doctor of salvation)’였고, 동시에구속의가능성 과영원한정죄에대한두려움을강조했다. 따라서“진노하시는하나님
의손안에있는죄인”은에드워즈의설교의한표본으로인정될만큼가 치가있다.8) 그러나그설교는강력하게구원에대한두려운양자택일을
주장함으로써신앙으로구속받은자들의안전을강조한특수한설교였 다. 에드워즈는또한구속의적용에대해절대적인관심을보였고, 이주
제는대각성뿐만아니라『놀라운부흥과회심이야기』에서연대순으로
기록된1734년각성의배후에깊이자리잡고있다. 에드워즈의묵상은
영적생활에대한일련의명확한분석에서시작되어『신앙감정론』에서
7) Milton J. Coalter, Jr., Gilbert Tennent, Son of Thunder: A Case Study of Continental Pietism’ s Impact on the First Great Awakening in the Middle Colonies (Westport, Conn., Green wood, 1986) 을보라.
8) 윌슨킴나흐는 Jonathan Edwards: His Life and Influence, Charles Angoff 편집(Rutherford, N.J., Fairleigh Dickinson Univ. Press, 1975)에있는“The Brazen Trumpet: Jonathan Edwards’ s Conception of the Sermon”에서이문제를다룬다. 더폭넓은배경을연구하려면Norman Fiering, Jonathan Edwards’ s Moral Thought and Its British Context (Chapel Hill, Univ. of North Carolina Press, 1981)의5장“Hell and the Humanitarians,”pp. 200~260을보라.
9) 고언이편집한전집4권『부흥론』(예일판, 1972)과존스미스가편집한전집2권『신앙감정론』 (예일판, 1959)을보라.
정점에이른다.
9)
여기서에드워즈의분석능력은구속의주체들의경험 을고찰하는데십분적용되었다.
구속의적용은에드워즈가성숙한사상을갖고있던대부분의시기에 중요한관점으로작용했다. 예를들면,
기도합주회는뉴잉글랜드와스코
틀랜드전통사이의관계에대한에드워즈의지속적인관심(그리고분명히 그에대한그의높아진평가)을증명하는것이기는해도, 또한그가미국의부흥
운동에야심차게헌신하게된원동력으로서, 엄밀히구속의적용에대한 관심의직접적결과였다.10) 나아가에드워즈는할레대학교수인스펜서
의대륙의경건주의와유럽과미국중부식민지들에대한친첸도르프의 역할을이미알고있었던것으로보인다. 또다른실례는에드워즈는교
인에대해비교적개방적입장을취했던스토다드와는반대로,‘구원에 대한반응’은참으로절박한문제라는신념을계속표현한것이다. 그러
나구원의적용을이처럼강력하게주장했지만, 에드워즈는19세기에일
어난변화가자신의활동때문이아니라고주장할것은확실하다. 이것 은구속을주관적으로이해하는낭만주의자들사이에서는흥미로운관 심사였다.11)
에드워즈로부터파급된19세기미국의종교사상의전통의이러한변 화또는변천은정통과이단양진영모두에게서전개된것으로파악될 수있다.
첫번째사례로호레이스부쉬넬의사상은문화의산물로서언 어는종교적언명들을제시하는매체이기때문에어떤종교적주장도필 연적으로인간이라는주체속에뿌리를두고있다는것으로서, 현대의입 장을훨씬뛰어넘어전개되었다.12)
부쉬넬은포괄적이고전통적인기독
10) 이런행동과관련된기도합주회는스티븐스타인이편집한전집5권『종말론』(예일판, 1977) 을보라. 이런노력의배경과상황에대해서는서론에서이미다루었다.
11) 이런변화에대한최근의연구는Conrad Cherry, Nature and Religious Imagination: From Edwards to Bushnell (Philadelphia, Fortress, 1980)을보라.
12) 호레이스부쉬넬이전개한명백한입장은 God in Christ (Hartford, Brown and Parsons, 1849) 의서문에있는그의“A Preliminary Dissertation on Language”를보라.
2. 하나님의가장중대한활동인구속
교신앙고백을암시하는모습을보이지만, 그에게종교적언명은본질상
본체계에대한확실한계시가아니라현상계에대한강력한묘사에불과 했다.
반면에랄프에머슨은인간주체들의경험속에나타난구속에큰
관심을갖고있었다.
그러나에머슨에게전통적기독교의상징들은자연
에서유래된상징들과똑같거나그것들로환원되고, 영의생활에대해서 는철저히이단적인용어로설명했다.13) 그러나우리에게중심문제는뉴
잉글랜드신앙전통의핵심요소들을채용해서표현한에드워즈의구속 에대한관심이다른사람들에의해번갈아그이상으로전개되었다는것 이다.
구속을신앙의가장기본적인범주로보는에드워즈의관심은뉴잉글 랜드문화의특징적요소를반영한것이었음을주목하는것이중요한것 만큼, 우리는또한에드워즈가이관심을다양한방향으로철저히분산시
켰다는것역시주목할필요가있다. 여기서에드워즈는구속의‘객관적’
측면에체계적인관심을갖도록제안했다. 즉구속은세상과하나님의 관계를이해하는수단으로서, 전체피조물과의관계속에서보아야한다
는것이다. 에드워즈는지속적인묵상을통해구속사역을이해한사람 은최소한삼위일체를믿는사람으로서하나님의본질을파악한사람이 라고추측하는데까지나아갔다. 에드워즈사후에『두논문』속에포함되
어출판된“하나님의천지창조목적”이라는후기의논문은구속에대한 인간이해의한계의문제를다루었다.14) 그러나비록충분히전개된것은
아니었지만, 그문제는이미구속설교시리즈속에함축되어있던것이 었다. 이미제시한것처럼,『신학묵상집』은더일찍부터그문제가존재 했음을알려준다. 결과적으로에드워즈의주장은, 말하자면, 만일창조
13) 에머슨과종교철학자로서초자연주의자들의관점에대해서는Catherine Albanese, Corresponding Motion: Transcendental Religion and the New America (Philadelphia, Temple Univ. Press, 1977)를보라. 또한윌리엄크레쉬의 American Religious Thought: A History (Chicago, Univ. of Chicago Press, 1973), 특히2~4장을보라.
14) 1765년에『두논문』이출판되었다. 폴램지가편집한 Work, 8,『윤리론』을보라.
가하나의무대라면그무대의목적은구속의드라마를보여주기위한 데있고, 구속의드라마의결과(따라서창조의이유)는하나님의자기영광이 라는것이었다.
에드워즈는피조계가왜존재하는지이유에대해크게 고민하지않는다. 왜냐하면그목적이인간의구속을일으키는데있고, 구속과정의객관적측면을에드워즈자신이서있었고, 활동했던전통
속에서구속과정의주관적측면에따라철저히탐구했기때문이다. 이
와같은구조는구속사역에대한“역사”가왜그토록에드워즈의지성사 의중심이고, 그가어떻게이중심프로젝트에접근했었는지를보여준
다. 또한그구조는에드워즈가언제나구속의역사가신학적진술의요 체가되기를원한이유를설명하는데에도도움을준다.
에드워즈는구속사역을“인간이타락한후부터세상끝날까지”곧최 후의심판때까지수행되는것으로정의했다.15)
이“역사”를구성하는일 련의사건들은적절히내러티브나드라마적인용어로제시되었다. 그러
나비록구속프로젝트가깊이성경에의존하고, 또성경에서나왔다고 해도, 우리는에드워즈의주장의원천들이성경으로한정된다고가정해 서는안된다. 그렇다고에드워즈의노력들이성서숭배의한모습으로 이해되어야한다고가정하는것도똑같이잘못이다. 에드워즈에게성경
은구속사역의“역사”에대한불완전하고복합적인표현을제공했고, 더 구나성경번역본은쉽게잘못해석할수있는빌미를제공했다. 동시에 성경은에드워즈가하나님의구속사역에결정적이라고생각한사건들 에대한기사를제공했다.
이스라엘의애굽으로부터의구원과이스라엘 을다스리는다윗왕권의보존등이그실례다.
에드워즈는불완전한“역
사”부분들을성경의예언으로보강함으로써, 구속계획에대한내러티 브기사를해석하고구체화했다.
이로말미암아에드워즈는성경의역사 속에서서술된사건들을정확히이해했을뿐만아니라그범위에서벗어
15) 그의요점은“창조사역”이나“섭리사역”보다더한것을포함하므로더고차원적인종말과 초월적인것을의미한다.
2. 하나님의가장중대한활동인구속│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