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2017년 7월 28일 금요일 AUL CHOI, MA 사 부
T
vanchosun
vanChosun media
2017년 7월 28일 금요일
316
,한
60
기
e
77 117
캐나다 부모도 성인 자녀에 게 일정 금 을 주어 을지 원하고 있다. 주요 은행 중 하나 인 CI C는 27일 “대부분 캐나 다인 부모(76%)는 18세 또는 그 이상 자녀에게 증여를 통해 분가· 인 또는 동거에 따른 분 가를 고 있다”며 “증여한 부 모 거의 반은 평 2만4125달 러를 자녀에게 다”고 설문결 과 보고서에서 밝혔다. 또 캐나 다인 부모 는 성인 자녀와 자 녀 우자와 함께 사 니 돈을 주어 분가하는 게 좋다는 명제 를 택했다. 제이미 골 백( olombek) CI C 세무·상속 담당 상무는 “ 이번 통계를 보면 많은 부모가 자녀에게 금융 지원을 해 지 를 나게 하는 상 을 고려하 고 있다는 점을 보여 다”며 “ 동시에 증여에 대해 많이 생각하는 부분도 발견했다”고
27일 오전 10시 30분 버나비 센트럴 공원의 평화의 사도비에서 한국전 참전용사의 날 기념 행사가 열렸다. 사진=경영오 기자
전용사들의 을 기 다. 기 식은 국기 입장, 개회사, C주 총 인사말 등의 서로 진 행됐으며 ‘기억의 서약’과 화의 시간을 가졌다. 다음은 기억의 서 약의 전문이다. -그들은 우리 어 지만, 조
27일 오전 10시 30분 버나비 센 트럴 공원 내의 평화의 사도 기 비 앞에서 한국전 참전용사의 날 기 식이 열 다. 한국전 참전용사의 날은 2013 년 6월 19일 S-213 안으로 제 정됐으며 해마다 7월 27일은 한 국전쟁에서 생한 분들을 기리 는 날이다. 이날 행사에는 주디스 (J dith ichon) C주 총
캐나다부모 자녀 증여 고민 부모 마음이 나라 다 르다고 크게 다르진 않고, 표현 이 다를 뿐. 중개인, 고 편의 주 다 적발 이 말로 소 대실의 캐나다 사 아 런 지. 건 내고, 을 건 고. 트 도 총리 “한국 수호, 우리 캐나다 지” 신 으로 을 고 품는 지 는 범접 할 이 있기 마 련
, 연아마 상원의원, 트리나 (Chen) 정무 장관, 주밴쿠버총 영사관 김건 총영사 및 영국, 필리 , 대만, 터키 등 각국의 외교관 등 200여 명이 참석해 한국전 참
국을 위해, 아 없이 자신을 니다. 시간이 같이 지 만 우리는 약속할 수 있 니다. 그 들의 을 이어 들겠노라고, 그 들을 결코 지 않겠노라고. 우리 는 그들을 기억할 것입니다. 경영오 기자 kyo@vanchosun.com
트뤼도 총리 “한국 수호는 우리 캐나다의 긍지” 한국전 참전 용사의 날 기념사 서 수 만 명 인과 민간인 생명을 아 다”고 말했다. 이어 트 도 총리는 “2만6000여 명 캐나다 인 중 일부는 우 10 대였고, 또 일부는 2차대전 참전용 사로 발아래 태평양을 건 다”며 “500여명 이상 캐나다 인 이 위대한 신(전사)을 했고, 수 없는 많은 인생이 돌이 수 없 는 변화를 었다”고 도사를 이 어 다. 트 도 총리는 “1차 세계 대전 전장이 재현된 한 위 속 에 음 한 참호를 지키며, 때때로 (아 과 적 사이) 무인지대로 두 려운 간 임무를 수행하며 인은 다”며 “캐나다 이 이 중요한 승리 중 하나인 가평 전 투 같은 용 한 움은 한과 강 력한 적에 직면해 이 했다”고 말
저스 트 도(Tr dea ) 캐나 다총리는 캐나다 한국전 참전 용 사의 날( orean ar eterans ay)을 이해 27일 성명을 발표 했다. 한국전 참전 용사의 날은 2013 년부터 연아 마 상원의원(Martin·한국명 김연아) 상원 발의에 따라 1953년 6.25 휴전이 발효한 7월 27일로 정해 내려오고 있다. 트 도 총리는 “오 , 우리는 용 하고 신적으로 한국전쟁 동안 운 ·해·공 소속원을 기억하 고자 한다”며 휴전 의미에 관해 설 명을 이어 다. 트 도 총리는 “64 년 전 오 휴전은 1950년 공산 한이 한을 략해 발발한 한국 전쟁 교전 활동 중단을 의미했다” 며“ 한 전쟁이 3년여를 면
스 유
9 u e
한
e
ess L
nc 1 6
캐나다에 증여세 없는 이유는? 캐나다 부모 76% 자녀 지원 의사
27일 오전 10시 30분 평화의 사도비에서 열려
/
했다. 트 도 총리는 “이러한 신 과 한국 국권 수호를 우리 캐나다 는 방과 함께 지로 여긴 다”며 “한국전 참전용사의 용 한 생으로 한국은 오 날 평화 게 번영하는 나라가 됐다”고 밝 혔다. 성명을 마 하며 트 도 총 리는 “오 날, 나는 모 캐나다인 이 한국전에 대해 좀 더 것 과 참전용사를 기리는 활동에 참 여하라고 권하고자 한다”며 “캐나 다 건국 150주년을 이한 올해, 우리는 인과 인을 지원하는 가족을 인정하는 계기로 아, 그 들이 우리의 가장 소중한 가치인 관대함(openness) 민주주의(democracy) 동정 (compassion) 인권 중(respect for h man rights)을 캐나다와 만방에서 지 수 있게 자”고 말했다.
밝혔다. CI C는 이번 설문에서 캐나다인 부모 68%가 증여나 관련 세 에 대해 알고 있 다고 결론 내 다. 특히 캐나다는 미국과 달리 증여세(gift tax)가 없다는 규정 을 모르고 있다. 골 백 상무 는 “평생 지 않고 ‘묻어둔 돈 (never money)’으로 기기보 다 생전에 자녀 증여로 자녀 을 지원하게 만드는 게 이 이라고 본다”고 증여세 비과세 경을 설명했다. 자녀 증여를 계획한 부모에 게 방 을 설문한 결과 47%는 현금 지원 의사를 밝혀 가장 비 율이 았다. 이어 “내 집에 장 성한 자녀와 자녀 우자가 함 께 살게 하겠다”(28%)거나 “자 녀 모기지에 보증서겠다”(25%) 가 를 이었다. 증여 금 은 소득이 많은 집 안일수 많다. 연소득 10만달
러 이상 가정은 평 4만558달 러를 자녀에게 줄 계획이다. 연 소득 10만달러 이상 가정 은 5만달러 이상 증여 의사를 밝 혔다. 한편 증여 계획이 있다고 해 서 무작정 증여하는 캐나다인 부모는 거의 없다. 55%가 증여 에 망설임이 있다고 밝혔다. 특 히 5명 중 2명은 나중에 자기에 게 필요가 있을 수 있다고 고, 3명 중 1명(29%)은 자녀가 증 여 은 돈을 현명하게 지 할까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앞으로 증여 형태에 대해 이비 세대 56%는 일 나 주고, 73%는 자와 녀를 포 함한 모 자녀에게 같은 수 가 필요한 사정이 아니더라도 나 줄 필요가 있다고 다. 또 일단 증여를 하고 나면 60%는 성인 자녀가 어 게 상관 치 않겠다며 조건을 달지 않았 다. ▶A3면에 계속
한 의만 일부 인정해 역 1년 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구 속 수 중이던 조 전 장관은 석방 됐다. 김종 전 문체부 장관에 역 2년, 신동 ·정관주 전 비서 관에게는 역 1년 6개월 실형이 각각 선고됐다. 구속 재 을 은 김상 전 교 문화수석도 역 1년 6개월형을 선고 고 정 구속됐다. 김소영 문화체 비서 관은 역 1년6개월에 집행유예 2 년을 선고 았다. 재 부는 “문화·예술인들 지원 제 행위는 등이 규정하는 차별 지 않을 권리를 각하게 한 것”이라며 “정치 권력의 기호에 따라 정부 지원을 제한 것은 정신에 어 난다”고 밝 혔다. 최재훈 기자 8
년 법원 “박 前대통령은 공범 아니다”궧 한국 박근 정부에 비 적인 문화·예술인명단(블랙리스 트)을 만들어 정부 지원을 제 한 의 등으로 재 아 김 기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27 일 1 에서 역 3년 실형을 선 고 았다. 서 중앙지 형사30부(재 장 )는 블랙리스트 작성 지시 의로 김전 실장 등과 함 께 기소됐으나 다른 재 부에서 재 을 고 있는 박근 전대통 에 대해서는 “보고 았을 개연 성은 크지만 증거를 종합해 도 지원 제 범행을 지시 또는 지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해 공범으로서 임을 진다고 보긴 어 다”는 단을 내 다. 블랙리스트 작성 지시·실행은 김 전 실장이 주도해 적 임을 하며 이 문제로 박 전 대통 을 벌하기는 어 다는 것이다. 재 부는 조 선 전 문화체 관 부장관에 대해서는 “조 전 장관은 정무수석으로서 신동 정무비서관 등이 관여하는 것을 지시하거나 승인하는 등의 행위 를 했다고 인정하기 어 다”며 블랙리스트 부분에 대해서는 무 를 선고했다. 다만 조 전 장관 이 올 1월 국회청문회에서 위증
(Tyson Lee)
Cell: 778-878-2298
778-887-3379 5
사
: 한
(604) 69 - 96 : 778-875-8477 (
시
시가 )
도 도 복
리 아
경 45년 이상의 변호경험 Order of Canada 수상 (왕실 수여) Queen’s Jubilee Medal 수상 (왕실 수여) Eloisa deLorenzo 수상 (International Brain Injury Association 수여)
인 T
T
인
T
25년 이상의 변호경험
15년 이상의 변호경험
(
) 밴쿠버한인장학재단 이사 벤쿠버무궁화재단 이사 변호사를 위한 교육 강사 대중을 위한 교육 강사
S ithe St. Nelson St.
사 원
.
한
:
Roo 207, Suite 219 4501 North Road, Burna y, BC (한남슈퍼 2층, ) 한
사
North Rd
:
Howe St.
밴쿠버
1301-808 Nelson Street, an ouver, BC
Burrard St.
Loug heed Hw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