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8일 토(2016)

Page 1

VanChosun MEDIA VanChosunMEDIA MEDIA VanChosun

VanChosun MEDIA 밴쿠버 조선일보

2016년 6월 18일 토요일

창간 VanChosunMEDIA MEDIA VanChosun

주년

A1

창간 창간

<밴쿠버 판>

제2991호 2016년 6월 18일 토요일

vanchosun.com

밴쿠버조선일보 조선일보 밴쿠버

밴쿠버 조선일보

스티브 김, BC 주총선 출마 선언

☎(604)877-1178

주년 주년

The Vancouver Korean Press Ltd. (Since 1986)

주년

탕… 브레이크 걸리는 ‘브렉시트’궩 <Brexit·영국의 EU 탈퇴>

BC자유당 후보로 코퀴틀람-말라드빌서 출사표 내년 5월 9일 예정인 BC주총 선을 앞두고 한인 후보가 일찌감 치 출마선언을 했다. 주인공은 스 티브 김(Steve Kim·한국명 김형 동)씨로 코퀴틀람-말라드빌(Coquitlam-Maillardville) 선거구에 BC주 집권 BC자유당(BC Liberals) 후보로 출마를 16일 확정했다. 김 후보는 16일 “아직 선거가 11 개월이 남은 만큼 지역사회 곳곳 에서 유권자들을 만나고 이야기를 나누면서 지지를 다져나갈 계획” 이라고 밝혔다. 김 후보는 앞서 한 인 2세 봉사단체 C3 회장을 역임 했으며, 개인적으로 디지털 미디 어 및 마케팅 회사를 16년째 운영 하고 있다. 김 후보는 8세에 아버지 김지한 씨를 따라 이민와서 코퀴틀람에서 성장했다. 김 후보는 집을 선거구 로 옮기고 심기일전을 해 준비하 고 있다.

김후보가 일찌감치 출마를 결정 한 배경은 지난 2013년 5월 14일 BC주총선에서 비교적 늦게 출마를 결정해, 자동 재검표까지 가는 박 빙승부 끝에 아쉽게 낙선한 결과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로 보인다. 김후보는 BC신민당(BC NDP) 셀리나 로빈슨(Robinson) 현 주 의원을 상대로 단 41표 차이로 졌 다. 선거 당일에는 초기 계표에서

사진=Al Lau

“스티브 김을 응원합니다”… 스티브 김 후보 출마 발표장에는 테레사 와트(Wat) BC 주 무역장관과 린다 레이머(Reimer) 주의원(우측·포트무디-코퀴틀람 선거구)이 응 원차 참석했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스티브 김 후보 출마… 1 년 남은 마라톤 정정당당히 잘 달려서 소기의 성과 올리 기를 기원합니다. ○ 한국사는 캐나다인은 대

부분 역이민… 모국에서 캐 나다인 국적으로 사는 한인. 모임 가질 정도로 적지는 않 은 편. ○ BC주 교통 정비 예산 마 련돼… 결국 세금 올리자는 정치인들이 틀렸고, 반대한 시민이 옳았다는 얘기. 유권 자는 언제나 옳다.

는 김 후보가 105표를 앞섰지만 득 표율 0.2% 차이면 자동 시행되는 재계표에서 밀렸다. 주총선이 치 러진 후 재계표에서 나온 결과는 로빈슨 의원 9930표, 김후보 9889 표였다. 낙선 후에 김후보는 “주총 선에서 7주 유세를 했지만 접전까 지 갔던 것은 유권자들과 한인 사 회의 도움이었다”며 감사를 표시 한 바 있다. 이번 주총선에서도 김후보는 로 빈슨 주의원과 다시 리턴매치를 하게 될 전망이다. 지난 주총선에서 로빈슨 후보는 10만7325달러를 선거비로 퍼부었 고, 김 후보는 역대 후보 중 가장 적은 8만581달러를 썼다. 해당 선 거구는 과거에 현직 코퀴틀람 시 장(리처드 스튜어트 시장)이 출마 하는 등 여야 중진이 대결했던 곳 이다. 앞서 4월 크리스티 클락(Clark) BC주수상은 한인 기자들과 인터 뷰에서 “여당의 차기 총선 승리의 비전”으로 김후보를 소개하는 등 출마를 예고했었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BC주 대중교통이 달라진다 연방정부와 주정부 관련 사업에 9억달러 투자할 것 BC주정부는 16일자 보도자료를 통해 “BC 지역 대중교통 시설 확충 사업에 예산 약 9억달러를 투입하 기로 연방 정부와 합의했다”고 밝 혔다. 이번 결정이 대중교통 편리 성을 높일 뿐 아니라 지역 경제에 도 보탬이 될 것이라고 주정부는 내다봤다. 해당 발표문에 따르면 정부 예산 투입을 통해 버스 노선이 새로 만 들어지고 스카이트레인 접근성도 좋아진다. 수십여 년간 미뤄져왔던 교통시스템도 손볼 수 있게 됐다는

것이 주정부의 전언이다. 주정부는 “환경 친화적인 CNG(천연압축가 스) 버스 도입, 시버스와 스카이트 레인 추가 증설, 웨스트코스트익스 프레스 재정비 등이 이루어질 것” 이라며 “이를 통해 도로 혼잡도와 출퇴근 시간이 단축될 수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대규모 예산 집행은 일자리 창출 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고무 적이다. 주정부는 “안정적인 일자 리가 만들어질 것”이라며 “이로인 한 열매는 중산층에게 돌아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저스틴 트뤼도(Trudeau) 캐나다 총리는 “BC주 대중교통 시 설 확충 사업은 중산층 뿐 아니라 환경에도 이로울 것”이라는 입장 을 전했다. 크리스티 클락(Clark) 주수상은 “이번 결정이 대중교통과 관련된 주민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삶의 질을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 라고 말했다. 문용준 기자 myj@vanchosun.com

EU잔류 외치던 의원 피살, 국민투표 5일 앞두고 여론 요동

집권 보수당의 데이비드 캐머런(왼쪽에서 둘째) 총리와 야당인 노동당의 제러 미 코빈(맨 오른쪽) 당수가 17일 웨스트요크셔주 버스톨의 콕스 의원 피살 현 장을 찾아 헌화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조 콕스(41·노동당) 영국 하원 의원의 피격 사망 사건이 5일 앞 으로 다가온 ‘브렉시트(Brexit·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국민투 표의 향방을 가를 막판 변수로 떠올랐다. 콕스 의원 사망으로 상승세를 타온 ‘탈퇴’ 지지 여론 이 수그러들면서 표심을 ‘잔류’ 쪽으로 기울게 할 가능성이 높아 졌다는 것이다. 콕스 의원은 영 국이 EU에 잔류해야 한다는 주

장을 펴왔다. 영국 정치권은 콕 스 의원 사망 사건 직후 브렉시 트 찬·반 캠페인과 이와 관련한 여론조사 등을 전면 중단했다. 브렉시트는 벨기에·네덜란드 등 다른 유럽 국가들의 반(反) EU 정서를 부추겨 전체 EU 체 계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는 폭 발성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세계 각국은 영국의 투표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안락서 적용 범위 제한되나 갈등 빚던 안락사법 개정안, 상원 통과 캐나다 의회의 상원과 하원이 안락사법 개정안을 놓고 정면 충 돌했지만 17일 우여곡절 끝에 상 원을 통과했다. 하원은 지난 16일 상원이 전날 송부한 안락사법 개정안을 정반 대의 내용으로 뜯어고쳐 상원에 돌려보냈다. 17일부터 심의를 시 작한 상원은 하원의 개정안을 수 용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지만 예상 외로 하원의 개정안대로 통 과시켰다. 이에 따라 앞으로 캐나다 내에 서 안락사 적용 대상은 불치의 병 으로 오랜 기간 치료를 받는 환 자가 아니라 시한부 선고를 받거

나 죽음을 목전에 둔 환자로 제한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의회 갈등 을 먼저 불러일으킨 건 하원이었 다. 하원은 최근 안락사 신청자격 요건을 ‘합리적으로 예견되는 죽 음을 앞둔 환자’로 제한하는 내용 의 자유당(LPD) 정부 법안을 지 지했다. 자유당이 과반 다수를 차지하 는 하원이 법안을 표결에 부쳐 통 과시킨 것이다. 그러나 일부 민간단체와 야당 은 안락사 요건을 보다 폭넓게 규 정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상원은 안락사 신청요건을 ‘ 중대하고 치료 불가능한 질환을

영국 내 여론은 지난달까지만 해도 잔류 쪽이 우세했지만 이달 들어서는 탈퇴쪽이 잔류를 앞서 브렉시트가 현실화되는 것 아니 냐는 우려가 제기돼 왔다. 지난 16일 발표된 입소스 모리 조사 에서는 탈퇴 찬성이 53%로 잔 류(47%)를 6%포인트차로 앞섰 고, 서베이션 조사도 탈퇴(45%) 가 잔류(42%)보다 많았다. 영국 일간 더타임스는 17일(현지 시 각) “콕스 의원 사망은‘전환점’이 될 수 있다”며“더 많은 유권자가 EU 잔류를 선택할 가능성이 있 다”고 했다. 에릭 골드스타인 보 스턴대 교수는 “콕스 의원에 대 한 총격 테러가 EU 잔류에 대한 동정표를 가져올 수 있다”고 했 다. 유럽·아시아 등 세계 증시는 브렉시트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관측이 제기돼 오름세를 보였다. 런던=장일현 특파원

앓으면서 삶의 고통을 견딜 수 없 는 환자’로 규정한 재개정안을 마 련, 사실상 하원의 개정안을 반대 했다.하원이 통과시킨 개정안보다 안락사 신청요건을 폭넓게 적용하 자는 주장이었다. 이에 대해 조디 윌슨-레이볼드 법무부 장관은 당초 정부안이 규 정한 기준을 그대로 따라야 한다 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상·하원 간 갈등이 고조되자 일 각에서는 입법 권한을 둘러싼 다 툼이라는 비판까지 나왔다. 의회 관계자는 “하원이 국민의 직접 선출로 구성된 실질적 대의 기관인 데 비해 상원은 총리 지명 의원들로 구성된만큼 하원의 입법 권한이 우선시돼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은 것 같다”고 말했다. 김지현 기자 jh@vanchosun.com

종 합

한 국

W h y

부 동 산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