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A1
2016년 1월 9일 토요일
<밴쿠버 판>
제2922호 2016년 1월 9일 토요일
vanChosun media
vanchosun.com
☎(604)877-1178
“加 핵물질, 韓 무기에 못쓴다” 캐나다 정부, 한국과 추가 협정 합의 공개 북한의 핵실험 후 한국내 일부 정치인이 한국의 핵무장론을 펼친 가운데 캐나다 정부는 8일 원자력 기술과 원료를 핵무장에 이용하지 않는 조건에 제공하기로 한국과 보충약정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캐나다 정부는 보충약정이 “캐 나다 핵물질의 평화적 사용을 확 약하기 위해” 이루어졌다며 ▲핵 물질·장비 이전시 사전 통보 및 확 인 ▲핵물질·장비·삼중수소 재이 전시 사전동의 및 승인 절차 ▲핵 물질·장비 및 구성품 재고의 연례 보고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캐나다핵안전위원회(CNSC)와 한국 원자력안전위원회(NSSC) 가 맺은 보충약정은 지난 1976년 1월 26일 캐나다가 캔두원자로 4 기를 한국에 공급하면서 맺은 캐 나다-한국 원자력 협정을 보강하 는 성격이다. 마이클 빈더(Binder) CNSC위원 장은 “강한 협력과 효과적인 비핵 화기준을 유지하는 조건”에서 두
위원회 간에 협력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캐나다 정부는 캐나다의 핵비확 산정책에 따라 핵물질은 반드시
핵협정국가에만 반출할 수 있다 고 설명했다. 만약 한국정부가 핵 무기 개발에 캐나다산 핵물질이나 장비를 사용하게 되면 국가간 협
약을 위반하는 것이 된다. 캐나다 는 총 29기의 캔두 원자로를 공급 했는데, 한국에는 캐나다 국외에 서 가장 많은 4기가 월성에서 가 동 중이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캐나다 부모초청 1만4000 명 몰려… 부모를 보고 싶은 마음은 만국 공통. 좀 빨리 처 리했으면. ○ 밴쿠버 다운타운 무차별 폭 행… 재정신이 아닌 사람이나 나라는 좀 제외를 해줬으면 하 는 마음.
밴쿠버 조선일보 후원 UBC 캠페인
“UBC 한인 졸업생을 찾습니다” UBC가 개교 100주년을 맞아 밴 쿠버조선일보 후원으로 한인 졸 업생 찾기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UBC 인문학부 부전공 과정인 아시아계 캐나다인 및 아시아 인 이주학(Asian Canadian and Asian Migration Studies·ACAM) 크리스 리(Lee)와 헨리 유 (Yu) 교수 연구진은 UBC 100주 년 졸업생 프로젝트(UBC ACAM Centennial Alumni Project)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학교 설립 100주년을 맞아 한국을 비롯해 중국, 일본, 필리핀 등 캐나다 아
시아 커뮤니티의 역사를 정리하 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된다. 밴쿠버 내 아시아 커뮤니티 언 론이 지원하고 있으며, 한인 졸업 생 찾기 프로젝트는 밴쿠버조선 일보가 후원한다. 연구진은 1916년부터 1966년 까지 초창기 50년동안 UBC를 졸 업한 아시아인을 찾고 있다. 한국 인의 경우 이 기간 졸업한 학생이 많지 않아 1970년대 후반까지 범 위를 확대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한인 최초의 UBC 졸업생은 1955 년 이임학 박사로 추정된다. 이번 프로젝트의 수석 연구원
인 도미니크 바티스타(Bautista) 는 “학교 졸업앨범과 각종 기록 물 등이 워낙 오래된 자료라 유실 된 경우도 있고 명단은 있지만 연 락이 닿지 않는 경우도 있다”며 “ 오래전 UBC를 졸업한 한인 당사 자나 그를 아는 누구든지 연락을 기다린다”고 강조했다. 전화 (604)789-2727 또는 이메일 dominique.bautista@ alumni.ubc.ca를 통해 연구진에 연락이 가능하다. 연구진은 자 료 수집 및 정리가 끝나면 영상 물을 제작해 5월 공개할 계획이 다. 박준형기자
“캐나다 취업 보장합니다” 알고보니 가짜 사진=캐나다 정부 제공
캐나다의 새 엔진을 찾아라… 7일 캐나다 중앙은행 스티븐 폴로즈(Poloz) 총재가 캐나다가 장기적인 경제 변화에 직면하고 있 다고 밝힌 가운데 캐나다 각 장관들은 산업체를 방문해 지원안을 발표하고 있다. 커스티 던컨(Duncan) 과학장관은 8일 퀸즈대 를 방문해 전기화학 및 전극 관련 기기를 둘러보고 400만달러 청정기술 개발 지원금을 발표했다. 나브딥 베인스(Bains) 혁신과 학경제개발장관은 7일 캐나담(Canadarm)2 추가 개발 지원을 발표했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부모초청이민 신청 1만4000건 몰려 이민부 “신청서 1만건 심사할 것”… 절반 우선 수속 이후 나머지 절반 처리 예정
한국, 캐나다산 핵물질 무 기에 못쓴다… 아직 믿고 주 고받을 수 있는 사이는 아니 라는 반증. ○
The Vancouver Korean Press Ltd. (Since 1986)
올해 부모 및 조부모 초청이민 (PGP)에 수많은 지원자들이 몰 리면서 신청서 접수가 문을 닫았 다. 캐나다 이민부는 당초 발표했 던 할당량 5000건에 추가로 5000 건을 심사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민부는 지난 4일부터 PGP 신 청서 접수를 재개한 결과 총 1만 4000건 이상의 신청서가 접수됐다 고 8일 밝혔다.이민부는 이날 PGP 신청서 접수를 마감하고 접수된 순 서에 따라 5000건에 대한 심사에 착수했다. 특히 이민부는 추가로 신청서 5000건을 보관했다가 추 후 검토할 계획이다. 이는 당초 예 상됐던 1만건이 아닌 5000건의 신
지건주 캐나다 공인회계사·미국 회계사
778·233·9723 327B 4501 North Rd Burnaby
청서만 받겠다고 했다가 논란이 일 자 서둘러 진화에 나선 것으로 풀 이된다. 이민부 측은 “캐나다 정부 는 PGP 할당량을 연간 5000건에 서 1만건으로 늘리기 위해 노력하 고 있다”며 “이런 약속에 따라 이 민부는 1만건의 완벽한 신청서를 보유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민부 가 보관하는 1만건을 제외한 나머 지 신청서 4000건은 반송되며, 마 감 이후 도착한 신청서도 접수가 불발됐다. 이민컨설팅업체 웨스트캔 최주 찬 대표는 “자유당이 공수표를 남 발했다는 여론을 의식했는지 다시 한 번 올해 내 1만개의 신청서를 처
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며 “절반 은 갖고 있다가 하반기에 수속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또다른 이민컨설팅업체 굿모닝 이주 남이송 대표는 “자유당 정부 가 공약을 지키지 않았다는 비판 여론을 의식한 것 같다”며 “시리아 난민이나 다른 이민 관련 업무를 마무리한 후 나머지 PGP 신청서 5000건을 처리할 것으로 보인다” 고 강조했다. 앞서 저스틴 트뤼도(Trudeau) 총리는 지난해 집권 이후 PGP 할 당량을 이전 연간 5000건에서 1만 건까지 늘리겠다고 공언했다. 윤상희기자 monica@vanchosun.com
체포 후 18개월 집행 유예 선고돼 캐나다국경관리청(CBSA)은 6 일 가짜 이민컨설턴트가 이민·난 민법상 사칭 혐의로 집행 유예 18 개월을 온타리오주 고등법원에서 지난 12월 16일 선고받았다고 발 표했다. 노블렛 모건(Morgan)씨 는 노벳 모건·조이 모건·조이 그 랜트 등 여러 이름을 사용하며 센 트럴도메스틱에이전시라는 사명 으로 토론토에서 외국인 임시근 로자 취업허가 취득 업무를 대행 한다고 활동해왔다. 앞서 모건씨 는 5월 21일에도 4건의 이민·난 민법상 사칭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4건은 모두 입주 간병인 (Live-in Caregiver) 근로허가를 신청하면서 잠재 고용주 정보를
지면 안내
허위로 작성했다가 적발됐다. CBSA는 모건씨를 적발하기까 지 17개월간 수사했으며 최초 기 소는 2011년 4월에 이뤄졌다고 밝혔다. 모건씨는 허위 이민수속 으로 4년 넘게 법원을 드나들고 있다. 한편 모건씨와 관계된 다른 2 명은 재판이 끝난 상태다. 페 말 랍(Malab)씨는 사칭혐의로 유죄 를 인정해 집행유예 2년을 2012 년에 선고 받았고, 테이티야나 알 레인(Alleyne)씨는 2015년 7월에 형사법상 문서위조로 기소됐다가 조건부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 지난해 10월말 밴쿠버에서도 이민 컨설팅 업체를 운영하던 순
■ 문용준 기자의 차 한잔 합시다 A10면
“어제의 나를 버려서 오늘의 내가 살았다”
왕(Wang)씨가 사기 혐의로 기소 돼 1200명에게 1000만달러 상당 의 부당이득 취득혐의로 징역 7 년·벌금 91만7000달러를 선고 받 았다. CBSA는 왕씨를 통해 이민 한 이들의 서류를 확인 중이다. CBSA는 이번 발표를 통해 정권 교체와 무관하게 이민법 위반 단 속을 계속 강화한다는 의지를 내 비쳤다. 고란 브라가빅(Vragovic) CBSA토론토 지역국장은 보도자 료를 통해 “이민·난민법상 사칭 에 대해 CBSA는 무관용을 유지 하고 있다”며 “허위 정보로 취득 한 비자 단속을 통해 앞으로도 나 라의 이민제도 근간을 확립하겠 다는 우리의 의지를 보이고자 한 다”고 밝혔다. 권민수 기자
■ Why? C1면
“그림값은 國格… 비싸야 알아줍니다” 김해영 시인
화랑업계 ‘미다스의 손’ 서울옥션 이호재 회장
종 합
한 국
W h y
부 동 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