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
날들을 위한 축복 된 시간이 아닐까. 밴쿠버 문학 (사)한국문인협회
회원
민
날들을 위한 축복 된 시간이 아닐까. 밴쿠버 문학 (사)한국문인협회
회원
할머니가 울고 있다. 하얀 눈밭 속에서. 검은 연
기는 하늘로 오르고, 그 밑엔 떠나간 할아버지의 옷
들이 재가 되어 흩어진다. 김광석의 ‘60대 부부 이야
기’가 잔잔히 흐르고 생전 할아버지와의 추억이 조
각조각 스쳐 지나간다.
하루 종일 할머니의 쓸쓸한 뒷모습이 망막에서
사라지지 않았다. 유튜브에서 우연히 보게 된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의 영상 때문이었다. 10년 전에
방영된 89세와 98세 노부부의 일상을 담은 다큐멘
터리 영화다. 강원도 횡성 어느 산골, 6남매의 자녀 들은 장성하여 도시로 떠났고 둘만 남은 노부부는 강아지 두 마리와 함께 살아간다. 나무를 때서 구들
장을 덥히고 개울물에서 빨래하는 열악한 환경이지
만, 두 사람은 연인처럼 서로를 아끼고 보듬는다. 둘
이 마주 앉아 세월만큼 주름진 손을 만져주는 모습
은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해지는 연민이었다. 화면
너머로 전해지는 그들의 따뜻한 미소는, 삶은 물질
적 풍요가 아니라 함께 나이 들어가며 쌓아온 정과
추억이야말로 행복의 본질임을 말해 주는 듯했다.
아이들이 독립해 떠난 집은 고요함을 넘어, 적막
으로 가득하다. 아이들이 곁에 있을 때는 삶의 초점
이 그들에게 맞추어져 있었다. 하루의 일과도, 매일
의 식탁도 오롯이 아이들의 시간과 입맛을 위해 존
재했다. 나와 남편의 삶은 그 뒷전에 머물렀고, 우 리를 위한 순간은 아이들의 웃음 속에 녹아 있었다.
늦은 나이에 자녀를 본 우리는 아이들에 대한 끈을
오래도록 붙잡고 있었다. 이제 그 중심은 비워진 채 로 남아, 이전에 없던 공허한 여백이 우리를 감싸 고 있다.
아이들이 없는 휑한 집에서 각자의 생활을 하는
우리는, 부부이기보다는 룸메이트에 가깝다. 집에
있는 대부분의 시간은 각 방에서 책을 보거나 컴퓨 터와 함께하며, 식사 시간에나 겨우 마주 앉아 서로 의 얼굴을 본다. 그러나 누가 화장실을 가거나 잠시
쓰레기를 버리러 나가도 직감적으로 알아차리고 어
디 갔나 찾아다닌다. 그런 자신들을 보며 우린 피식
웃음 짓곤 한다. 별로 대화가 없어도, 같이 취미를
공유하지 않아도, 그저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서로
에게 위안이 되고 의지가 되는 것일까. 어쩌면 공기
처럼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인데도 존재감을 느끼지
못하는 사이가 되었는지도 모른다.
남편과 나는 너무 달랐다. 취미도 식성도 성격도
어느 하나 맞는 것이 없었고 공감하는 부분도 달랐 다. 작은 갈등들이 모여 한때는 불만으로 가득 차기
도 했고, 가끔 볼멘 소리를 할 때도 있었다. 하지만 이미 깊이 자리 잡은 성격을 바꾸기란 어려운 일이
었고, 더는 서로를 변화시킬 수 없다는 깨달음에 이
르렀다. 지금 이렇게 아무 문제 없이 살아가는 것은
적당한 포기와 체념으로 다름을 용납했고 그것 또 한 익숙하게 되었기 때문일 게다. 어쩌면 우린 어린
왕자와 여우처럼 서로에게 길들었는지도 모른다. 두 남녀가 만나 결혼할 때 주례사로 검은 머리 파
뿌리 될 때까지 해로(偕老)하라는 말을 하곤 한다.
부부가 함께 늙어갈 수 있다는 것은 축복이며 선물
이다. 하지만 해로한다 해도 결국 그 끝은 한 사람이
먼저 떠나고 한 사람이 남겨지는 이별의 시간을 피 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죽음은 떠나는 자의 것이 아니라 남겨진 자의 몫일 지도 모른다. 부모 밑 에서 살았던 시간보다 더 많은 세월을 함께한 사람 을 떠나보내고 혼자 남게 될 때, 그 상실감과 공허함 은 떠난 이에 대한 기억으로 채워지게 될 것이다. 빛 바랜 페이지 속에
삶의 유한함을 피부로 느끼는 나이가 되
때문인지도
머리도 백발이 되어 간다. 한때 나보다
길눈도 밝았던 남편은 눈도 귀도 어두워졌고
마저도 서툴러졌다. 지금, 서로의 곁에 함께하는 이 순간이 얼마나 소중한 때인지가 더욱 선명하게 다 가온다. 미래라는 전제 아래 당연하게 여겨왔던 시 간이 실은 잠시 머물다 가는 생(生)이라는 것 또한
자각한다.
아이들을 향해 끝없이 뻗어가던 마음의 더듬이 를 안으로 거두어야 할 때가 온 듯하다. 너무 익숙해
져 무심했던 서로의 관계에 이제 더 마음을 기울여
야 하리라. 공동의 관심사가 아니었던 남편의 버킷
리스트를 살펴본다. 사소한 일이라도 같이할 수 있
는 것들을 골라 실행에 옮기리라 다짐한다. 인생이
란 숲 가장자리에 잠시 깃든 새와 같다고 했던가. 아
침 햇살 속에 “잘 잤어?” 한마디 건넬 때, 감사한 하 루가 시작되는 것을. 보증 없는 내일보다 오늘이라
는 시간 속에서 서로에게 충만한 기억을 만들어가
는 것. 언제 찾아올지 모르는 이별의 준비이자, 남은
늘샘 임 윤 빈 사)한국문협 밴쿠버지부 회원
온 세상 하얀데
산도 들도 나무도
온통 하얀데
덮어도 덮어도
칠해도 또 칠해도
검기만한 이 내 몸
저 설야(雪野)
마구 뒹굴면
행여라도 희어질까
저 흰 눈
먹고 또 먹으면
검은 속이 씻어질까
설야에 묻쳐 비오니
백설(白雪) 되게 하소서
이 몸도 마음도
모두 다
순백(純白) 되게 하소서
철저한 전략과 분석! Smart Buying & Selling
■ 경력: 15 years+
■ 실력: 실적 상위 0.1% (MLS FVREB)
메달리언 클럽멤버
■ 열정: 7am-11pm 7days a week (무료상담)
www. MrOpenHouse.ca
‘친형 리더십’으로 던진 승부수,
으로 지냈다.
국가대표팀에서도 탱크
처럼 뛰며 중원을 장악했고, 한국 축 구 역사에서 준수한 수비형 미드필더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선수다. 하지만
비행기를 탈 당시는 사람을 마주칠까
두려워 엘리베이터 대신 계단으로 10 층 집을 오르내리던 시절이었다.
도착한 나라는 말 한마디 통하지
않는 베트남. 그리고 8개월 만인 올해
1월, 베트남 국민은 또렷하고 우렁찬
발음으로 그의 이름을 연호하기 시작
했다. “김상식! 김상식! 김.상.식!”
지난해 5월 베트남 축구 대표팀에
부임한 김상식(49) 감독이 ‘베트남 축
구 영웅’에 등극했다. 베트남 축구 대
표팀이 올해 1월 ‘2024 아세안 미쓰비
시일렉트릭컵(이하 미쓰비시컵)’에서
최대 라이벌이자 우승 후보였던 태국
을 꺾고 우승했기 때문이다. 베트남
대표팀은 앞선 결승 1차전에서 27년 만에 처음으로 홈경기에서 태국을 이 베트남 축구 영웅
원정 경기인 2차전까지 승리하
싶었는데 김상식이 다시 살려냈다.” 아들의 군 입대로 최근 잠깐 귀국 한 김 감독을 부산에서 만났다. 미쓰
비시컵 직후 기자회견에서 그는 “명
예를 회복해 가장 기뻤다”고 말했다.
리더십’ 이란? 이름·국가 달달 외우고 권위 내려놓고 자유롭게 경기장에선 트위스트 춤 트남 사람들이 태극기를 휘날리고 밤 새 경적을 울리며 환호작약했다. 박항서 감독이 없는 베트남 축구 대표팀에 ‘몰락’ 낙인을 찍던 베트남 언론들은 후임인 김 감독의 빠른 성 과를 이렇게 보도했다. “다시는 한국 인 감독을 의심하지 말라. 베트남 축 구의 중흥기가 백일몽으로 끝나는가
“우승하고 처음 든 생각은 ‘이제 길거 리 쌀국수 마음껏 먹을 수 있겠다’였 어요. 한국에서 베트남으로 가져온 짐
은 아직 다 풀지도 않았습니다. 언제 든 쫓겨날 수 있으니 하루하루 최선 을 다하자는 각오였지요.”
◇짐은 풀지 않겠다
김 감독은 2023년 5월 시즌 도중 전 북현대모터스 감독에서 자진 사임했 다. 거듭되는 패배에 팬들이 그의 이 름을 부르며 “나가라”는 야유를 퍼부 었다. 코치진과 선수들을 태운 구단 버스를 가로막기까지 했다. 김상식 은 “감독으로서 무한한 책임을 느낀 다”며 성난 팬들을 진정시키려 했지 만 벼랑 끝에 몰렸다. 공황 장애와 대 인 기피증이 찾아왔다. 약 1년을 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