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누구나 트라우마를 하나쯤 가지고 살지 싶
다. 남들 보기에는 별것 아닌 듯해도 심한 두
려움에 떨게 하는 마음의 병이다.
국민학교때 동네 집집마다 상달 고사 떡을
돌리러 다니다가 개에게 종아리를 제대로 물
려 피를 흘렸다.
반창고, 붕대 같은 것도 없던 시절이라 그
댁 아주머님이 이불 호청같이 천을 찢어 싸
매 주고 아저씨에게 업혀 집까지 왔다. 그때
의 순간적인 공포와 고통이 트라우마로 평생
따라다녔다.
중고 6년을 시오리 산길을 걸어 상여집을
지나야 해도 혼 자 꿋꿋이 다녀 독하다는 소릴 들었다.
동구까지 버 스가 오자, 6.25 때 총살당해 묻 힌 30명 사상범 들의 원혼이 나 온다는 고개너
도다. 주위 분들이 일명 개도 초등학교부터
대학교를 보내서 괜찮다고 해도 늘 불안했다.
특수학교를 나왔다는 군견이나 장애인 안
내견들의 점잖고 절제된 행동과 주인의 지시
에 따르는 것을 보면서 조금씩 마음이 누그
러졌다.
코로나 무렵부터 대만 출신 남매 청년들 이 경영하는 대형 양란 농장에 꽃을 픽업하 러 갔다가 덩치 큰 콜리인가

이웃마을 여자 후배들이 가끔 막차를 타 게 되었다. 데려다 주고 혼자 그 고개를 넘어 돌아 와 야 하는 10리길이 많이 두렵고 무섭기는 해 도 수시로 대하는 개에 대한 트라우마 같지 는 않았다. 환갑을 훌쩍 넘겨서도 개가 있으면 가던 길을 되돌아오거나 멀리 돌아 피해 다녔다.
워낙 개를 좋아하는 나라에 오니 처음에
는 너무 힘들었다. 조깅하다가 송아지만큼
큰 도사견을 만나면 꿈에 나올까 두려울 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