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Interior Design selected works

































SInterior Design selected works
Interior and Environmental Design
ABOUT ME
EDUCATION
Academic Lyceum of WIUT Exact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Faculty of Interior & Environmental design
AUTOCAD SKETCHUP
2016-2019
2021-2025
VRAY ENSCAPE PHOTOSHOP ILLUSTRATOR 3DS MAX MIDJOURNEY LEONARDO AI
LANGUAGES
KOREAN : TOPIK 6급
ENGLISH : TOEIC AL RUSSIAN : TOEIC AL UZBEK : Native
TURKISH : A1
010-6852-2110 sagdiana1021@gmail.com www.linkedin.com/in/s-jalilova
여성 리더 장학 부산대학교 여교수회 장학금
2023 추계학술발표대회 발표상 한국실내디자인학회
Ocean Cities Challenge 우수상 부산대학교 LINC 3.0
2024중국실내디자인학회 공모전 동상 중국실내디자인학회
2024한국실내디자인학회 주제공모전 입선 한국실내디자인학회
CAD, Adobe Photoshop, Sketchup, Enscape
PAW GROUND 1.
LP-RePLAY 10. 빈집 리노베이션/ 상업 공간
주류 판매점
JEM side table 17.
어린이용 가구/ 가구디자인/ 사이드 테이블
Hand-Drawings 22. 투시도/ 손스케치/ 인물 스케치 기타 작품
공존을 위한 반려견
Paw Ground는 부산 영도구 봉래동의 노후화된 물양장 창고를 재탄생시켜
반려동물과 사람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복합 문화 공간으로 설계된 졸업작품이다.
본 프로젝트는 재생, 상생, 공존을 주제로 하여 지역사회와 반려동물이 함께 어우러지는 새로운 공간적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영도 지역은 고령화와 청년층 유출로 인해 인구 소멸 위기를 겪고 있으며, 1인 가구 및 노인 가구 증가로 반려동물 수는 늘어나고 있지만, 이를 위한 사회적·공간적
대책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Paw Ground는 유기동물 보호소, 애니멀 테라피 공간, 애견 놀이터, 반려동물 커뮤니티 공간을 통합하여 개인과 지역 사회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공동체 공간을 제안한다.
버려진 산업 창고를 재활용한 본 프로젝트는 반려동물과의 유대를 통해 세대 간
소통과 유대감을 강화하고, 반려동물이 중요한 라이프스타일로 자리 잡고 있는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도시 생활과 공동체 공간의 개념을 혁신적으로
재정의하고자 한다. Paw Ground는 지속 가능성과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디자인 솔루션을 제시하며, 반려동물과 사람 모두를 위한 공존의 공간을 실현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Tools used: Auto Cad/ Sketch Up/ Enscape/ Pro Create/ Adobe Photoshop/ Adobe Illustrator/ Hand Drawing.
Graduation Project | Fall 2024
Type: Renovation Area: 1710m²
Site: Yeong-do, Busan
Team work: Zheng Luoma, Jalilova Sugdiyona
반려동물 관련 시설
리노베이션사업
주거시설
상업 및 공공시설
Concept
Mood Board
영도의 고유한 특성을 살려 섬의
매력을 공간 디자인에 담아낸다.
해안과 부두가 어우러진 독특한 해양 경관과 지역의 뚜렷한 정체성을
디자인 테마로 삼아, 섬, 바다, 선박, 해양 요소에서 영감을 얻어 실내디자인에 반영한다.
유기견 보호소 + 애니멀 태라피
반려견 놀이터 + 커뮤니티 공간
Volume Strategy
Design Process
1 층 공간 명 : a)
1. 소형견 생활 공간
2. 그루밍 스테이션 1
3. 진료실
4. 창고
5. 그루밍 스테이션 2
6. 대형견 생활 공간
7. 리셉션
8. 로비
9. 상담실 b)
10. 테라피공간 ( 소형견 )
11. 테라피공간 ( 대형견 )
12. 소형견 놀이터
13. 대형견 놀이터
14. 사료 제작 공간
15. 주스 바
16. 판매 및 홍보 공간
17. 라운지
18. 테라스
2층 공간 명: c)
19. 휴게공간
20. 훈련공간
21. 탕비실
22. 탈의실
23. 회의실
24. 업무공간
25. 직원-반려견 휴식 공간
26. 바다멍 힐링공간
27. 다기능 커뮤니티 공간
Shelter Reception
Shelter Reception
Therapy Room
Studio Project II | Fall 2022
Type: Renovation
Area: 333m²
Site: Jung-Gu, Busan Individual work
하며, 세대와 세대를 아우르는 복합문화상업공간을 통해 지역 사회를 활성화하고자 한다.
부산 중구는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노후주택과 폐가의 증가로
지역이 점점 침체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프로젝트는 '레트로, 리트라이'를
주제로 공간 재생 디자인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치유와 위안을 제공하고, 나아가
지역사회를 재생시키고자 한다. 느림과 안정, 자연으로 돌 아가자는 레트로의
감성은 현대인들에게 심리적 치유를 제공하며, 과거의 것에 안정감을 느끼는
노년층과 과거에 호기심을 가지는 청년층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안한다.
특히, 레트로 문화 중 최근 트렌드로 떠오르는 LP를 이번 프로젝트의 바&레스토랑
컨셉으로 채택했다. 'LP REPLAY'는 과거의 LP 문화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재생시키자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세대 간 교류를 촉진하고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하고자 한다. 뉴트로 문화는 과거를 새롭고 신선하게 재해석하는
MZ세대의 트렌드로, LP 시장의 부활은 이를 대표적으로 보여준다. LP REPLAY는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여 과거와 현재를 잇는 상징적인 공간으로 거듭날 것이다.
Tools used: Auto Cad/ Sketch Up/ V-ray / Pro Create/ Adobe Photoshop/ Adobe Illustrator/ Hand Drawing.
토지는 부산시립중앙도서관과 보수동 책방골목 사이에 위치한 주거밀집지역이다. 첵방골목은 한국전쟁 때 피난민들이 책을 내다
팔면서 형성된 뒤로 70여 년을 이어 온 부산의 서적문화의
중심지이다. 역사적인 특성이 있는 오래된 장소 보수동 책방골목과
근현대 준공 건물 부산시립
중앙도서관을 연결시켜주며 구시대와 현대 사이를 이어주는
다리(BRIDGE)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과거의 것에 안정감을
느끼는 노년층과 과거의 것에 호기심을 가지는 청년층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복합문화상업공간이 되어 세대 교류가 일어나게
하는 장소가 될 수 있다.
위치:부산 중구 망양로 264, 266
계단식으로 계획했다. 옛 LP문화를 현대적인 트렌드에
어린이 테이블 & 다기능 사이드 테이블
studio1 프로젝트를 위한 맞춤형 가구 디자인. 대학교 3학년 가구디자인 수업 과제로 작업했다. 어린이용 가변형 사이드 테이블과 의자이다.
Design Goals:
-Mobility(이동성)
-Smoothened corners (매끈한 모서리)
-Fun design for kids (아이들을 위한 재미있는 디자인)
-Small storage for books(책을 보관할 수 있는 작은 수납공간)
-Natural colors(자연스러운 색상)
-User Matchable design(사용자 맞춤 디자인)
-Multifunctional(다기능성)
-Lightweight (경량성)
-Simple design(심플한 디자인)
3rd Year Project Summer 2023
Type: Furniture Design Kids’ Furniture Individual work
Tools used: Auto Cad/ Sketch Up/ V-ray / Enscape/ Adobe Photoshop/ Hand Drawing.
-
Background
- 대상 공간의 인테리어 디자인은 전반적으로 밝고 아늑하며 차분한 분위기다.
- 공간 디자인에 사용된 색상은 크림색의 자연스럽고 톤 다운된 칼라 팔레트이다.
- 인테리어 요소는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하고 모양을 부드럽게 하여 어린이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주요 재료는 목재, 유리, 흰색 아크릴 및 베이지 색 벽지이다.
디자인 될 새 가구는 주로 그 영역에서 사용될 것이다.
Inspiration
Kids’ colorful clay figures
User Needs
사용자는 6살 딸이 있는 부부이다.
남편은 회사원이며 집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지가 않다. 아내는 동화
작가이며 주로 재택 근무한다. 둘째를
임신 중이라 집 인테리어를 최대한
아늑하고 쾌적하게 만들 필요가 있다.
아이들이 집에서 안전하게 놀 수 있는
환경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
Where can be used?
Residential House
Bedroom
Living Room
Kid’s Room
Kid’s table + Side table + storage
ELLY(Type C: elephant)
MOODY(Type A: Moody charecter)
customisable panels
JELLY(Type B: jellyf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