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월 8일 창간 (1990∼2015년 호주동아일보)
제 0960호
2021년 7월 16일 금요일
‘뒤늦은’ 광역 시드니 록다운 결정 NSW 주정부 실책 ‘만시지탄’ 11-15일 440명 하루 평균 88명, 12일 112명 최다 NSW는 호주 국내 총생산의 3분의 1 을 점유한다. 호주 6개 주 중 가장 경제 규모가 크다. 인구도 가장 많다. 그런 NSW가 광역 시드니 일대의 5주 록다 운으로 곤욕을 치르고 있다. 7월 13일 NSW 주정부의 록다운 2주 연장이 발표되기 전 호주의 저명한 경 제학자인 쉐인 올리버(Shane Oliver) AMP 케피탈 수석 경제분석가는 “6월 26일 시작된 현재의 광역 시드니 일대 의 록다운이 만약 4주 더 지속될 경우, 경제 손실이 70억 달러에 이를 것”이 라고 경고했다. 록다운 1주의 경제적 손실을 약 10억 달러로 추산한 셈이다.
록다운이 길어질수록 피해가 큰 것 은 물론이고 회복 기간도 장기화된다. 작년 멜번은 무려 163일(2, 3차)동안 록다운이 지속됐다. 이 여파로 멜번 CBD의 경제 회복에 2년 이상 걸릴 것 이란 암울한 전망이 나왔다. 빅토리아 의 2020년 경제 손실이 150억 달러로 추산됐고 2021년 경제 회복에도 상당 한 여파를 줄 것으로 보인다. 주정부와 보건 당국의 록다운 발표 가 늦었다. 한주 정도 빨랐어야 했다 (should have been called earlier). 전염병 전문가, 경제학자, 기업가들 중 에서 델타 변이 대응에 너무 안일했고
▲
쉐인 올리버 “록다운 경제손실 매주 10억불” 추산 명, 13일 89명, 14일 97명, 15일 65명 으로 닷새동안 440명, 하루 평균 88명 을 기록했다. 약 보름 전 아담 마샬(Adam Marshall) NSW 농업장관이 식당 방문을 통해 코로나에 걸렸는데 브래드 해자 드(Brad Hazzard) 보건장관이 마샬 장관의 근접 접촉자로서 일시적으로 (음성 판정 때까지) 격리했다. 6월 22 일부터 10명 이상의 신규 감염자가 나 오기 시작했지만 의사 출신인 해자드 보건장관은 24일에도 “시드니가 록다 운에 들어갈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라고 전망했다. 그의 이같은 전망은 100% 빗나갔다. 글래디스 베레지클리안 주총리의 안일한 대응도 문제로 지적을 받는다. 그는 록다운 발표 시점이 늦어졌다는 기자들의 지적에 대해 “나는 단 한 개 의 결정도 후회하지 않는다”는 매우 교 만한 발언을 했다, 7월 13일 록다운 2 주 추가 연장을 발표한 그의 얼굴 표정 은 최근 매우 어두웠다. 이제 보건 자
6월 22일부터 신규 감염 매일 두 자릿수 불구 해자드 보건장관 24일 “시드니 록다운 없을 것” 안일 전망 베레지클리안 주총리 “후회 없다” 교만 발언 델타 변이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으 로 6월 중순부터 시작된 이번 시드니 일대 록다운은 6월 26일부터 7월 30일 까지 5주동안 지속된다. 그 후 더 연장 될지 여부는 앞으로 2주동안의 신규 감 염 통계에 달려있다. 따라서 매일 오전 11시 발표되는 하 루 전 오후 8시를 기준으로 한 신규 감 염 숫자와 감염 상태에서 지역사회에 몇 명이 머물렀는지 여부가 가장 중요 하다. 이 수치가 점차 줄어들면서 10명 미만이 되면 8월 록다운 해제로 웃을 수 있겠지만 만약 두 자릿수 이상 지속 될 경우, 록다운 기간이 또 연장될 가능 성이 커진다.
호주 지역사회 신규 감염 현황. NSW는 지난 5일동안 440명을 기록했다
발표 시점도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지 적이 나온다. 존 바릴라로 NSW 부주 총리(Deputy Premier John Barilaro)조차 “록다운 발표가 늦어 통제 능 력을 상실했다”고 문제를 시인했다. 그러나 글래디스 베레지클리안 주총 리는 이 점을 실책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NSW에서 지역사회 감염자(해외 입 국자 제외)가 6월 22일부터 계속 10명 넘었다. 6월 25일 22명이 나오자 주정 부는 26일부터 2주 록다운을 발표했 다. 결과적으로 닷새 이상 골든타임을 놓친 셈이다. 7월 10일부터는 계속 50 명을 넘고 있다. 11일 77명, 12일 112
6월 실업률 4.9%.. 10년만에 5% 장벽 무너져 호주 고용시장 8개월 연속 개선 1년동안 77만8천명 일자리 늘어 6월 거의 3만명의 일자리가 늘어 나면서 호주의 실업률이 5월 5.1% 에서 6월 4.9%로 0.2% 개선됐다. 반면 불완전 고용률(underemployment rate)은 7.9%로 0.5% 악화됐다. 6월까지 실업률이 8개월 연속 하 락 행진을 지속했다. 호주 통계국 (ABS)이 매월 집계하는 계절적 요 인을 감안한 실업률(seasonally adjusted estimates)이 5% 미만 을 기록한 것은 10년(2011년 6월 4.9%)만에 처음이다. 코로나 사태 시작 전인 2020년 3월 실업률 5.3% 보나 낮고 2010년 12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 노동시장 참여율(participation rate)은 66.2%로 변동이 없다. 인구
투데이 한호일보
대비 고용률은 63.0%를 기록했다. 주별 실업률은 빅토리아(4.4%) 가 자장 낮았고 그 뒤로 타즈마 니아(4.5%), 노던준주(4.8%), ACT(4.9%), NSW와 퀸즐랜드, 서 호주(각각 5.1%), 남호주(5.3%) 순 이다. 청년실업률(youth unemployment rate)도 10.2%로 0.5% 낮아 졌는데 1년 전과 비교하면 6.1% 개 선됐다. 2009년 1월 이후 최저 수준 이다. 등록 실업인구는 67만9,100명으 로 한달 동안 2만2,000명 줄었다. 1 년 동안 실업 인구 30만3,700명이 줄어 1년 전보다 2.4% 낮은 수준이 다. 2020년 7월 1백만명을 넘어 최 악 상태와 비교하면 32만5천명 줄
었다. 총 고용인구는 1,315만4,200 명으로 약 2만9천명 증가했다. 풀 타임 고용인구는 901만6,800명으 로 5만1,600명 증가했고 파트타임 고용인구는 413만7,400명으로 2만 2,500명 감소했다. 1년동안 풀타임 고용 48만7,200 명, 파트타임 고용 29만700명 증 가했다. 1년 동안 늘어난 고용인구 는 77만7,900명(6.3%)이다. 파트타 임 점유율이 31.5%로 1년 전보다 0.4% 높은 수준이다. 풀타임 일자리를 원하지만 파트 타임이나 임시직으로 일하는 비율 인 불완전고용률이 7.9%로 0.5% 악화됐다. 이는 1년 전보다 3.7% 낮 은 수준이다. 실업률과 불완전고용률을 합친 비율인 노동시장비활성화율 (underutilisation rate)은 12.8%로 0.3% 상승했다. 고직순 기자 editor@hanhodaily.com
[특집] 해설: 코로나 재난 지원
2면
[사회] 세븐뉴스 ‘인종차별성’ SNS 망신살
4면
[종합] 호주 획기적 코로나 치료법 개발
6면
[부동산] 올해 경매 비딩 참가자 증가
9면
[칼럼] 한정태의 호주상식 & 교육 칼럼
15면
[리빙] 호주 정계의 여성 선구자들은 누구?
21면
문이 충분히 강력하지 않았다는 변명 이 들린다. 델타 변이 확산으로 치명타를 받고 있는 광역 시드니 록다운이 더욱 우려
▲
14일 기자회견 후 묘한 표정을 지은 글래디 스 베레지클리안 NSW 주총리
되는 점 중 하나는 작년 멜번 록다운 상 황과 비슷한 양상이라는 것이다. 빅토 리아주에서 이민자 인구가 많은 지역 인 멜번 북부와 북서부에서 감염이 시 작됐고 환자도 가장 많았다. NSW에서 비영어권 소수민족 그룹 이 집중된 시드니 남서부 지역에서 매
일 신규 감염자의 70% 이상이 속출되 고 있다. 페어필드. 리버풀, 켄터베리뱅크스타운 3개 지자체가 핫스팟의 중 심으로 지목됐다. 14일 지역사회 신규 감염자 97명 중 70명, 15일 65명 중 46명이 시드니 남 서부 거주자들이다. 경제학자 쉐인 올리버는 “NSW는 빅토리아주 록다운의 교훈을 배우는 데 실패했다(failed to learn). 주저하 는 기간 없이 강한 초기 록다운(hard lockdown upfront)으로 대응했어야 했다. 록다운이 만약 2주 전으로 앞당 겨졌다면 록다운 기간도 최단기간으로 줄일 수 있고 추가 강화 조치도 없었을 것이고 경제 손실도 최소화됐을 것”이 라고 신랄하게 비난했다. 광역 시드니 록다운으로 호주의 올 해 GDP 성장률이 올해 4.5%에서 4% 로 둔화될 것이란 예상이 벌써 나왔다. 고직순 기자 editor@hanho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