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교육_포트폴리오_잠비아_G08_KO_웹용

Page 1


우리는 오늘 지구촌에서 가장 중한 시점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인류 세계가 평화냐, 전쟁이냐 이 두 기로에 놓여있습니다.

HWPL 이만희 대표

Part 1 자연과 평화의 나라, 잠비아 | 05 page

Part 2

One Zambia, One Nation : 평화로 하나 된

잠비아 | 16 page

Part 3

| 28 page

Part 4

평화의 꽃이 피어나는 잠비아 | 40 page

Part 1 자연과 평화의 나라, 잠비아

Heavenly Culture, World Peace, Restoration of Light (HWPL) PEACE EDUCATION

위치

잠비아 면적

남중부 아프리카

752,618km²(한국의 약 7.5배 크기)

언어

영어(공용어), 벰바어,

니얀자어, 체와어 등 종교 기독교, 이슬람교, 전통 아프리카 종교 등

인구수

약 2,000만 명 (2024년 기준)

수도 루사카(Lusaka)

독립기념일(건국기념일)

10월 24일 (1964년 영국으로부터 독립)

부족 약 70개 이상의 부족 (벰바족, 토가족, 로지족, 체와족, 룬다족, 룸바족 등 다수)

구리벨트의 나라, 산업 도약을 준비하는 잠비아

잠비아는 세계 최대 수준의 구리 광산 지대인 ‘구리벨트(Copperbelt)’를 보유한 세계적인 구리 생산국이다.

전 세계 구리 생산량의 약 4~5%를 차지하며, 구리 수출은 국가 외화 수입의 70% 이상을 담당하고 있어

잠비아 경제의 핵심 기반이 되고 있다.

이 외에도 코발트, 금, 아연, 납 등 다양한 광물 자원을 함께 생산하며, 자원 산업을 바탕으로 미래 산업 발전을

준비하고 있다.

2024년 기준 전 세계 수출비중

구리 65%

금 2%

코발트 1%

주요 수출 대상국

중국

현재 잠비아 산업구조의 변화

경제를 다변화하려는 노력을 강화하고자, 높은 광업 산업 생산율과 더불어 농업, 관광, 제조업의 확대에 주력하고 있음 국기상징

초록색 : 자연 자원, 농업

독수리 : 힘, 자유, 그리고 국가의 비상

빨간색 : 독립, 자유, 투쟁 검은색 : 잠비아 국민

주황색 : 경제 발전과 광물 자원

“자연이

사자, 표범, 코뿔소, 코끼리,버팔로 등

잠비아 5대 동물이 공존하는

사우스 루앙와 국립공원

생물 다양성이 매우 풍부하며

잠비아 정부와 국제 환경 단체들이

야생동물 보호 및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보존하며

도보로 사파리가 가능하여

야생을 있는 그대로 경험할 수 있는 곳이다.

잠비아와 짐바브웨 국경 사이에 위치한 세계에서 가장 큰 인공 호수 중 하나로, 잠비아와 짐바브웨에 전력을 공급하는 주요 수력발전소의 역할도 하고 있다. 단순한 물 저장소를 넘어서, 사람과 자연, 기술이 만나는 아프리카의 상징적인 공간이다.

잠비아의 정신이 살아 숨 쉬는 수도, 루사카

잠비아의 수도 루사카는 정치, 경제, 교육의 중심지이자, 다양한 문화를 포용하며 역동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도시이다

정부 기관과 주요 교육기관, 경제활동의 핵심이 집중된 루사카는, 잠비아의

또한, 도시 곳곳에는 남아 있는 독립의 상징들은, 잠비아가 식민지배를 넘어 하나의 국가로 나아간 여정을 되새기게 한다.

루사카는 잠비아의 정체성과 미래가 공존하는, 살아 있는 수도이다.

(Lusaka, the capital of Zambia)

자유의 동상 (Freedom Statue)

1974년 잠비아 독립 10주년을 기념해 건립된 상징물로, 쇠사슬을 끊는 남성의 형상을 통해 식민주의 억압에서

벗어난 잠비아 국민의 해방을 상징한다.

매년 독립기념일과 아프리카 자유의 날에 공식 기념식이 열리는 역사적 명소이다.

국립 영웅묘지 (National Heroes Acre)

잠비아의

(Lusaka National Museum)

Part 2

One Zambia, One Nation 평화로 하나 된 나라, 잠비아

Heavenly Culture, World Peace, Restoration of Light (HWPL)

PEACE EDUCATION

1889년부터 1964년까지 76년간 이어진 영국의 지배로 잠비아는 아픈 식민지배의

향한 민중들의

영국의 ‘로디지아 회사’가

현재 잠비아와 짐바브웨에

해당하는 지역을 식민지로

차지하여 잠비아의 광물

자원을 착취하기 시작

자원 개발에 따라 노동력

착취 심화 및 극단적인

조건에서 노동 강요

원주민들은 극단적인 차별을

경험했으며 자원의 대부분은

영국에 의해 착취

경제적 불평들과 불만이

증가하며 독립을 위한 움직임 강화

주로 지식인과 노동계층이

중심이 되어 반영적 운동 시작

‘북부 로디지아 의회’에서 흑인들이 정치적 권리를

제한받았고, 원주민들이

참여할 수 없게 되자 1951년 ‘잠비아 노동당’을 결성하여 본격적인 독립 투쟁 시작

케네스 카운다를 비롯한

독립운동 지도자들이

지속적으로 자유를 위한

투쟁을 이어갔고, 마침내 1964년 10월 24일 잠비아는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쟁취

One Zambia, One Nation

잠비아는 1964년 독립 당시, 70개가 넘는 부족과 다양한 언어, 문화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였다. 식민지배 하에서 부족 간의 분열과 갈등이 심화되었고, 이는

이에 초대 대통령 케네스 카운다(Kenneth Kaunda)는 국민 통합을 위한 상징적 선언으로 “One Zambia, One Nation”이라는

국가 모토를 제창했다.

이 구호는 부족 정체성을 넘어 국민적 일체감을 형성하고, 통합과 평화, 공동체 정신을 국가 발전의 토대로 삼고자 하는 의지를

담고 있다.

오늘날까지도 “One Zambia, One Nation”은 잠비아의 사회 통합과 평화의 원칙을 대표하는 정신으로 계승되고 있으며, 다양한

배경을 가진 국민들이 하나의 국가로 함께 나아가고자 하는 잠비아의 정체성과 비전을 상징한다.

잠비아 초대 대통령, 케네스 카운다(Kenneth Kaunda) | 1924. 4. 28. ~ 2021. 6. 17. 잠비아 국가 문장

단결을 상징하는 남녀 인물, 풍요를 뜻하는 농업·광업 도구, 그리고 ‘One Zambia, One Nation’이라는 모토가 새겨져 있다.

더 나은 교육을 향한 시작점, 잠비아의 오늘

잠비아의 교육체계

대표학교

잠비아는 잠비아 교육부를 중심으로 잠비아 Province(주)별 PEO(Provincial Education Officer)가 있으며, 지역구 별 지역교육부의 역할을 하는

지역교육위원회(District Education Board)가 있다.

지역교육위원회(District Education Board)는 District별 지역구(존)로 나뉘어

각 지역구 별 대표학교를 임명한다.

각 학교는 산하에 있는 모든 학교를 총괄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며 대표학교가

대표 결정권을 갖고 있는 등 그 영향력이 크다.

잠비아에서는

있다.

잠비아 교육부와 UNICEF, 월드비전 등의 국제기구

활동을 장려하고, 일부 동아리는 지역 및 국가 차원의 대회에 참가하거나 교류 활동을 벌이며

학교 간 협력 체계를 증진시키고 있다. 잠비아 학교들의 동아리 활동은 학생들의 사회적 책임과

잠비아 교육의 현 주소, 그리고 우리가 마주한 현실

학생 수에 비해 교사가 부족한 현실

교사 한 명이 70~100명의 학생을 가르치는 과밀 학급은 교육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고 학습 격차를 심화시키고 있다.

UNICEF, UNESCO 보고서에 따르면, 일부 학교는 책상과 의자가 부족해 학생들이

바닥에 앉아 수업을 받는 사례도 있다.

특히 초등학교 저학년인 1~4학년 학생들은 학습 습관을 형성하고 기초 학력을

쌓아야 할 중요한 시기이기에, 이러한 열악한 상황은 아이들의 성장과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농촌 지역은 교육 인프라 부족으로 한 교사가 3개 학년을 동시에 가르치는

복합 학급이 운영되며, 이로 인해 도시와의 교육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있다.

잠비아 농촌 지역의 학생들은 학교까지 최대 왕복 수십 km 이상 걸어 다녀야 하며, 특히 비 오는 계절에는 등하교가 거의 불가능하다.

초등교육은 무상이나 교복, 급식비 등 부가 비용으로 인해 교실 내 빈부격차가

심화되고 있으며 여학생은 청소년기 임신으로 인한 학업 중단 사례 비율이 높다.

장애 아동을 위한 특수교육 기관이나 교사, 기자재가 부족하여

교육 접근성의 불균형은 심화되고 있다.

잠비아 정부는 매년 국가 예산의 약 10~15%를 교육에 할당하는데, 이는 UNESCO 권고 기준인 20% 이상보다 낮은 수준이며

GDP 대비 교육 투자 비율은 약 4% 내외로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가난한 가정의 학생들은 학용품이나 교복을 마련하는 것조차 어렵고, 급식 제공이 없어 공복 상태로 수업을 듣는 경우도 많다.

대부분의 학교에서 1~5명의 학생이 교과서 1권을 공유하며 일부 초등학교에서는 국가 단위 시험을 연필과 시험지 없이 보는 경우도 존재한다.

Part 3

Heavenly Culture, World Peace, Restoration of Light (HWPL) PEACE EDUCATION

HWPL, Heavenly Culture, World Peace, Restoration of Light

지속가능한 평화를 실현하는 HWPL

3대 평화 사업

하늘문화세계평화광복(HWPL)은 UN 글로벌소통국(DGC)와 UN 경제사회이사회(ECOSOC)에

특별협의지위 단체로 등록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등록된 비정부 단체이다.

HWPL은 ‘하늘의 문화로 세계평화를 이루고 빛으로 지구촌을 회복한다’는 세계평화선언의 정신 아래, 전

세계에서 포럼, 교육, 봉사, 캠페인 등을 통해 평화 문화를 확산시키고 있다.

특히 전쟁을 법으로 막기 위한 DPCW 10조 38항 국제법 제정 촉구 활동, 종교 간 갈등 해소를 위한 대화와

화합의 장, 평화 시민을 양성하는 평화교육 등 HWPL의 3대 평화사업을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평화 실현을

지구촌의 가족들은 누구나

다 전쟁을 원치 않고 평화를 원합니다.

지구촌 전쟁종식 평화 선언문(Declaration of Peace and Cessation of War, 이하 DPCW)은 2016년 3월 14일

오후 3시 14분 대한민국 서울에서 공표되었다.

UN 경제사회이사회(ECOSOC)(특별협의지위 획득),

UN 공보국 및 대한민국 서울시 산하 비정부기구인 (사)하늘문화세계평화광복(이하 HWPL)은

평화로운 세계를 공고히 구축하기 위한 새로운 국제법의

제정을 최우선 과제로 제시해 왔다.

DPCW는 2015년 세계 각국의 법조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HWPL 국제법 제정 평화 위원회'의 논의를

거쳐 전문(前文)과 10조 38항으로 최종 작성되었다.

HWPL은 지구촌 전쟁종식 평화선언문을 이행하기 위하여 평화문화 촉진을 위한 평화교육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가치와 정신으로

시민을 양성하는, HWPL 평화교육

지속가능한 평화는 정부나 특정 계층의 노력만으로는 실현될 수 없다. 모든 시민이 평화의 가치를 인식하고 함께 실천할 때, 전쟁의 종식과 평화문화의 정착이 가능하다.

HWPL은 이러한 인식 아래, 평화를 배우고 실천하는 시민을 양성하는 교육의 중요성에 주목하며, 평화교육을 실천 가능한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특히 학생과 청년 등 미래세대가 평화적 가치관을 내면화하고, 사회 속에서 평화의 주체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일은 지구촌 평화를 실현하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노력이다.

HWPL 평화교육은

HWPL 평화교재는 총 12과로 구성된 교육 교재로, 학생들이 지속가능한 평화를 위한 핵심 평화 가치를 배우고 실천하는 평화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평화교재는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학생들이 평화의 가치를 일상 속에서 이해하고, 평화의

그리고 하늘문화가 평화를 이루는 답임을 깨닫는다.

5과에서 12과에 해당하는 두번째 파트는 학생들이 평화로운 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해 갖추어야 할

인성과 실천 역량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감사, 배려, 희생, 용서, 예절, 유산 보존, 준법정신, 그리고 평화 실현을 위한 용기를 배움으로, 나 한 사람이 가족과 학교, 그리고 내가 속한 사회에서 평화의 가치 실천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특히 11과에서는 분쟁을 예방하고 평화를 법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국제법(DPCW)의 필요성을 소개함으로써, 글로벌 평화 시민으로서의 책임감을 일깨운다. 이를 통해 나 자신이 평화 시민이 되어 ‘나로부터 시작되는 평화’를 실천하는 것이 평화를 이루는 답임을 깨닫게 된다.

HWPL 평화교재는

HWPL

잠비아 평화의 사자, HWPL 평화교사

2025년 6월 기준, 35개 교육기관에서 총 74명의 평화교사가 임명되었으며,

잠비아 교장협회 사무총장이 HWPL 평화교육 홍보대사로 임명되어 평화교육 확산에 함께하고 있다.

잠비아에서도 HWPL 평화교사 양성교육이 정기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교육기관에서 총 74명의 평화교사가 임명되었다. 이들은 학교 현장에서 평화교육을 시행하며, 잠비아 전역에 평화의 빛을 밝히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평화교사양성교육 수료증 HWPL 평화교사 임명장

케니스 물레야 (잠비아 교장협회, 사무총장)

평화교사양성교육을 배우며, 특히 1,2과를

통해, 학생들이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살며

함께 조화와 평화를 만들 수 있는 힘을

배울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3과에서

배운 욕심을 아이들이 배움으로써 무엇이

평화를 방해하는지 뿌리 원인을 배울 수

있기에 유익한 과목이라고 생각했다.

정말 좋은 교육 과목이었고

유익한 시간이었다. 본 교육이 너무 좋아서

내가 속해 있는 잠비아 교장협회 내

교장들에게 나누고 싶다.

레누 사란(어린시절 기쁨학교, 교장)

HWPL 평화교사 양성교육을 들으며,

평화교재가 다루는 다양한 평화의 가치와

교육 내용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평화교육은

우리의 내면을 변화시키는 교육이기에 정말

의미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HWPL 평화교육은 학생들이

학교 안에서 평화를 실천하게 하여

교내 갈등을 줄이고, 사회에서는 어른을

평화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2025 HWPL 평화교사양성교육 안내문 및 프로그램 일정표

매기 말람보(치볼야 중고등학교, 교사)

평화교재 중 특히 8과가 인상 깊었다. 8과를

통해 용서와 평화의 관계를 알게 되었는데,

용서와 평화의 관계는 내가 상처를 받았지만

이로 인해 내 마음에 원한이 가득하다면

그것은 우리의 평화를 저해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하지만 만약 내가 용서를

선택한다면 우리의 마음속 평화를 지켜낼 것

이라고 생각했다. 용서는 나로부터 시작되고,

우리가 용서하면 진정한 내면의 평화를

얻게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트레비 무푸지(치니카

교사)

평화교육을 배우면서 HWPL 평화교재 내 모든 가치들이 평화를 이루는 데에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특히, 나의 행복은 다른

희생에 기반을 두고 있음을 알았고, 사랑은 행복이 아닌 누군가가 기꺼이 희생하는 것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깨달았다.

잠비아 교육부 차관, 켈빈 맘브웨(Kelvin Mambwe)

잠비아 유네스코 국가위원회 사무총장 헤더 무나촌가(Heather Munachonga), 교육프로그램 수석 책임자 레슬리 나츄라(Leslie Nachula)

루사카 지역교육위원회 교육감, 이안 미요바(Ian Miyoba)

잠비아 부지부장으로 임명된 잠비아 교장협회 사무총장, 케니스 물레야(Kenneth Muleya)

Part 4

Heavenly Culture, World Peace, Restoration of Light (HWPL) PEACE EDUCATION

잠비아의 평화를 향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행사

Teaching Goes On 그림그리기

대회

2020년,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팬데믹은 교육 현장에도 큰 충격을 안겨주었다. 많은 나라에서 학교가 문을 닫고 대면 수업이 중단되며, 수많은 학생들이 학습 기회를 잃게 되었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 HWPL 평화교육부는 “교육은 멈추지 않는다(Teaching Goes On)”는 메시지를 전하고자 글로벌 캠페인을

기획하였고, 그 일환으로 전 세계 학생들을 대상으로 ‘HWPL Teaching Goes On 그림그리기 대회’를

개최하였다. 이 대회는 아이들이 HWPL 평화교육을 통해 배운 ‘평화의 가치’를 자신만의 창의력으로

표현해 보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다. 잠비아에서는 2022년, 9개 학교에서 약 400명의 학생들이 이 대회에

참여하였다. HWPL은 본 캠페인을 통해 팬데믹 속에서도 교육과 평화는 계속되어야 한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며, 모든 아이들이 배움의 기회를 누릴 수 있도록 앞장섰다.

치콘디 그레이스 차디야

흥미로운 평화 프로그램을 시행해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정말 유익했고 특히 그림의 재능을

발견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진행해주신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너무 재미있었고, 이 프로그램에 함께

할 수 있어서 얼마나 감사한지 말로 다 표현할 수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시카이나 반다 (1등 수상자)

평화가 없이는 삶도 없다는 메시지를 담아 그림을 그렸습니다. 평화를 유산으로 남겨주자는 것을 주제로 ‘평화유산은 나로부터 시작됩니다. 시대를 나로부터, 유산도 나로부터’ 라는 가사를 담은 노래를 직접

만들기도 했습니다. 평화가 우정과도 관련이 있음을

알게 되었고, 정말 즐거운 행사였습니다.

사마 치콘콜로

정말 동기부여 되고, 격려가 되는 교육이자 행사였습니다. 저는 평화에 관심이 있었던 사람으로 HWPL 근무자 분들을 만나 같이 일한다는 것이 너무

좋습니다. 행사는 매우 흥미로웠고, 아이들이 들떠서 즐겁게 참여하는 모습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또한 행사가 어떻게 추진되었는지, 대표님이 누구이며 평화가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해준 점들도 행사를 더 유익하게 만들어주었습니다.

잠비아 평화의 빛 HWPL 잠비아 평화기념비 완공식

2023년 3월 10일, 잠비아 루사카에 위치한 어린시절 기쁨학교(Childhood Joy Academy)에서 HWPL 잠비아 평화기념비 완공식이 개최되었으며, 약 100여명의

교사와 학생들이 참석했다. 이 기념비는 잠비아에서 평화교육이 시작된 의미를

기념하고, 평화의 가치를 지역사회에 전하는 상징으로 세워졌다.

참석자들은 “We Are One”을 함께 외치며, 잠비아 전역으로 평화교육을 더욱

확산시킬 것을 다짐하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2023년 3월 1일, 잠비아 루사카에서는 총 7개 학교, 약 22,000명의 학생이 참여한

HWPL 평화 싱잉 콘테스트가 개최되었다. HWPL 평화교육부는 예술을 통한 평화 확산의 가능성에

주목하며, 특히 노래와 춤에 강점을 가진 잠비아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평화 활동을 기획하였다. 이 콘테스트는 학생들이 평화교육을 통해 배운 내용을 창작 노래와

어우러진 이번 행사는, 학생들이 평화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되었다.

지라 치랑와

평화교육을 듣기 전에는 예의가 노인을

향한 배려, 단정한 외모, 올바른 소통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교육을 받은 후

예의의 올바른 개념에 대해 알게 되었고,

부모님에 대한 감사도 표현하며 평화를

이루기 위해 노력해나겠다고

다짐할 수 있었습니다.

다리스토 피리

교육을 받기 직전에 프레셔스 무비타와

말다툼을 해서 용서하고 싶지 않았지만

교육 내용과 다른 학생들의 용서에

대한 견해를 듣고 친구를 찾아가

화해하기로 약속했습니다. 수업을 통해

다른 사람을 용서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노아 피리

법을 준수하는 시민으로서 감사함, 타인을 배려하는 것, 용서, 어른들에 대한

예의 등의 가치를 알고 실천해야 한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이번 평화교육을 통해 평화시민의 역할

을 알게 되었고, 평화를 위해 법을

준수하는 올바른 정신을 가져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패트니스

평화문화 제도화를 향한 도약, 평화교육 공교육 도입

2024년 카냐마(Kanyama) 평화의 유산 프로젝트

2024년, 잠비아 루사카 내 대표적인 우범지역으로 알려진 카냐마(Kanyama) 지역에서 HWPL 평화교육 시범 운영 프로젝트가 추진되었다.

카냐마를 관할하는 치볼야 존(Chibolya Zone) 산하 10개 학교를 대상으로, 지역 내 사회 문제 해소를 위한 실질적 평화교육의 첫걸음이었다.

5월 30일 카냐마 평화교육 발대식을 시작으로, 소속 교사 30명을 대상으로 평화교사 양성교육과 6월 29일과 8월 30일에 두 차례의 평화교사 워크숍을 시행하였고,

이후 임명된 평화교사들이 각 학교에서 직접 평화교육을 시행하며 학생들에게 평화의 가치와 태도를 전하였다.

이번 프로젝트는 평화가 아이들의 마음에 자연스럽게 스며들도록 하여 지역 내 갈등 완화와 사회적 분위기 개선에 실질적으로 기여하였으며,

이는 평화문화가 지역사회를 실질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중요한 모범 사례이다.

그레이스 카엘라(Grace Kaela), 치볼야 종합학교 교장

“처음에 완전히 시행되기 전에는 정말 끔찍했어요. 아이들이 여기서 ‘다가’(마리화나)를 피우고, 코카인, 헤로인 같은 위험한 약물도 했습니다.

일탈 행위들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그런 문제들이

잠비아 루사카 전 지역 대표학교 MOU 체결

HWPL 잠비아 지부에서는 각 학교에 직접 방문하여 대면 미팅을 진행했고,

HWPL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와 평화교육의 의의 등을 설명하며

MOU 체결을 제안했다. 각 학교에서는 흔쾌히 동의하였고,

11개 대표 학교 모두 MOU가 체결되었다.

잠비아 평화교육 공교육 도입 선언식

잠비아의 평화교육 공교육 도입을

공식적으로 알린 첫 대규모 행사

2025년 4월 15일 루사카 지역교육위원회, 잠비아 교육부 루사카주, 루사카 시의회, 인플루언서 등과

11개 대표학교 교장이 한 자리에 모여 MOU에 서명하고 현판을 수여하였다.

평화교육을 받은 학생들의 공연, 유명 래퍼와 치볼야 학교 학생들이 함께 하는 축하 공연 등을 통해 행사가

더 다채롭게 진행되었고, 잠비아의 또 다른 LP 프로그램인 ‘Clean Up, Crime Down! Peace Street’ 활동도

진행되었다.

이후 DPCW 5조 간판이 설치되어 간판 공개 리본 커팅식이 진행되었고, 단체사진을 촬영하며 평화교육의

잠비아 루사카 내 공교육 도입을 향한 시작점을 영광스러운 기록으로 남겼다. 평화동아리의 평화 연극 공연 DPCW 5조 간판 설치

11개 지역 대표학교가

HWPL 평화학교임을 상징하는 잠비아 루사카 전 지역 대표학교

HWPL 평화학교 현판식

HWPL 잠비아 평화교육 공교육 도입 선언식에서 HWPL과 각 학교의 로고가

프린팅된 현판을 전달하였고, 행사 이후 각 학교에 HWPL 잠비아 지부가

직접 방문하여 MOU 서류 액자 전달 및 현판 설치를 진행하였다.

잠비아의 평화를 위해 실질적으로 HWPL과 각 대표학교가 협력하고 있음을

대내외적으로 알릴 수 있는 상징이 되었으며,

평화학교로서 그 역할을 다할 것을 약속하는 뜻깊은 행사였다.

종합학교(Chazanga Combined School)

Combined School)

초등학교(New Ng’ombe Primary School)

District Education Board)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