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초상 그리고 사람 / 유홍준

Page 1

인물, 초상 그리고 사람 한국 근현대인물화전

1. 갤러리현대 개관 5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 기획전을 위해 다섯 명의 자문위원들은 여러 차례 논의를 거쳐 한국 근현 대미술의 성장과 발자취를 가장 잘 보여주는 인물화전을 여는 데 의견의 일치를 보았다.

인물화는 전통사회가 근대사회로 넘어가면서 크게 부상한 미술 장르이다. 제임스 케이힐(James Cahill, 19262014)은 『중국 회화사』에서 동양화(중국화)는 기원 1천 년을 넘어서면 산수화가 메인 장르를 차지하게 되고 이는 19 세기에 이르기까지 변하지 않았으며 20세기로 들어서면서 인물화에게 그 자리를 넘겨주게 되었다고 했는데 우리나 라 회화사 역시 똑같은 길을 걸어왔다.

전통회화에도 물론 인물화 장르가 있다. 초상화야 변함없이 초상화일 수밖에 없는 일이고 풍속화, 신선도, 그리고 산수인물화도 또한 인물화의 범주에 넣을 수 있다. 그러나 근대미술에서 인물화는 그 내용과 형식이 다르다. 우선 인물 그 자체를 다룬다. ‘시골 소녀’, ‘여인 좌상’처럼 불특정한 인물을 클로즈업하며 삶의 체취와 인간 서정의 갖가 지를 드러낸다. 나아가서는 사람, 즉 인간적 가치를 드러낸다는 명확한 주제 의식이 뒤따른다. 그래서 이번 전시의 제목을 《인물, 초상, 그리고 사람》이라고 한 것이다.

우리나라가 어느 시점에 근대 사회로 들어섰고, 그 근대의 개념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분야마다 다르다. 미술의 경우도 어느 시점을 잡아 말하기 힘들다. 다만 우리 근대미술의 성격은 서양화의 본격적인 도입과 함께 전개되었 고, 1백 년 전인 1920년대로 들어서면 이미 근대미술의 문턱을 넘어서고 있었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서양화는 그 당시 ‘양식’, 또는 ‘신식’으로 불린 교통, 통신, 신문, 복식, 건물, 교육, 사회제도 등 서양 문물의 이입 과 함께 어차피 들어올 수밖에 없었던 근대의 추세이자 상징이었다. 그리고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이 낯선 이질 문화인 서양화는 당시 사람들에게 커다란 문화적 충격을 안겨주었다.

11


Turn static files into dynamic content formats.

Create a flipbook
Issuu converts static files into: digital portfolios, online yearbooks, online catalogs, digital photo albums and more. Sign up and create your flipbook.
인물, 초상 그리고 사람 / 유홍준 by Gallery Hyundai - Issuu